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하버마스 이론의 이 측면을 회복적 대화모임과 연관시키면, 이러한 주제화가 대면 절차 안에서 두 가지 수준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 흥미롭다. 첫째, 이러한 주제화는 위에서 예로 든 것과 같이 대화모임에서 벌어지는 대화 내 개별적인 발화 행위에서 볼 수 있다. 둘째, 주제화는 대화모임의 다양한 단계 안에서 더 큰 규모로 볼 수도 있는데, 주제와 전반적인 논의가 특정 주장을 중심으로 주제화되는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대화모임 절차가 시작될 때, 참가자들은 회복적 사법 절차의 중심에서 사건을 둘러싼 사실을 이야기하면서 시작한다. 이 대화모임의 단계는 진리 주장에 중점을 두거나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 단계에서 다른 타당성 주장을 주제화하는 발화 행위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으..
3. 타당성 주장과 논증 이렇게 서로 다른 세계와 서로 다른 관점(나, 타인 또는 또 다른 나, 제3자)에서 실재를 생각하고 접근한다는 것을 깨닫고 나면, 하버마스의 다음 단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서로를 이해하고, 행동이나 행위를 조직하고 조율할 수 있게 해주는 발화의 구체적인 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할 수 있게 된다. 첫째, 하버마스는 대화를 "발언" 또는 "발화 행위"라는 가장 작은 발화 단위로 나눌 수 있다고 설명한다. 우리의 대화는 이러한 수백 개의 세밀한 발화 행위로 구성된다. 둘째, 하버마스는 이러한 모든 발언 또는 발화 행위에서 우리가 "타당성 주장(validity claims)"을 제기한다고 역설한다. 타당성 주장이란 단순히 우리가 말하는 것이 정당하다거나 적절하다는 주장이다. 하버마스에 따..
설마설마했지만... 윤석열과 추종세력의 '불편한 진실'[강명구의 뉴욕 직설] '한미동맹과 안보는 보수'라는 신화의 붕괴 2025. 1. 7. 지난 한 달, 우리는 믿기 힘든 현실을 목격했습니다. 특히 12.3 내란 사태 이후의 전개 과정은 더욱 참담했습니다. 집권당은 자당 대표마저 체포하려 한 대통령을 옹호하며 탄핵 찬성 의원들을 '배신자'로 낙인찍었고, 헌법재판관 임명 거부와 특검법 거부권 행사, 체포 영장 거부로 이어지는 움직임에 힘을 실어줬습니다.도대체 어쩌다 이렇게 된 걸까요? 많은 분들이 이번 사태를 윤석열 개인이나 일부 소수 세력의 일탈적 망상으로 치부하려 합니다. 어느 정도 이해할 만한 심정입니다. 우리 사회 전체에 뿌리 깊은 문제가 있다는 불편한 진실을 인정하고 마주하는 것은 분명 고통스..
[PD수첩] 내란수괴 혐의, 그는 무엇을 노렸나 - 2025년 1월 7일 밤 10시 20분 그날, 계엄을 막지 못했다면? AI로 재구성한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계획!https://www.youtube.com/watch?v=oTh81H-hmqc
I. 하버마스의 보편적 화용론과 의사소통 행위이론 이 시점에서 회복적 사법의 맥락에 대해 설명하자면, 회복적 사법에서 우리는 이해와 합의, 조율된 행위(coordinated action) 등이 결여된 갈등의 입장에서 시작한다는 점을 독자들에게 상기시키고자 한다. 사실 애초에 악행, 범죄, 갈등이 발생하는 것은 합의와 조율된 행위가 모두 결여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평화를 회복하기 위해 이해와 합의(즉, 평화롭게 풀어가는 최선의 방법에 대한 일반적인 약속) 그리고 조율된 행위, 다시 말해 행동의 재조정과 올바른 관계(또는 서로 관계를 맺는 올바른 방법)를 이끌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 여기서 '합의(consensus)'란 개인 간에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행동을 지시하고 정보를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