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4/10/13 (2)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남성 권위’ 뚫은 한강, “한국의 폭력적 가부장제 문학으로 풀어내” 김세원, 신미정, 신다인, 이하나 기자 2024.10.11. "백래시, 온갖 혐오로 넘실거리는 세계 속에서 한강 작가의 작품들은 그동안 잊고 있던 가치를 환기시킨다."10일(현지시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소설가 한강(54)의 작품에 대해 김미정 문학평론가는 "한강 작가 작품들에 나오는 역사성에서 나오는 문제의식이 소중한 시기"라며 이렇게 말했다.한강 작가가 아시아 여성·한국 최초 노벨문학상 수상이라는 새 역사를 썼다. 문학계는 이번 수상을 "한국 문단 내에서 전통적인 주류로 평가받지 못한 여성 작가들의 작품에 대한 성차별적 해석의 패러다임을 바꿔놨다",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문학이 무엇인지 암시"한 것이라며 높게 평가했다.김 평론가..

학폭 사건 98.2% 조정…직접 중재 나서 갈등 푼 지역 교사들 김영경 기자 hope@imaeil.com2024-09-24 지난 6개월간 학폭 사건 당사자들 대화모임 57건 진행학폭위 처분 이후 발생할 수 있는 보복 행위 예방 역할도 학교폭력(학폭) 건수와 소송이 해마다 늘어나는 가운데 지역 교사들이 중재자로 나서 학폭 문제를 조정·해결한 것으로 알려져 눈길을 끌고 있다. 대구시교육청 관계회복지원단(이하 관지단)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6개월 간 학교폭력 갈등 당사자들의 관계 회복을 위한 '회복적 대화모임' 57건을 진행, 총 583명(학생 390명, 교사 129명, 학부모 64명)을 지원했다. 이 중 1건을 제외한 56건(98.2%)은 당사자들의 소송 취하, 학교폭력대책심의위(학폭위) 신청 취소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