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발도르프 역사수업 교육과정 예시 본문
* 이 자료는 푸른숲 발도르프학교에서 정리한 역사수업 교육과정입니다. 발도르프 역사교육에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cl. | 분야 | 주제 | 소재 | 참고서적 | 학생도서 |
3 | 구약창세신화 | -세상의 처음, 신의 의도, 그 안의 인간 | 창조의 7일, 아담과 이브, 노아의 방주, 바벨탑 | <명화로보는 반룬의 구약성서이야기>반룬 著, 생각의나무 |
|
우리창세신화 | 창세가, 대별왕, 소별왕, 마고할미 등 | <살아있는 우리 신화> 신동흔 著, 한겨레신문사 |
| ||
만주창세신화 | <천궁대전, 우처구우러본> | <왜 우리신화인가> 김재용, 이종주 著, 동아시아 |
| ||
4 | 북유럽신화 | -다양한 신들의 세상 -인간과 신의 만남/혼재적 존재 | 지혜의 신, 토르의 망치, 이둔의 젊음의 사과, 라크나뢰크 등 | 이인희, 북유럽신화,북유럽신화 | <북유럽신화>, 웅진주니어 |
중국창세신화
| 혼돈, 반고, 여와와 복희, 치우천왕, 삼황오제 등 | <이야기 동양신화-중국편> 정재서 著, 김영사 | <이야기 동양신화-중국편> 정재서 著, 김영사 | ||
우리신화 | 바리데기, 오늘이 등 |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 신화> 서정오 著, 현암사 | <바리데기>, <오늘이>, <마고할미>, <창세신화>, <나무도령> | ||
5 | 인도신화와 초기역사 | -인류의 첫 발자국 -인간 集成 -문명과 문자(거대한 자취)
| 마누이야기, <마하바라타>, <라마야나>, 갠지즈/인더스강 이후 다른 에포크의 이야기 시간에 붓다이야기를 따로 다룸. | <Ancient Myth>-이하 공통 찰스 코박 著 <에세이세계사>-이하 공통 대월서적편집위원회著,백산서당 <인도신화> |
|
메소포타미아신화와 초기역사 | 수메르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쐐기문자, 티그리스/유프라테스 강, 최초의 나라 우르, 지구라트, 점토도장 | <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제카리아 시친 著, 이름아침 <최초의 신화, 길가메쉬 서사시> 김산해 著, 휴머니스트 <수메르신화> 조철수 著, 서해문집 | <길가메쉬 서사시> | ||
페르시아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 페르시아, 함무라비왕조 | 조로아스터 |
| ||
이집트신화 | 나일강, 이시스와 오시리스 및 여러 신들, 상형문자, 사자의 서, 피라미드 | <이집트신화>, 람세스 (전집) |
| ||
중국고대사 | -아시아에서의 고대문명과 역사의 흐름 -고대그리스시대와 맞물려, 모여살기 시작한 땅의 존재 인간, 인간의 지혜와 인간의 갈등 | 황하, 갑골문자, 실크이야기, 중국초대국가, 요순임금, 춘추전국시대와 공자, 진나라 진시황제 | <교양있는 우리아이를 위한 세계역사이야기1>-이하 공통 수잔 와이즈 著, 꼬마이실 <중국역사> | <교양있는 우리아이를 위한 세계역사이야기1>-이하 공통 수잔 와이즈 著, 꼬마이실 <중국역사> | |
한국고대사 | -우리 땅에서의 고대역사의 시작 -이 땅에서의 인간 삶의 시작 | 한반도에서의 삶, 구/신석기시대, 최초의 나라-조선, 청동기시대, 전쟁과 최초의 나라의 멸망 | <이이화 한국사이야기>-이하 공통 이이화 著, 한길사 <한국생활사박물관>-이하 공통 사계절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이하공통 |
| |
고대그리스사 | -모여살기 시작한 땅의 존재 인간 ;소규모국가, 국가의 존속문제, 국가 간의 갈등, 인간의 이성과 지혜 | 미케네문명, 지중해를 둘러싼 지형, 페니키아와 페니키아 문자/그리스문자, 도시국가-폴리스, 페르세폴리스와 아테네와 스파르타, 과두정과 민주주의, 시민과 민회/노예, 올림픽, 아테네와 페르시아 전쟁, 소크라테스의 생애와 아테네의 몰락, 다신교, 철학자들(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그림<아테네학당>), 마케도니아, 알렉산드로스대왕, 알렉산드리아 도시 탄생 | <인류이야기>-이하 공통 반룬 著, 아이필드 <그리스의 영웅들> 플루타르크 著, 돋을새김 <고대 그리스의 역사> 토머스 마틴 著,가람기획 <알렉산드로스 침략자 혹은 제왕> 마이클우드 著, 중앙M&B | <그리스신화> <오디세이아> <일리아드> | |
6 | 동양고대사 | -국가의 존속과 멸망 -그 안에서 인간의 삶과 정신성 -국가 간의 관계, 교류, 갈등 | 중국 한나라와 아시아 여러 민족들, 실크로드, 페르시아, 동양의 교류, 한반도의 국가들(부여, 옥저, 삼한, 가야 등과 고구려, 백제, 신라 등),각 건국신화 개별 작업, 한반도에서의 삶/인물들, 한반도 국가들 간의 관계, 아시아대륙 국가와 한반도 국가와의 관계, 한반도의 통일, 한반도에서의 종교와 예술(정신성), 남북국시대(발해와 신라) |
