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발도르프 부모교육 (26)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이 글은 2022년 6월 18일에 있었던 발도르프 학교연합 학부모공동체 특강 내용의 일부입니다. * 발도르프학교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우리의 근대적인 교육체계는 아이들에게 관심이 별로 없습니다. 다만 이 사회에서 무엇이 필요한가,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아이들 머리에 집어넣을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더 일찍 더 잘 집어넣을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뿐입니다. 근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인간에 대한 이해가 정말 필요하구나', 이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발도르프 교육을 알게 되었습니다. 발도르프 교육을 받고 자란 아이들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는 아이들이 잘 자랄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발도..
체벌에 관하여 볼프강 자스만스하우젠 박사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아직 완전히 성장하지 않은 존재이고, 또 자신들이 하는 행위에 대해서 모든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그들은 전체적 측면에서 온전한 사람이긴 합니다. 그러나 자신들의 행위에 대해서 아직 책임은 갖지 않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그들에게 도움을 줘야 합니다. 그들은 도움이 필요합니다. 부모의 도움, 교사의 도움, 교육자들의 도움, 그리고 할머니 할아버지들의 도움도 필요합니다. 그러니까 우리가 유년기, 청소년기를 들여다보면 우리의 책임이 점점 더 커져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어른인 우리들이 어떤 실수를 했을 때 우리는 우리 스스로가 책임을 져야 합니다. 어린이들이 발달과정에서 위기에 처하게 되었을 때 어린이는 어른인 우리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바로 어린..
건강한 교육공동체 형성하기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저는 좋은 교육에 대한 노력이 반드시 발도르프교육의 이름으로만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발도르프교육의 철학과 인간학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며, 실제적이고 실용적이라고 믿기 때문에 이 길을 가고자 합니다. 대안을 추구했던 많은 교육공동체가 시간이 지날수록 실패로 귀결되는 것을 봐왔습니다. 거기에는 공동의 철학을 만드는 작업에 실패한 것이 큰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에게 발도르프교육에 대한 신뢰가 있다면 함께 공부하고 합의하여 길을 열어가는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이때 발도르프교육은 좋은 교육의 다른 이름입니다. 발도르프교육의 인간학과 예술적인 수업 방식, 발달단계를 고려한 교육과정 등은 공교육의 교육철학에도 중대한 영향..
2021학년도 부산발도르프학교 국제(Zoom)특강 코로나 위기를 넘어선 ‘진정한 만남’ * 부산발도르프학교 학부모교육 서기록 http://www.busanwaldorf.com/bbs/board.php?bo_table=data_room&wr_id=206 2021. 4. 7 강사 : 마가레타 레버 (슈투트가르트 발도르프 사범대학 교수) 통역 : 이정희 (슈타이너 연구센터 / 나임발도르프 평생교육원) 안녕하세요? 저는 마가레타 레버입니다. 발도르프 교사양성기관인 슈투트가르트 발도르프 사범대학 교수로 근무하며 동시에 울란츠회 발도르프학교에서 6학년 담임을 맡고 있습니다. 부산학교를 방문한 적이 있습니다. 따뜻한 기억으로 남아 있으며, 이렇게나마 얼굴을 보며 다시 만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오늘 강연에 오신 모..
성인 뇌의 80%까지 성장하는 영유아기! 아이에게 필요한 부모의 애착육아 | KBS 파노라마 “세 살의 행복한 기억” (KBS 140227 방송) https://www.youtube.com/watch?v=dyccH9r2YX8 KBS 파노라마 “세 살의 행복한 기억” (2014.02.27 방송) ‘생후 3년 동안 아기에게는 관심과 집중이 필요하다.’ 말랑말랑한 아기의 뇌는 3세까지 성인 뇌의 80%까지 성장한다. 이 시기에 인간 간의 신뢰감, 사람 관계, 기본적인 감성이 모두 형성된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부모의 양육에 따라 뇌 성장에 차이가 생긴다는데… [KBS 파노라마]를 통해 우리 아이의 미래를 좌우하는 영유아 시기의 애착 육아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 우리나라 영유아 행복한가? ‘우리나라 0∼2..
