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8)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추운 겨울 멀리 가면 쌓인 눈이 녹아내려맑은 시냇물 소리 다시 들려와트랄 랄랄랄랄랄랄 랄라 트랄 랄랄랄랄랄랄라

1931년 클라라는 하노버에 작은 유치원을 세웠다. 새로운 하노버 발도르프 학교는 정신적으로나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 때문에 유치원을 독립시켜야 했다. 클라라는 방 두 개짜리 아파트를 빌려 방 하나를 아이들을 위한 공간으로 바꾸었다. 여기서 작업이 꽃을 피웠다. 10년 동안 매일 20명의 아이들이 유치원에 다녔다. 1938년, 슈투트가르트와 하노버의 발도르프 학교는 나치에 의해 폐쇄되었다. 클라라의 가정유치원은 눈에 덜 띄었지만 1941년까지 운영되었다. 나치가 유치원을 폐쇄했을 때, 그녀는 드레스덴으로 도망쳐 그곳의 지하실에 작은 유치원을 열었다. 나치에 의해 발견되어 폐쇄될 때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던 발도르프 기관이었다. 1940년, 엘리자베스는 친구들의 초대를 받아 제노바에서 미국으로 건너..

하루는 루돌프 슈타이너에게 아이들이 그린 크레용 그림을 보여주었는데, 슈타이너는 아이들이 크고 좋은 붓과 물감으로 수채화를 그리게 하는 것이 훨씬 더 좋겠다고 말했다. "중요한 건 그림이 아니라 아이들이 당신의 '훌륭한 태도'를 따라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아이들은 당신의 몸짓을 정확히 따라하기보다 여기저기 붓질을 하며('nachpatschen') 색을 칠하고 싶어할 것입니다." (1984년 도르나흐에서 열린 세계 유치원 컨퍼런스에서 엘리자베스와 덴마크 유치원 교사 잉게보르크 브록만 간의 대화에서 발췌) 그녀는 찰흙으로 만들기도 했다. 그녀는 나중에 "아이들은 이 조형 재료에 손을 집어넣고 형태를 만들기를 손꼽아 기다렸다"라고 썼다. 그녀는 동화도 들려주었다. 유치원은 여름방학이 끝날 때까지 계속되었지만,..

최초의 발도르프 유치원: 발도르프 유아교육 운동의 시작 수잔 하워드(Susan Howard)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최초의 "공식" 발도르프 유치원은 루돌프 슈타이너가 세상을 떠나고 1년 반 뒤인 1926년 슈투트가르트의 첫 번째 발도르프 학교에서 문을 열었다. 하지만 사실 잘 알려지지 않은 초기의 시도가 있었다. 나는 발도르프 유아교육 운동의 초창기 이야기를 정리하기 위해 다양한 기사, 미공개 원고, 대화 메모 등을 살펴보았다. 1919년 첫 번째 발도르프 학교가 개교하기도 전에 루돌프 슈타이너는 생애 첫 7년의 중요성과 이러한 형성기가 끝난 뒤에야 담임교사가 아이들을 받는 것의 아쉬움을 토로했다. “교사들은 이미 특정 연령에 이른 아이들을 교육하게 될 것이며, 이미 인생의 첫 단계에서 부모의 ..

부모, 다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우리가 사람들을 현재의 모습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그들을 더 나쁘게 만들 것이다. 우리가 그들을 마땅히 되어야 할 존재인 것처럼 대한다면 그들이 있어야 할 곳으로 데려갈 수 있다.”* * “Wenn wir die Menschen nur nehmen, wie sie sind, so machen wir sie schlechter; wenn wir sie behandeln, als wären sie, was sie sein sollten, so bringen wir sie dahin, wohin sie zu bringen sind.” 나는 괴테의 이 격언을 좋아한다. 괴테는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Wilhelm Meister’s Leh..
대림절 시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대림절의 첫 번째 빛은 광물의 빛,그 빛은 조개껍데기 속에서그리고 수정과 우리의 뼈 속에서 빛을 발합니다.대림절의 두 번째 빛은 식물의 빛,식물은 태양에 닿으려 하고바람 속에서 춤을 춥니다.대림절의 세 번째 빛은 동물의 빛,믿음의 빛은 이 세상 가장 큰 곳에서도또 이 세상 가장 작은 곳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대림절의 네 번째 빛은 사람의 빛,희망과 생각 그리고 행동의 빛,손발과 가슴 그리고 정신의 빛.http://londonsteinerschool.org/2011/01/advent-verse/대림절의 첫 번째 빛은 광물의 빛,광물은 수정, 조개껍데기 그리고 뼈 속에서 살아갑니다. 대림절의 두 번째 빛은 식물의 빛,식물의 뿌리, 줄기, 잎, 꽃 그리고 열매에 의해..
대림절에 오시네 대림절에 작은 촛불 한 개, 두 개, 세개, 네 개 차례대로 타올-라요.그런 뒤에 저 문 앞에 아기 예수 서 있어요. 어두움을 밝혀-줘요. 촛불을 밝혀요 촛불을 밝혀요 어두운 밤거룩한 대림절 밤에사랑의 빛 밝혀요아기 예수를 기다려요
발도르프학교에서의 대림절(Advent) 맞이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번역 및 정리 발도르프학교에서의 대림절대림절(待臨節, Advent) : 대강절(待降節) 또는 강림절(降臨節)이라고도 한다. 성탄절에 이르는 4주간의 절기로 특히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그리고 네 번째 일요일에 예식을 한다. 발도르프학교에서는 이 기간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각 대림절 일요일이 지난 월요일 아침, 학생들은 학교 강당에 모여 다가올 예수의 탄생에 관한 대림절 노래를 부른다. 매주, 전나무 가지로 만든 대림절 화환에 초를 하나씩 더 밝힌다. 화환의 초 네 개 모두가 타오르면, 며칠 뒤 성탄절이 다가옴을 누구나 알게 된다.어린이집에서는 바닥에 전나무 가지로 대림절 나선무늬(Spirale)를 만들어 놓는다. 라이..
성탄절 연극- Hans Harres 심운섭 번역, 김훈태 감수 등장인물 천사들 요셉 마리아 여관 주인 황소 나귀 염소들 목동 4명 모두 : 입장 노래 별님 넘어 달빛 넘어 사뿐히 오시는 길 노래 모든 천사와 함께 지상으로 먼 여행을 해요. 노래 부르며 아기 예수가 태어났음을 기뻐해요. 마구간의 동물들 곁에서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요. 짚과 건초더미 위에서 마리아의 아들, 아기 예수가 태어났어요, 아주 먼 동쪽 나라에서 이 기적을 보기 위해 온 목동들, 하느님이 보내신 천사가 그들의 꿈에 나타났어요. 아기 예수 앞에 고개 숙여 하느님의 행하심에 축복 드려요. 하느님의 은총에 감사드리며 노래를 불러요. 마리아 : 아, 요셉, 오늘 밤은 정말 춥네요. 여기까지 오는 길이 너무 힘들었어요. 저기 여관에 가서 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