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예술 수업, 외국어 수업, 바깥 수업 본문
예술 수업
7세부터 14세 사이에 미적 감각, 예술 감각을 잘 자라나게 하면 이 다음 시기에 올 진리를 추구하는 삶의 밑바탕이 됩니다. 예술 감각은 감정을 풍부하게 다듬어 주는데, 이 때를 놓치게 되면 이후에 일어나는 지적 능력은 차가운 기계식 사고가 될 수 있습니다. 도약을 경험하게 하는 예술 체험은 어린이들의 의지력과 표현력을 성장시킵니다. 주기집중수업에서도 전반적으로 예술적 방법론이 진행되지만, 따로 예술 수업을 마련함으로써 다양한 예술 체험을 통해 감성을 풍부하게 합니다.
오이리트미
오이리트미란, 몸과 마음과 정신을 움직여 음악과 언어를 표현하는 동작예술로서, 발도르프학교 교육의 꽃이라 불리웁니다. 아이들이 발달 단계에 따라 영혼의 위기를 겪을 때, 오이리트미는 아이들의 내적 방향을 잡아주고 빛을 줍니다.
습식 수채화
전학년에 걸쳐 주 1회 이상 정기적으로 색을 통해 세상을 만나는 시간입니다. 고정된 형태 이전에 색으로 존재하는 세상의 본질을 체험하는 시간입니다. 색 자체를 만나는 과정은 어린이 판타지의 세계를 보호하고 물질적인 자극과 상처를 치유합니다.
수공예/목공예
손끝을 부지런히 움직여 만들어 본 경험이 있는 어린이들은, 자신의 손을 움직여 세상을 만들어 나갈 수 있습니다. 양모솜과 털실 등을 이용해 수공예를 하고, 나무를 깎는 목공예 수업은 아이들의 의지를 성장하게 하고 미적 감각을 키웁니다. 이밖에도 밀랍과 찰흙, 색종이 등을 이용해 만들기를 하기도 합니다.
음악
리듬놀이, 5음계 노래와 리코더, 7음계 노래와 리코더, 돌림노래, 다양한 민족 음악과 노래, 우리 노래와 음악을 함께 하는 시간입니다.
춤과 연극
자기 몸 안의 리듬과 음악을 깨워내고 표현하는 몸의 표현 시간입니다.
외국어 수업
발도르프 교육에서는 아이들의 국제적인 감각과 성인이 된 이후의 활동 영역에 대한 고민으로 최소 2개 이상의 외국어 교육을 원칙으로 합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1학년부터 영어와 중국어 수업을 진행하며, 고학년이 되면, 1개의 외국어를 추가하여 공부하게 됩니다.
바깥수업
발도르프 교육에서 자연과 교감하는 몸의 성장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다양한 체험을 통해 자연과 접하는 기회를 늘리고, 이를 다른 수업과 연계시킵니다.
텃밭 가꾸기
농사짓기를 통해 계절과 절기의 리듬을 이해하고 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됩니다. 긴 호흡(씨 뿌리기-추수-요리)으로 농작물이 우리에게 오는 과정을 배우게 됩니다. 사람과 일에 대해 그전에는 하지 못했던 생각을 하게 되며, 최선을 다함에도 불구하고 다른 요소들에 의해 결과가 좋지 못할 수도 있다는 것을 경험함으로써 겸허함과 겸손함을 갖게 됩니다.
체육 활동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듭니다.
체육수업은 단순히 신체의 단련만이 아니라 건강한 인격의 형성에 영향을 줍니다. 놀이를 통해 아이들은 그룹 안에서 행동하는 방법을 익히고, 다른 친구들과 어울리는 방법을 배웁니다. 다양한 환타지 놀이들은 건강한 인격과 유연한 사고를 형성하고, 보트머 체조는 신체와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과 의지력을 발달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산행
서울 자유발도르프학교 아이들은 범박산 , 천왕산 등 학교와 가까운 산을 정기적으로 오릅니다. 꾸준히 산을 오르면 아이들이 안정된 질서를 느끼고 의지력을 기를 수 있습니다. 계절을 노래와 시로 느끼는 것 외에도 코를 통해, 눈으로, 피부로, 그리고 온몸으로 계절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시간입니다. 자기만의 호흡과 발걸음을 찾아 숨을 뱉고 마시면서 아이들은 자연 속에서 자신을 온몸으로 느껴 봅니다. 산 정상에서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내려가는 길은 가벼운 마음과 발걸음입니다. 친구들과 즐겁게 놀고, 신나게 지내면서 아이들의 몸과 마음은 밝게 자라납니다.
[출처 : 서울자유발도르프학교 http://seoulwaldorf.org/page/view/60]
'발도르프교육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2학년 칠판그림 (0) | 2017.02.15 |
---|---|
1학년 칠판그림 (0) | 2017.02.12 |
에포크(주기집중수업) (0) | 2017.01.09 |
표현예술 workshop 자료 (0) | 2016.10.04 |
<발도르프 학교에서의 연극 예술과 언어형성> (0) | 2016.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