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스터디 서클 Study Circle : 민주주의를 위한 최고의 선택 본문
"스터디 서클은 스웨덴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로 퍼져나갔다. 19세기 스웨덴에서는 민주주의를 구현하기 위해 스터디 서클을 활용했고 그 결과 오늘날 세계 많은 국가들이 스웨덴을 동경하고 있다. 스웨덴은 성인 가운데 3분의 1에 달하는 사람들이 스터디 서클에 참여하고 있을 만큼 아직도 스터디 서클이 대중적이다. 실제로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스터디 서클에 참여하는 사람이 시민으로서 활동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혀졌다. 스웨덴은 이와 같이 생각하고 대화하고 행동하는 체제를 아예 제도화했다. 정부가 스터디 서클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 최초의 스터디 서클은 미국에서 시작되었다.
- 미국의 셔토쿼 운동(chautauqua movement) 초창기에 스터디 서클 활용
- 셔토쿼 운동 : 19세기 후반 교회에서 교사와 봉사자를 훈련시키기 위해 처음 시작된 일종의 자기교육(self education) 제도. 이 운동은 대학에 가지 못했지만 교육에 대한 열망을 가진 여성들의 주도 아래 확산됨.
- 스터디 서클 또는 대화 서클, 공동체 대화 서클, 공동체 서클이라 부름.
"스터디 서클이 운영되는 방식은 간결하다. 저녁 시간에 6~8명의 인원이 차나 와인을 들고 한 잔씩 들고 거실에 모여 세 가지 질문에 대해 대화를 주고받는 것이다. 첫 번째 질문은 참석자들에게 자신의 경험, 즉 개인적인 이야기를 말해달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두 번째 질문은 그들이 속한 문화를 비판적으로 생각해보라고 요청하는 것이다. 세 번째 질문은 토론을 유도하며 집단적 행동은 물론 개인적인 실행 방안까지 만들어보는 것이다."
첫 번째 질문 : 언제 공동체를 경험했는가? 당신에게 의미 있었던 공동체는 무엇이었는가?
두 번째 질문 : 우리 문화에서 공동체를 방해하는 요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세 번째 질문 : 공동체를 강화하기 위해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일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 <유쾌한 혁명을 작당하는 공동체 가이드북>, 세실 앤드류스, 강정임 옮김, 한빛비즈, 2013
[스터디 서클의 4단계 주요 흐름]
0. 마음 열기 : 서로 알고 친밀해지기, 마음을 열고 대화로 진입하기
1. 자기경험(이 주제와 나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 무엇을 보았는가? 무엇을 느꼈는가? 무엇을 깨달았는가?
: 경험에 대해 성찰하기, 과거의 성찰은 현재의 옳은 결정의 기초
2. 방해요소(문제의 본질은 무엇인가?)
: 경험 속에 있는 우리를 지배하는 문화의 힘 깨닫기
3. 극복방안(변화를 위해 어떤 접근이 가능한가?)
: 개인과 공공의 변화를 위한 계획 세우기
4. 실행계획(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는가?)
: 대화에서 행동으로 옮겨가기
: 구체적인 실천과 약속 정하기
예시) 갑질(계급질) 문화에 대하여
1. 조선일보 손녀딸의 갑질 행태에 대한 기사를 보고 어떤 느낌이 드나요? 갑질과 관련된 경험이 있다면 나누어 주세요.
2. 우리 문화에서 갑질이 지속되고 근절되지 못하는 사회적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3. 갑질 없고 평등한 사회가 되기 위해 단기, 장기적으로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
4. 이 중에서 내가 구체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약속은 무엇인가요?
* 한국평화교육훈련원 KOPI 자료집 참고
'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치심에 대하여 (2) (0) | 2019.02.26 |
---|---|
수치심에 대하여 (1) (0) | 2019.02.25 |
다니엘 리젤(Daniel Reisel) : 회복적 정의와 신경과학 (0) | 2019.01.10 |
크리스토퍼 스트레이커 (영국 회복적 정의 협의회 의장) 강연 정리 (0) | 2018.12.28 |
서클 프로세스(Circle process)란 무엇인가? (0) | 2018.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