목록발도르프교육학/발도르프 교육철학 (16)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4. 기질론의 지평 안에서 이해되는 교육 슈타이너는 발도르프학교 초기 교사들과의 세미나 논평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아무리 과밀할지라도 어린이들의 다양한 성격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질론을 교육의 시금석으로 제시하였다. 슈타이너는 학급을 4개의 다른 기질 그룹으로 분류할 것을 요구한다. 기질론 역시 오로지 인지학적 인식이론의 지평 안에서만 타당한 근거를 가지며 그 근거를 경험적으로 확인할 길은 없다. 발도르프 교사들은 인지학적 기질론에 기초하여 외적인 특징에 근거하여 어린이를 다양한 기질로 도식화하여 분류하고 교육한다. 이 경우에도 어린이는 유일성을 지닌 존재가 아니라 기질 일반의 결정체로만 간주된다. 기질론에 따라 분류된 전형이 교육자와 어린이의 만남의 중심에 자리잡기 때문에 이 역시 규범적 구..
3. 교육예술을 위한 요청으로서의 발달에 따른 교육단계 예술로 요청되는 교육에 있어서 핵심은 형성되어 가는 인간의 본질을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가로서의 교육자는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것과 인간 본질을 이루는 것의 발달 과정에 대한 지식을 익히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육예술가는 특정한 연령 단계에서 인간 본질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어야 하는지, 그런 영향이 어떻게 사실에 적합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하기(EG, 21) 때문이다. 슈타이너는 예술로서의 교육이라는 전제 아래서 형성 과정에 있논 인간의 본질로부터 교육을 위한 관점이 생겨나므로 인간 본질의 형성 과정을 인식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인지학적 인간론에서 파생된 발달 단계에 따르는 교육은 발도르프 교육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적 이해 강상희(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08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제2회 동계 학술세미나 한국에서의 발도르프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제II- 1. 여는 글 발도르프학교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발도르프 교육학 안내서로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책 중의 하나는 Carlgren F.가 쓴 "Erziehung Zur Freiheit"일 것이다. 이를 번역하면 "자유에 이르는 교육"이다. 이러한 책 제목에서 현재 인간은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 그리고 교육을 통해 자유에 이를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이 미리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 감지된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자유란 무엇일까? 발도르프 교육과 슈타이너(R. Steiner, 1861-1925)에 의해 수립된 인지학은 별개로..
결어 1919년 9월 6일, 슈투트가르트 이제 제가 여러분께 명심시키고 싶은 것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주의를 환기시키면서 오늘 이 고찰을 마감하겠습니다. 그것은, 여러분이 네 가지를 지키는 것입니다. 그 첫 번째는, 교사가 크고 작건 간에 자신의 직업을 완전하고 철저하게 정신화함에서, 어떻게 교사가 단어 하나하나를 말하는지, 어떻게 하나하나의 개념을, 모든 개별적인 감각을 발달시키는지, 바로 그 양식으로 자신의 학생들에게 작용한다는 점입니다. 교사는 발안하는(initiative) 인간이라는 점을 명심하십시오. 교사가 절대로 게을러져서는 안 된다는 점을, 달리 말하자면 교사가 학교에서 행하는 것과 어린이를 대하는 처신에 완전히 현존해야 한다는 점을 숙고하십시오. 그것이 첫 번째입니다. 즉 교사는 크고 작은..
1919년 오스트리아의 철학자이자 교육자인 루돌프 슈타이너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된 발도르프학교 혹은 슈타이너학교는 아이들의 몸과 마음과 머리가 조화롭게 발달하도록 돕는 것을 교육이념으로 삼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많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 80여 개의 나라에서 약 900여 개의 학교가 운영되고 있고 계속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1996년에 열린 세계 교육부 장관들의 회의에서 21세기 교육의 모델로서 발도르프학교가 선정되었습니다. 유네스코의 지원 및 연구 대상에 속하게 되었다는 것은 세계적으로 그 성과를 인정받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발도르프 교육의 목표는 전체인간(머리, 가슴, 손발)을 교육하는 것입니다. 지식과목들은 예술 활동과의 조화 속에 교육됩니다. 사실 대부분의 과목들이 예술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