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내 반입·사용도 금지
학부모 대부분 IT회사 직원
교육 학자들 ‘찬반론’ 팽팽
<뉴욕타임스>가 23일 소개한 사립학교인 발도르프 학교는 창의적 사고, 인간 교류, 주의력 등을 훼손한다는 이유로 컴퓨터를 구비하지 않았을 뿐 아니라, 휴대폰, 아이패드, 노트북 등 다른 디지털 기기도 못 가져오게 한다. 대부분 미국 학교들이 컴퓨터를 한 대라도 더 구입해 교실을 디지털화하려는 기조와는 정반대다.
앤디의 아버지 앨런은 구글 직원이다. 그는 “아이패드가 산수, 읽기 등을 더 잘 가르치리라고 생각지 않는다”며 “테크놀로지는 그 시간과 장소가 (따로) 있다”고 말했다. 그는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사용하지만, 앤디는 요즘 아이답지 않게 컴퓨터에서 구글 검색도 할 줄 모른다. 이 학교는 이런 교육방식에 이의를 제기하는 시각에 대해 발도르프 고등학교 졸업자의 94%가 UC버클리 등 명문대에 진학했다는 점을 내세우기도 한다.
이 학교의 ‘디지털 제로’ 학습방침은 교육학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 학교의 방침을 적극 지지하는 학자가 있는 반면, 일부 학자들은 디지털 기기 사용이 학습효과를 높이고 학습 주의력을 끌어올린다는 반론을 편다. 또 이 학교의 높은 명문대 진학률은 학부모들의 높은 교육수준과 소득 덕으로 아날로그 교육방식과는 상관이 없다고 말한다. 실제 “이 학교 학생들의 학부모는 대체로 고학력에 자유주의적 성향이며, 또 아이들이 디지털 기기를 접하려 할 때, 전문가 수준의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뉴욕타임스>는 지적했다.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에 근무하면서 이 학교에 아이들을 보내고 있는 피에르 로렌트(50)는 “어릴 때 컴퓨터를 안 배우면 디지털 시대에 뒤진다고 하는데, 컴퓨터를 다루는 건 치약을 짜는 것만큼 쉬운 일”이라며 “아이들이 좀더 큰 뒤에 컴퓨터에 익숙해지는 게 무엇이 잘못됐는지 모르겠다”는 반응을 보였다.
워싱턴/권태호 특파원 h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