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1 (1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회복적 정의의 이정표 해리 미카, 하워드 제어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우리는 회복적 정의를 위해 다음과 같이 노력하고 있다. I. 우리는 규칙을 위반한 것보다 잘못된 행동으로 인한 피해에 더 초점을 맞춘다. II. 우리는 피해자와 가해자 모두에게 동등한 관심과 헌신을 기울이며, 양측 모두를 사법 절차에 참여시킨다. III. 우리는 피해자의 회복을 위해 노력하며, 피해자에게 힘을 실어주고 피해자가 생각하는 대로 피해자의 욕구(필요, needs)에 대응한다. IV. 우리는 가해자가 자신의 책임(의무, obligations)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이행하도록 격려하고 지원한다. V. 우리는 가해자에게 책임이라는 것이 어려울 수 있지만, 위해를 가하기 위한 것이어서는 안 되며 달성 가능해야 한다는 점을 인..
호주, 16살 미만 SNS 금지한다…“여성혐오 콘텐츠 실제적 위험” 앤소니 앨버니지 총리 직접 발표 최윤아기자 2024-11-07 오스트레일리아가 16살 미만 청소년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에스엔에스 속 왜곡된 신체 이미지와 여성혐오성 콘텐츠가 청소년들에게 실제적 위험이 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7일(현지시각) 로이터 보도를 보면, 앤소니 앨버니지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는 이날 “소셜미디어가 아이들에게 해를 끼치고 있다, 이제 그만 끝내야 한다”며 16살 미만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시행하겠다고 발표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남성 청소년을 겨냥해 생성되는 여성혐오성 콘텐츠들이 아이들에게 실제적인 위험이 되고 있다”며 “이러한 콘텐츠는 삶에서 변화와..
미하엘 엔데와 루돌프 슈타이너 카와무라 아츠노리, 그룹 현대 지음, 김경인 옮김, 『엔데의 유언』, 갈라파고스, 2013 제1장 엔데의 생애를 사로잡은 테마 2. 지구별에서 계속 살아가기 위해 돈을 규명하다 루돌프 슈타이너는 엔데에게 큰 영향을 미친 사상가다. 엔데의 서재에는 몇십 권에 이르는 슈타이너 전집이 놓여 있다. 슈타이너는 사회라는 유기체를 세 부분으로 나누는 사회삼층론을 세웠다. 엔데의 설명에 따르면 사회 전체를 정신과 법, 경제 세 가지 기능으로 분류한다. 그런 다음 정신생활에서는 자유를, 법생활에서는 평등을, 마지막으로 경제에서는 서로 돕는 힘을 기본이념으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 기능은 프랑스혁명의 슬로건이었던 자유, 평등, 박애에 대응하는 것이며 근대 시민사회의 이념이기도 하다. ..
자연 안에는 수많은 활동들이 있습니다. 그런 활동들은 우리가 귀나 눈,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감각 기관으로 얼마든지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인식하기 위해서 가지고 있는 그런 눈, 귀 같은 것들이 있잖아요. 우리는 그런 것들을 지각하고 난 뒤에, 인식하고 난 뒤에 이른바 형성의 법칙 같은 것들을 정립해서 말합니다. 여기에 인간을 비롯해서 여러 가지 다양한 종류의 동물들, 거기에 작용하는 뭔가 보편적인 형성의 법칙 같은 것들이 있지 않을까, 하고 한번 살펴보죠.보편적인 형성의 법칙이라는 것은 개체나 종은 다 다른데 거기에 공통되게 작용하는 형성의 힘이 있다는 거예요. 그런 보편적인 법칙들, 즉 형성의 힘들이 그것만 작용해서 이런 여러 가지 다양한 동물들이 성장하고 어떤 형태들이 만들어지느냐 하면 그건 아..
순수하게 비치는 빛 속에서 세계의 신성Gottheit이 반짝인다. 모든 존재에 대한 순수한 사랑 속에서 내 영혼의 신성함Göttlichkeit이 빛난다. 나는 세계의 신성에 의지한다. 세계의 신성 속에서 나는 나 자신을 찾을 것이다. - '비전학교의 격언', 루돌프 슈타이너
- 「사서와 함께 행복한 책읽기」 2024년 가을호(VOL.70) 요즘 '학교'라는 말을 떠올리면, '아동학대, 교권추락, 학폭'이라는 단어가 자동완성기능처럼 함께 떠올려진다. 교육은 그 사회의 주춧돌이다.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힘은 모두 교육에서 나온다. 그런데 지금 우리 교육은 어떠한가? 입시경쟁을 위한 학원화, 작은 갈등도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법에 의지하는 소송터가 되었다. 이때 안전하고 평화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기 위해 '회복적 정의'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책이 나왔다. 이 바로 그것이다. 이 책은 한 인간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기능할 수 있도록 '회복적 교육'을 안내한다. '회복적 정의'란 처벌 중심의 응보적 정의에 대한 반성으로, 먼저 피해자의 고통에 귀를 기울이고 피해회복을 우선함으로..
슈베르트 피아노 3중주 2번 2악장 Schubert Piano Trio No.2 in E flat major, D.929 Op.100 2nd movement https://www.youtube.com/watch?v=6aIiH2CHUOA https://www.youtube.com/watch?v=1-jDShCdGXU https://www.youtube.com/watch?v=yFyv7c1XyYU&t=1530s ■ 죽음을 목전에 둔 슈베르트의 비장함과 체념이 농도 짙게 투영되어슈베르트의 피아노삼중주 제2번은 슈베르트가 세상을 떠나기 1년 전 완성된 작품으로 여러 후기작품에서 풍기는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데 그는 그 해에 연가곡집 〈겨울 나그네〉를 썼고 이듬해인 1828년에는 〈백조의 노래〉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