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지학/인지학건축 (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발도르프학교의 인지학적 학교건축 김성원 저자 세계 최초의 발도르프학교는 1919년 슈투트가르트 울란스회헤(Uhlandshöhe)에 세워졌다. 발도르프-아스토리아 담배공장(Waldorf-Astoria Zigarettenfabrik)의 기업가 에밀 몰트(Emil Molt)가 사비를 털어 일종의 노동자 자녀들을 위한 학교로 설립했다. 발도르프학교는 발도르프 교육학을 직접적으로 충실하게 공간 디자인에 반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발도르프학교의 인지학적 교육철학에는 주목하면서 발도르프학교 고유의 인지학적 학교건축에 주목하지 않고 있다. 1902년에 이미 에밀 몰트는 신지학회(Theosophical Society)와 접촉하고 있었고, 1913년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의 지도 아래 인지..
인지학의 중심지 루돌프 슈타이너의 괴테아눔 스위스 도르나흐 I 1924~1928년 I 루돌프 슈타이너 "콘크리트로 만든 형태는 완전히 달라야 할 것이고, 인간 영혼의 눈이 그것을 예술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부서지기 쉬운 콘크리트 재료를 능숙하게 다루려면 해야 할 일들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회화, 건축양식에 있어서 장식적인 요소를 창조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그것은 콘크리트 재료 자체에서 발전되어 나온 것이어야 합니다. 그렇게 해야만 콘크리트는 예술적 특성을 드러내게 될 것입니다. 이를 괴테아눔이 토대로 해야 할 근본이념으로 삼았으면 합니다." - 1923년 12월 31일에 루돌프 슈타이너가 인지학회 회원들에게 한 강의 중에서 1923년의 새해 첫날, 인지학人智學의 창시자인 루돌프 슈타이너는 자신의 역..
* 이 글은 경기대 건축학부 박윤준 교수님의 논문 의 내용을 일부 발췌한 것입니다. 인지학적 건축론과 제1괴테아눔의 형성 배경 1) 인지학적 건축론 (1) 우주론 슈타이너는 건축이 진정한 의미를 지니기 위해서는 단지 근대적인 기능이나 미적 충족을 넘어 영적인 세계에 대한 자각에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그에 의하면 인간의 혼과 정신은 우주의 위계 안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인지학적 건축은 우주적 관련 아래에서 인간의 정신과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에 따라 슈타이너는 건축을 끝없이 천체의 운행과 관련시키고 있으며, 건물의 배치방법과 상징물 및 실내장식을 통해 공간을 신비적으로 구성함으로써 건축이 실제 우주적인 사건들..
4월27일 마지막 강의강사 : 아게마스 유우지통역 : 이정희 유기 건축 한국 (청계학부모)지형에 맞게 건물을 배치한다. 부석사는 무량수전 건물 자체가 중요하지 않고 건물과 주변 환경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무량수전 배흘림 기둥 옆에서 바라본 전경이 중요합니다. 이것이 한국의 유기적 건축의 특징이라고 생각합니다.오랫동안 나도 나의 건축을 오리엔탈 건축이라고 불렀습니다. 4-1. 아테네 신전언덕에 있지만 사람이 들어가지 못하고 밖에서 바라보며 기도했습니다. 4~5세기 고대의 신전입니다. 4-2. 반수반인 사람으로 발전하는 모습입니다. 4-3. 이탈리아에 있는 신전. 기둥들이 형제자매처럼 떠받치고 있습니다. 누르는 힘과 받치는 힘 육중한 힘을 함께 받치고 있는 건축물입니다. 4-4. 신전기둥 3개 정도의 사진. ..
4월27일 오전 강의강사 : 아게마스 유우지통역 : 이정희 3-1.. 타고 남은 1차 괴테아눔1922년 1년 동안 이 상태가 지속되었습니다. 인지학의 위기였습니다. 너무나도 커다란 상처였습니다.1923년 12월 성탄절 컨퍼런스가 열렸습니다. 목수실에서 인지학 모임이 열렸습니다. 일반 인지학 협회라는 이름을 달고 다시 출발합니다. 인지학이라는 활동이 지상에서 사람들 속에서 어떻게 육화하는가 라는 과제를 가지고 다시 시작합니다. 1911년 당시 인지학 협회와 슈타이너와 동일시가 안 되었으나 1923년에 재기할 당시 이 기관의 대표자로서 뛰어들어 인지학협회와 다시 시작하면서 마음가짐이 달라졌습니다. 3-2. 칠판 그림1924년 1월 1일에 칠판그림을 그리고 강연이 시작됩니다. 2차 괴테아눔의 스케치를 하였습니..
4월 26일 강의 강사 : 아게마스 유우지 통역 : 이정희 이제 연속으로 가우디와 슈타이너를 말씀드리겠습니다. 크게 양분하면 가우디는 자연적인 것을 슈타이너는 정신적인 면을 강조했습니다. 2-1. 가우디는 자연과 건물을 연결하면서 자연을 반영하였다면 슈타이너는 자연의 힘에서부터 새로운 창조를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가우디와 슈타이너를 유기 건축의 양대 흐름으로 볼 수 있고, 현대 건축에 있어서 미래 지향적인 건축이라 하겠습니다. 2-2 1차 괴테아눔 요하네스의 집이라고도 합니다. 신비극에 등장하는 주인공의 이름입니다. 그리고 그는 화가입니다. 1913년 1차 건축이 이뤄졌습니다. 100년이 되었습니다. 사실은 슈타이너가 신비극을 공연하는 극장으로 생각했지만 미래의 건축 형태를 생각하고 만들었다고 볼 수..
유기건축4월 25일 강의강사 : 아게마스 유우지통역 : 이정희 안녕하세요?청계자유학교를 방문하게 되어 기쁩니다본인은 도쿄에 한국 제자가 있었는데 그 사람을 통해 한국을 많이 접했습니다만 직접 와 보기는 처음입니다또 이번에 와서 놀라운 것은 『건축공학의 미학』이라는 책이 저의 제자에 의해 2000년에 번역 출간된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내용은 한국어라 검토를 못하겠지만 내용은 본인의 책이어서 잘 알고 있습니다 유기건축이란 유기건축술이라 직역할 수 있습니다. 유기건축이란 무엇일까요?이런 질문을 던져봅니다보통은 건축에 곡선이 나타나면 유기건축이라고도 합니다그래서 현대 건축사를 바라보면 현대건축에서 유기건축이라 칭하는 것이 많습니다우선 여러분들에게 전체적인 유기건축에 대한 인상을 드리기 위해 여러 사진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