가정에서의 발도르프 연계 교육 (1부) 정릉발도르프학교 학부모 강의 1차 1부 2021년 6월 6일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먼저 발도르프 교육기관에 아이들을 보내시는 부모님들께 존경의 마음을 표합니다. 발도르프 교육운동이 펼쳐지려면 부모님들께서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주셔야 합니다. 공교육과는 다른 발도르프학교에 아이들을 보내주신 부모님들의 용기와 결단에 감사한 마음입니다. 저는 초등학교 교사로 일하기 시작했는데요, 제가 가장 먼저 맡게 된 학생들은 4학년 아이들이었습니다. 그런데 막상 아이들을 가르치려고 보니 교사라는 일을 위해 교육대학교에서 4년 동안 열심히 공부하고 배웠지만, 놀랍게도 4학년 아이들이 어떠한 존재인지는 배운 적이 없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이상했습니다. 4학년 아이들의 선생으로 아이들 ..
사회적으로 우리는 전환의 시기에 와 있습니다 2011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기억하시나요?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했지요. 그러나 더 이상 언론에서도, 심지어 일본 내에서도 이제는 언급하지 않습니다. 잊고 싶은 기억이겠지만 실제로 일본은 망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멜트다운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체르노빌에서는 군인들을 동원해 노심융해를 막았지만, 일본의 경우 그런 희생을 감내할 수도 없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14년 세월호 사건이 일어났고 촛불혁명 등의 일이 있었지요. 그러나 여전히 적폐 세력은 존재합니다. 기득권을 유지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기득권을 붙잡고 있는 집단은 민주주의, 정의... 그런 건 필요없다고 말합니다. 모든 인간이 평등하고 존엄하다?..
의식혼의 시대 30대 후반이 되면 영혼의 가장 높은 단계에 이르게 됩니다. 이를 의식혼이라고 하는데요, 누구나 자연스럽게 그 상태에 진입하는 것은 아닙니다. 의식혼은 대단히 영적인 또는 정신적인 영혼의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영성이란 게 무엇입니까? 정신이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일상적인 주제는 아니지요. 인간의 정신적인 요소를 들여다본다면, 우리의 영혼 또는 마음이 주관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것에 비해 영 또는 정신은 객관적이고 고차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주의 법칙, 섭리, 진리, 선 등과 관련되어 있는, 우리 자신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입니다. 20대의 영혼은 자기중심적이지만, 30대가 되면 자기인식을 하려고 하지요. 가능하면 합리적으로, 객관적으로 세상을 보려고 노력합니다. 30대 ..
이제는 성인기인 20세 즈음부터 이야기해볼까요. (21-28세. 4번째 7년 주기) 보통 스무살이 넘으면 어른이 되지만 30세가 되어도 자아가 약해서 두 발로 서기 힘든 분들이 있습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았어도, 아이가 아이를 키울 수는 없는 일이기 때문에 아이 키우는 일이 남들보다 무척 힘이 듭니다. 이건 비판이 아니라 안타까운 사실을 말하는 것입니다. “나는 완전한 어른이야...”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없겠지요. 우리 모두가 어른이 되어가는 중입니다. 부모가 되었다면 아이를 통해서 배우는 것입니다. 아이와 어른의 차이를 보자면, 아이는 자기가 저지른 일에 대해 책임 지는 것을 어려워하지만 어른은 자기가 했던 말, 행동을 책임질 수 있어야 합니다.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는 아이가 있다..
아이의 발달주기, 부모의 인생주기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특별한 경험입니다. 우리가 어른이 되어 결혼을 하고 아이를 갖는다는 것, 그 아이를 무사히 출산하여 어린이집과 학교에 갈 만큼 돌보며 키운다는 것은 어떻게 보면 축복과 같은 일입니다. 하루 하루 아이가 주는 경이로움과 사랑, 그 감사함이 육아의 어려움보다 더 크셨으면 합니다. 지금 저의 아이는 일곱 살이라 내년에 학교를 가게 되는데요, 육아를 하면서 발도르프 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던 경험이 저에게는 참 소중했습니다. 덕분에 아이에게 이야기를 지어내 들려줄 수 있었고, 노래를 불러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제 나름의 교육 원칙도 확고히 할 수 있었고요. 그래서 발도르프 교육을 함께하시는 부모님들께 도움을 드리고자, 올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