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커 (영국 회복적 정의 협의회 의장) 강연 정리 본문

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커 (영국 회복적 정의 협의회 의장) 강연 정리

슈타이너사상연구소 2018. 12. 28. 04:28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커 (영국 회복적 정의 협의회 의장) 강연 정리

 

 

2018년 11월 3일






* 회복적 정의(사법)와 회복적 실천

 

Restorative Justice.

For the basis of this keynote the definition of restorative justice used will be that of Howard Zehr:

Restorative justice is a process to involve to the extent possible, those who have a stake in a specific offense and to collectively identify and address harms, needs, and lvligations, in order to heal and put things right... Restorative justice also looks to reduce the likelihood of future offense. (Zehr: 2002, p.37)

This places restorative justice within a, largely, criminal justice context.

 

Restorative Practice.

The new paradigm of restorative processes has developed under a range of titles:

as knowledge and awareness of restoratve justice has grown, so too has its application... there [are now titles like] restorative ‘practice’ or restorative ‘approaches’. This change in language signifies a new stage in the evolution of restorative justice as it moves beyond the repair of harm caused by criminal conduct to addressing problems in schools, social services, workpalces, and neighbourhoods. (Green et al: 2013, pp1-2)

This shifting paradigm away from a justice model was driven by pracitioners, and is the underpinning set of language and behaviours upon which restorativme cities are currently being buil.

 

- 모든 교직원이 트레이닝을 받음.

우리가 원하는 가치는 무엇인가? 그것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가치에 관한 주요 단어 개 정하기

존중, 정의 등의 단어를 찾고 함께 의미를 정의하기. 같은 정의를 갖는 게 중요하다.”

 

* 교직원 중 명을 더 심화 트레이닝

 

- 회복적 단체의 필요조건 : 1) 분명한 의도 2) 정교한 계획(추측 ×)

 

- 대부분의 트레이닝은 관계 형성 작업에 있다. 공통된 가치 공유. 갈등 문제는 관계의 문제이다.

 


* 회복적 학교 만들기 성공의 3조건

1. 참여하기(Engagement)

: 내부가 아닌 외부의 사람들(모든 사람들)을 어떻게 참여시킬 것인가?
2. 이해를 공유하기(Explanation)

: 우리가 이해하는 것을 어떻게 다른 사람에게 똑같이 이해시킬 것인가?

3. 선명한 비전 갖기(Expectation Clarity)

: 우리의 미래를 정확히 알아야 하고 묘사할 수 있어야 한다.

 



 

- 구조나 단계 이전에 느낌이 중요하다.

 

- 공통의 가치를 알기 위해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이야기 나누기

 

- 회복적 실천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중요한 일이다.

 

- 한 자리에 모여 함께 계획 세우기 : 우리는 모두 문제가 잘 풀리길 원한다.

 


* 계획에 필요한 표(모든 과정의 핵심)


 

- 누구를 위해서 하는 것은 의존시키는 일이다. -> 공동체 ×, 자발성 ×

 

-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예를 들어, 택시운전사도 알아야 한다. 모두가 알아야 한다.

 


* 1) 행위(Behaviors) -> 2) 태도(Attitudes) -> 3) 가치(Values) -> 4) 신념(Beliefs)


 



- 우리가 하고 있는 것의 가치를 이해하고, 그 미래를 상상하며, 현재의 구조를 사유해야 한다. 이 구조들이 우리가 추구하는 가치를 공유하는지, 가치를 발전시킬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다양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의 충돌이 있기 때문이다. 어떤 도전이 있을지, 어떤 성공이 있을지를 시작부터 이야기해야 한다. 이 계획을 누구와 같이 갈지, 누구는 하지 않을지... 배제를 위한 것은 아니다. 오히려 반대자를 참여시키기 위한 노력이다. 목표와 현재의 결과에 대한 주기적 회의가 필요하다.

 

- 원칙은 모두에게 똑같지만 디테일한 부분은 현장마다 다르다. 유치원, 경찰, 법원, 학교 등.

 

- 프로그램이 아니라 패러다임으로 봐야 한다. 행위보다 그 밑에 깔려 있는 신념, 가치 등이 중요하다.

 

- 모두 모이는 게 중요하다. 피해자, 가해자, 조정자, 지역공동체 등. 이 기준을 확실히 가져야 한다.

 

- 살인이나 강간 같은 경우 기준이 다를 수 있다. 심각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사람은 더 강도 높은 트레이닝을 받아야 한다. 더 숙련된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 하고 싶어하는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그룹부터 시작하고, 참여하지 않는 그룹과 함께 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 트레이닝보다 더 중요한 게 실천이다. 함께 할 수 있는 사람을 많이 모으는 게 중요하다. “많은 트레이닝이 그 강의실을 떠나지 못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