<실크로드> 삼성당 <에밀레종의 비밀> 성낙주 著,푸른역사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1) |
|
고대로마사 | -국가로서의 인간의지 실현 ;로마의 팽창(로마법, 도로, 군사, 이민족에 대한 처우, 건축) -신에 대한 인간의 관점 ;종교, 종교의 정치화 | 왕정시대, 라틴문자, 공화정시대, 시민/노예/이민족, 포에니전쟁과 한니발, 로마군사, 로마의 도로/건축, 포룸, 로마의 법,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팍스로마나, 황제시대와 로마의 분열, 다신교와 일신교, 비잔티움, 콘스탄티노플 이후 다른 에포크의 이야기 시간에 성경이야기를 따로 다룸. | <8년간의 교실여행> 토린 핀서 著, 과천자유학교 <로마인 이야기> 시오노 나나미 著, 한길사
| <로마인 이야기> 시오노 나나미 著, 한길사 | |
7 | 한국중세사 | -한국인이 향했던 것은? ;‘국가’라는 집단성, 그 안에서의 인간정신이 추구했던 것은 무엇이었을까. | 고려, 고려의 여러 집단 간의 갈등, 몽골의 팽창, 고려의 종교와 예술, 세계와 교류(벽란도), 조선의 건국과 사회(양반의 성장), 문화(과학기술, 훈민정음창제, 양반/서민문화 등) |
<한국사 오딧세이> 김정환 著,바다출판사
| <한국사편지> 박은봉 著, 웅진닷컴 <인물로 보는 고려사> <인물로 보는 조선사> <청소년을 위한 고려사> <고려사이야기1,2,3> <조선사이야기1,2,3> |
세계중세사 |
-인류가 걸은 다른 길 ;동양과 서양 중세의 대비
-집단으로서의 인간 ;종교, 정치, 신분으로서의 정체성
-개인으로서의 인간의 탄생 ;르네상스 | ·동양- 아시아(캄보디아(앙코르와트)의 황금시대, 캄보디아 주변강대국으로서 태국과 베트남), 이슬람의 탄생, 무슬림의 정신과 팽창, 장안과 바그다드의 번성, 세계사를 바꾼 중국/인도의 발명품들(인도의 數, 중국의 나침반, 화약 등), 원(몽골)의 팽창
·서양- 로마 분열 이후 지중해 주변 여러 민족의 일어남과 패망, 봉건제(영주와 기사/수도사, 제3계급의 탄생), 종교(종교재판), 십자군전쟁, 향료 등 동양에 대한 동경과 열망, 종교개혁
·르네상스-신흥계급(부르조아)과 새로운 數의 전파(‘수학사’시간에 다시 다룸)로 상업의 번성, 동서양의 무역, 마르코폴로, 정화, 도시 피렌체, 피렌체의 예술과 인물들(메디치, 브루넬레스키, 도나텔로, 마사초, 다빈치, 미켈란젤로, 단테), 원근법, 대항해시대 및 콜롬부스와 신대륙발견과 마젤란의 세계일주(‘기상학’시간에 다시 다룸),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 <중동의 역사> 무타구치 요시로 著,삼양미디어 <세계사편력> 네루 著, 일빛 <부의 역사> 권홍우 著, 인물과 사상사 <자연의 수학적 열쇠, 피보나치 수열>이광연 著, 프로네시스 <르네상스 미술이야기> 조승연 著, 세미콜론 <인간시대 르네상스> 박홍규 著, 필맥 <나의 친구 마키아벨리> 시오노 나나미 著, 한길사 <브루넬레스키의 돔> 로스 킹 著, 세미콜론 <십자군전쟁> 시오노 나나미 著 <위대한 탐험가들> 노비레시오 著, 생각의 나무 <탐험의 역사 마젤란>
<미켈란젤로>,<다빈치>,<라파엘로> 마로니에 북스 <8년간의 교실여행> 토린 핀서 著, 과천자유학교 <1421 중국 세계를 발견하다> 사계절 | <중세의 역사> 브라보시리즈, 사계절
<코페르니쿠스> 하인츠 슈폰젤, 과천자유학교
<갈릴레이 두 우주 체계에 대한 대화> 오철우 著, 사계절
<탐험의 역사> 레슬리 미첼 著, 가람기획
| |
8 |
|
|
|
| 방학중 정조-정약용,이순신-원균 (<원균, 원균> 고정욱 著) |
세계근현대사 | -혁명; 다시 태어난 인간, 인간의 의미를 시대에 묻다 | 미국독립전쟁, 산업혁명, 프랑스혁명 | <프랑스혁명에서 빠리꼼뮨까지> 노명식 著, 까치 <시몬 볼리바르> 반룬 著, 서해문집 | <시몬 볼리바르> 반룬 著, 서해문집 | |
한국근현대사 | -근현대를 맞는 한반도 -‘혁명’이란 무엇인가. 무엇을 위한 것인가, 누가 일으키는 것인가. | 유형원의 토지제도 개혁, (개별한계를 극복하지 못 했으나) 실학자들의 개혁의지, 실학과 성리학, 임진왜란 이후 쇼군이 지배하는 막부시대에 무역에 뛰어든 일본, 병인양요, 신미양요,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치, 농민봉기와 전봉준, 동학혁명, 일제시대, 독립운동, 지금도 계속되는 근대사(위안부) | ※ 4.19, 5.16 등 그때마다 역사이야기 들려주기 | <운현궁의 봄> <비석을 찾아서> 복거일 <broken reed> 펄벅 著 |
'발도르프교육학 > 발도르프 역사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테르 쿠스 선생님의 역사교육 강의 (2) (0) | 2021.09.04 |
---|---|
디테르 쿠스 선생님의 역사교육 강의 (1) (0) | 2021.09.04 |
발도르프 학교의 역사수업 제안 - 최혜경 (2) | 2018.02.06 |
발도르프 학교의 역사 교육 : 5-8학년 (2) | 2018.02.04 |
발도르프학교의 역사교육 (0) | 2016.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