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대학지성] 비판적 실재론은 “실재의 보편적 발생 기제가 세계에 있다”는 제안이다 본문

기사 및 방송

[대학지성] 비판적 실재론은 “실재의 보편적 발생 기제가 세계에 있다”는 제안이다

슈타이너사상연구소 2021. 3. 19. 20:12

비판적 실재론은 “실재의 보편적 발생 기제가 세계에 있다”는 제안이다


 대학지성 In & Out 기자
 승인 2021.03.14

■ 자연적 필연성의 질서: 친절한 비판적 실재론 입문 | 로이 바스카 지음 | 게리 호크 엮음 | 김훈태 옮김 | 두번째테제 | 215쪽




이 책은 비판적 실재론 창시자 로이 바스카의 초기 사상부터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후기 메타실재 철학까지, 명쾌하게 풀어낸 비판적 실재론 입문서이다.

비판적 실재론은 서양철학의 주류적 사고방식인 경험주의와 해석학을 비판하면서 실재를 복권하려는 시도로 현대 사상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과학철학에서 시작하여 사회과학의 철학과 변증법에 대한 해석, 이후 메타실재의 철학까지 주류 철학의 방법론을 비판하고 혁신하는 비판적 실재론은 영국의 철학자 로이 바스카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이 책은 게리 호크가 로이 바스카의 생전 마지막 화상 강연을 정리한 것이다.

비판적 실재론은 기존 서구철학에 누락되어 있었던 존재론적 전제, 즉 세계가 존재한다는 전제를 도입하는 시도라고 간단히 설명할 수 있다. 로이 바스카의 말을 따르면 이는 “우리가 알거나 알지 못할 수도 있고, 감각하거나 감각하지 못할 수도 있는 실재의 보편적 발생 기제가 세계에 있다는 제안”이다. 

옥스퍼드대학교 철학 정치학 경제학 과정에서 경제 이론을 공부하면서, 바스카는 이러한 이론을 제3세계의 경제와 관련된 논의와 연관지으려 했다. 그러나 이론이 실재와는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 그러한 논의는 이론을 다루는 데에 다뤄지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문을 가지게 된다. 이에 고심한 바스카는 이러한 이론과 실재의 괴리가 실은 철학 방법론에서 존재론, 즉 세계에 관한 내용이 없는 문제와 연관된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되었다. 이후 바스카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비판적 실재론을 주장하게 된다. 이렇게 시작된 비판적 실재론은 초월적 실재론과 비판적 자연주의를 거쳐 그 응용까지 기초를 구성하게 되었고, 이러한 기본적 또는 원형적 비판 실재론에서 부재와 이원성을 다루는 변증법적 비판 실재론으로, 마지막으로 비이원성을 다루는 메타실재의 철학까지 이르게 된다. 





1장은 기본적 또는 원형적 비판 실재론을 다룬다. 여기서는 존재론 대 인식론, 사실 대 가치, 마음 대 몸, 구조 대 행위주체에 대한 논의와 함께 세계 내의 이원론 또는 분열에 대해 탐구한다. 자동적 영역과 타동적 영역이라는 관점을 도입해 바스카는 우리가 실재적, 현상적, 경험적 공간을 만들고 이원론을 붕괴시킬 수 있음을 보인다. 2장에서는 이원성 또는 집합체를 탐구하면서 부재와 부정성의 중요성, 즉 세계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서 부재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현재도 논쟁적으로 다뤄지는 메타실재의 철학에 대해서 일별한다. 메타실재의 철학은 한마디로 존재론을 비이원성, 즉 하나로 생각하는 것이다. 바스카는 이에 대한 철학적 탐구의 여정을 통해 우리가 보편적 연대까지 다가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로이 바스카의 사상은 이원론에서 벗어나 이원성과 부재를 찾아내고 마지막에는 비이원성으로 보편적 연대와 축적 합리성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 짧은 강연을 통해 압축적으로 전달되는 이 사상적 여정을 통해 우리는 비판적 실재론의 핵심 개념에 접근할 수 있고, 자유와 해방, 연대라는 보편적 가치들이 어떻게 현실성을 갖는 해방의 기제가 되는지 그 과정을 함께 탐구할 수 있다.

이 책은 특히 국내에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바스카의 후기 사상인 메타실재의 철학에 대해서 세 번째 강의 내용을 할애해 그 개요를 그려 준다. 로이 바스카가 마지막으로 자신의 사상적 여력을 쉽게 풀어 설명하는 이 책은 비판적 실재론뿐 아니라 로이 바스카에 대한 궁금증도 어느 정도 해결해 준다. 또한 비판적 실재론의 기본 개념과 인문학 사회과학 방법론 및 인간에 대한 이론을 어떻게 정립해야 하는지, 그리고 기존 사상에서 간과한 세계의 문제를 좀 더 깊이 있게 접근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http://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