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발도르프학교 체육시간 놀이 (2) 본문
고양이와 쥐
o 놀이방법
- 한 아이가 고양이, 다른 아이는 쥐. 나머지 아이들은 4줄 또는 3줄로 서서 골목길의 벽이나 기둥을 만든다. 아이들은 옆 사람과 서로 손 끝을 맞대고 있어야 하고, 어떤 아이가 90도로 돈다면 앞뒤 사람도 90도 돌아서 손을 맞대야 한다. 벽이 직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쥐는 골목길을 다니기 시작한다. 나머지 아이들은 팔을 쭉 펼쳐서 골목길을 만든다. 고양이는 말하기 시작한다.
고양이: 쥐야, 쥐야 집에서 나와라. 그러면 치즈를 줄게.
쥐: 싫어.
고양이: 쥐야, 쥐야 집에서 나와라. 그러면 케잌을 줄게.
쥐: 싫어.
고양이: 쥐야, 쥐야 집에서 나와라. 그러지 않으면 할퀼 테야.
쥐: 건방지군!
- 그러면 고양이가 골목으로 쥐를 잡으러 간다. 고양이나 쥐 모두 다른 아이들이 펼친 팔 밑으로 지나가서는 안 된다.
- 이끔이가 ‘벽’ 하고 소리치면, 아이들은 90도로 돌아서 벽을 만든다. 그러면 고양이와 쥐가 다른 방향으로 뛰게 된다. 이끔이가 ‘기둥!’ 하고 소리치면, 아이들은 팔을 내리고 기둥이 된다. (이는 고양이가 쥐에게 더 가까이 가도록 하는 기회가 된다.)
- 고양이에게 훨씬 더 좋은 기회는 ‘그루터기!’ 하고 외치는 것이다 아이들은 몸을 쭈그리고 앉아서 고양이가 그들을 지나 쥐를 잡을 수 있도록 한다.
- '탑‘ 하고 외치는 경우도 고양이에게 유리하다. 아이들은 팔을 위로 올린다.
- 쥐가 잡히면(또는 고양이가 쉬고 싶은 생각이 들면) 새로운 고양이와 쥐가 나오고 놀이를 다시 시작한다.
o 놀이의 의미
- 이 놀이는 성장하는 아이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놀이가 어떻게 변형이 가능한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원 대신에, 아이들이 직선을 만드는 것은 그들이 더 이상 그룹이 아니고, 선에서 그들의 위치를 책임지는 개인이 됨을 의미한다. 만일 이끔이가 벽과 골목길을 재조정하도록 요구할 경우, 그들은 스스로 책임진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만일 아이들이 손을 잡는 대신에 어깨를 맞대도록 한다면, 더 친밀한 그룹 활동이 될 수 있다.
'발도르프교육학 > 발도르프 체육교육+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학년에서 6학년 사이 아이들의 움직임의 발달과정 (0) | 2023.02.01 |
---|---|
[동영상] 발도르프학교의 보트머체조 - 나무봉 활동 (0) | 2022.07.21 |
발도르프학교 체육시간 놀이 (1) (0) | 2022.03.22 |
보트머체조 동영상 3부 (0) | 2021.06.20 |
보트머체조 동영상 2부 (0) | 2021.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