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과학철학 및 사회과학/비판적 실재론의 규범적 기초 (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4세계 이론 지금까지는 괜찮았다. 하지만 우리는 비판적 실재론, 그리고 도덕성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자동적 차원에 대한 비판적 실재론의 탐구 역시 따를 수 있을까? 우리는 실재적이지만 현상적이거나 경험적이지 않은 이러한 관념(ideas)과 이상의 영역이 역사, 사회, 인격을 넘어 존재한다고 가정할 수 있을까? 의심할 여지없이 어려운 질문이며, 내가 옳은 답을 가지고 있는지 확신할 수 없다. 데이브 엘더-바스는 도덕적 실재론을 단호하게 부정한다. 그에게 가치는 정의상 문화적, 사회적, 인격적인 것이다. 그것은 역사적으로 우연한 사회적, 인간적 산물이다. 객관적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발견할 수 있고 우리의 지식과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이상적인 영역도 존재하지 않는다. 문화의 존재론..

윤리학의 삼위일체 실재론적 진리론 우리는 바스카가 자연주의의 한계를 탐구한 것이 그를 해석학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보았다. 반대로 하버마스는 해석학의 한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지배에 대한 비판으로 나아갔다. 실재론적 개념이 자연과학에서 사회과학으로 전치될 수 있다는 바스카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실재론적 장면(footage)에 비판 이론을 입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미, 가치, 표현의 존재론으로서 해석학을 도입할 수도 있다. 바스카(1993)와 함께, 우리는 하버마스의 신칸트주의적 세계 구성 이론을 인식적 관심(Erkenntnisinteresse)*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인식적 관심은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를 드러내지만, 세계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연, 인간, 사회 세계가 일정한 구조를 가지..

실재론, 해석학, 실증주의 나는 바스카가 자신의 도덕적, 정치적 판단에 대한 규범적 주장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면밀히 살펴보았다. 엘더-바스와 마찬가지로 나는 그것들이 선의로 이루어졌지만 완전히 설득력이 있을 만큼 충분하지 않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또한 엘더-바스와 마찬가지로 나는 하버마스의 도덕 이론이 더 유망하다고 생각한다. 그럼에도 프라이스가 하버마스의 담론 윤리에 대해 가혹하게 비판한 것은 ― 그녀는 그것이 다수(majority)가 생각하는 것을 승인하고 정당화하는 연성 합의 모델이며, 따라서 하버마스를 바티칸과 매우 가깝게 만드는 보수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 하버마스의 입장을 명확히 하기 위해 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녀의 비판은 호르크하이머, 아..

설명적 비판 (바스카는) 프랑크푸르트학파보다 훨씬 더 분석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며, 다른 개념적 수단과 이론적 레퍼런스를 통해 진행한다. 발표되었지만 출간되지 않은 책 흄, 칸트, 헤겔, 마르크스>에서 바스카는 흄을 네 번째 필수 레퍼런스로 추가했다. 이미 흄의 법칙 개념을 내적 필연성 없이 규칙적이지만 우연적인 사건의 연속으로 다루었던 그는 이제 사실에서 가치를 도출할 수 없다는 '흄의 법칙'을 분석적 전통의 두 번째 시볼레스(shibboleth)*로 삼는다. 과학적 실재론과 인간 해방>(Bhaskar, 1986)에서 그는 흄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반박으로서 '설명적 비판'이라는 개념을 발전시킨다. 그는 우리가 믿음에 대한 부정적 평가에서 믿음의 영향을 받은 행동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넘어갈 수 있고..

비판 이론의 규범적 기초 내재적 비판과 초월적 비판 일반적으로 비판 이론은 4세대에 걸쳐 철학적, 사회과학적 성찰을 해방적 관심과 결합한 독일 기반의 학제간 연구 프로그램이다.* 철학, 사회 이론, 사회 비판의 교차점에서 기존 사회를 역사적 잠재력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성의 이름으로 정의로운 사회 질서가 실현되지 않는 이유를 탐구하고, 그 실현을 방해하는 지배와 억압의 구조를 조사한다. 이름값을 하는 모든 비판 이론의 경우, 그 규범적 주장의 철학적 기초에 대한 질문은 중요한 문제이다(Benhabib, 1986). '자유, 평등, 박애' 또는 '인권'을 옹호한다고 말한 다음, 이러한 가치와 원칙의 완전한 실현을 방해하는 사회 구조를 억압적이라고 고발하는 것만으로는 결코 충분하지 않다. 이것은 우리가 실..

비판적 실재론과 도덕적 보수주의 Dave Elder-Vass(2017)는 짧지만 사려 깊은 논문에서 Bhaskar가 지지하는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그는 자본주의에 대한 Bhaskar의 사회적 비판을 받아들이고, 정치적 급진주의에 동의하며, 도덕적 보편주의도 승인한다. 그가 합의하지 못하는 것은 더 깊이 들어가 철학적 윤리의 기초와 관련이 있다. 그는 윤리에서 자연주의의 가능성을 의문시하고 Bhaskar의 도덕적 실재론도 기각한다. 그가 반대하는 것은 비판적 실재론의 윤리와 정치가 아니라, 그 규범적 입장을 철학적으로 정당화하는 방식이다. Dave Elder-Vass는 그렇게 많은 말로 표현하지는 않지만, 비판적 실재론의 실재론이 아니라 비판이 유지되길 원한다. * 이 논문의 더 긴 버전은 비..

비판적 실재론의 규범적 기초: Dave Elder-Vass와 Leigh Price에 대한 논평 프레데릭 반덴베르게(Frédéric Vandenberghe)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연방대학교 철학 및 사회과학 연구소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논문요약 Dave Elder-Vass와 Leigh Price 간의 논쟁에 대한 논평으로서, 나는 Bhaskar와 Habermas 간의 대화를 제안한다. 만약 우리가 비판적 실재론을 비판 이론에 도입할 수 있다면, 우리는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을 강화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반대로, 비판적 실재론에 비판 이론을 도입한다면, 우리는 판단적 합리주의와 도덕적 실재론을 더 강력하게 옹호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내 성찰을 인도할 직관은 Habermas와 Bhaskar의 대화적 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