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피해자를 배려하는 피-가해자 조정 및 대화를 위한 지침 (4)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8. 가해자 지원 가해자는 친구나 친척이 조정 모임에 동행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지지자의 존재는 조정 과정의 심각성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지지자들은 앞으로 가해자에게 약속한 내용을 상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고, 가해자가 합의를 이행할 수 있도록 격려할 수 있는 “코치” 역할을 할 수 있다. 가해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 또한 피해자, 가해자, 지역사회, 사법제도에 도움이 되는 더 나은 조정을 가능케 한다. 9. 가해자와의 대면 사전모임 중 조정자의 의무 조정자는 가해자와의 초기 만남에서 신뢰와 라포를 쌓으려 한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조정자는 가해자의 경험을 듣고,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질문에 답하며, 조정을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가해자를 지원해야 한다. 지침 6..
6. 피해자와의 대면 사전모임 중 조정자의 의무 조정자는 편한 시간과 장소에서 피해자와 대면한다. 조정자는 보통 피해자의 자택이나 피해자가 다른 장소를 원하는 경우 다른 장소로 가겠다고 제안한다. 방문의 목적은 피해자와 신뢰 및 라포를 형성하고 피해자의 이야기를 들으며 정보를 제공하고 질문에 답하며 피해자가 조정을 하나의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처음 방문했을 때 조정자는 피해자가 자기 이야기를 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이 나은지, 조정 프로그램에 대해 먼저 알아보는 것이 더 나은지 물어봐야 한다. 경청. 조정자의 주요 임무는 피해자의 경험에 대해 듣고자 하는 진심 어린 열망에서 주의 깊고 참을성 있게, 공감하며 경청하는 것이다. 조정자의 효과적인 경청은 피해자가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고..
피해자를 배려하는 조정 지침 피해자 안전 피-가해자 조정 프로그램의 기본 지침은 피해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이다. 조정자는 피해자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한다. 조정 절차의 모든 시점에서 조정자는 “이것이 피해자의 안전과 안녕에 위협이 되지 않을까?”라고 물어야 한다. 라포(rapport)를 유지하고,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배우는 것, 절차를 진행하며 피해자에게 피드백을 요청하는 것은 조정자에게 필수적이다. 피해자가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면 조정자는 즉시 조치를 취하고, 선택권을 주어야 하며, 조정을 종료하고, 피해자가 조정에서 나갈 수 있도록 에스코트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피해자의 안전을 위해 조정은 피해자가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장소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피..
피해자를 배려하는 피-가해자 조정 및 대화를 위한 지침 Mark Umbreit & Jean Greenwood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 Victim-Sensitive Mediation은 피해자에게 좀 더 섬세하고 민감한, 피해자를 신경 쓰는 방식의 조정을 의미한다. * 여기에서는 문맥에 따라 needs를 욕구, 필요, 요구 등으로 옮겼고, process는 과정 또는 절차로 옮겼다. 피-가해자 조정 분야가 미국 전역에서 계속 발전함에 따라, 최대한 피해자를 배려하는 방식으로 조정 과정을 수행하는 동시에 가해자의 주요 욕구를 해결하는 것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이 부분에서는 피해자를 배려하는 조정의 관례를 강화하기 위한 매우 구체적인 지침과 권장 사항을 다양하게 제공한다. 피-가해자 조정의 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