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mbc 뉴스데스크] 문밖의 아이들, 독일 베를린 발도르프 학교 열린 교육 본문
* 자료를 찾다가 2002년 5월 mbc 뉴스데스크에 소개된 베를린 발도르프학교 모습을 발견했습니다. 짧은 내용이지만 핵심은 잘 짚은 것 같아 올립니다. 동영상은 링크를 따라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2/1890708_19562.html
문밖의 아이들, 독일 베를린 발도르프 학교 열린 교육[손관승]
[문밖의 아이들, 독일 베를린 발도르프 학교 열린 교육] ● 가정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문 밖을 서성거리는 문 밖의 아이들을 막기 위해서 독일에서는 특이한 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별 성적 순위를 매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장이라는 직위도 두지 않는 등...
imnews.imbc.com
[문밖의 아이들, 독일 베를린 발도르프 학교 열린 교육]
● 앵커: 가정과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고 문 밖을 서성거리는 문 밖의 아이들을 막기 위해서 독일에서는 특이한 학교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개인별 성적 순위를 매기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교장이라는 직위도 두지 않는 등 위계질서를 배격하는 학교입니다.
베를린에서 손관승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
● 손관승 특파원: 피아노 음악에 맞춰 군무를 추는 고등학생들.
같은 또래의 한국 아이들이 밤늦도록 입시 문제집과 씨름하는 것과는 너무나 대조적인 장면입니다.
베를린 발도르프 학교의 제1 교육목표는 세상의 아름다움을 깨닫고 자기 소질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 마리안네 슈미트 (교사): 우리 학교에선 누구나 악기 하나는 완전히 익히고 미술과 연극등을 통해 자기표현법도 배운다.
● 손관승 특파원: 시험과 학습평가는 물론 실시되지만 학생들 간의 석차는 매기지 않는 대신 인성과 타인과의 조화능력도를 종합한 서술형 평가서를 받습니다.
학교 운영도 교사와 학부모의 회의에서 결정되며 교장이라는 직책조차 없는 철저한 자율학교입니다.
● 안 그레니스 (교사): 아이들의 전체지능과 능력발달을 중시하기 때문에 갈수록 많은 부모들이 우리 학교에 몰린다.
● 손관승 특파원: 차별과 꾸중 대신 함께 어울리는 법부터 배운 때문인지 이 학교에서는 교문 밖을 서성거리는 아이들을 찾아보기가 힘듭니다.
● 발도르프 학교 학생: 다른 학교에 다닐생각을 한번도 한 적이 없다.
학교에선 특히 폭력이 심하지 않아서 좋다.
● 손관승 특파원: 공장의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처음 시작한 발도르프의 열린 교육은 현재는 네덜란드와 독일을 중심으로 전세계 670개 학교로 퍼져나가고 있습니다.
베를린에서 MBC뉴스 손관승입니다.
(손관승 기자)
'기사 및 방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레카] 신종 사업 ‘스마트폰 없는 육아’ - 구본권 (0) | 2019.07.11 |
---|---|
논쟁을 대화로 이끄는 기술, 화쟁사상 - 조성택 (0) | 2019.07.11 |
번역에 깔린 패배주의 - 황현산 (0) | 2019.05.27 |
['2019 미래교육' 현장보고서] "4차혁명 시대 걸맞는 인재, 한국 교육으론 어렵다" (0) | 2019.04.21 |
[동아사이언스] 풍부한 의사소통 위해.. 인류, 코 빼고 얼굴 돌출부 다 버렸다 (0) | 2019.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