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지학/사회삼원론 (54)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자유로운 판단에서 자유로운 의견 제안으로 현재까지 시행되었던 단체의 방침이 개인의 판단과 어긋나고, 시간이 지날수록 무언가 새로운 시도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책임감을 느낀다면 어떻게 해야 좋을까? 성인이라면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견해를 자유롭게 알릴 수 있어야 한다. 신문, 방송, 언론의 자유는 이럴 때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한 것을 실천에 옮길 때 다른 사람도 그 일에 참여하도록 강요해서는 안 된다. 자신이 자유를 누리기 위해 다른 사람의 자유를 억압한다면 이 자유는 진정한 자유가 아니다. 다른 사람에게는 그 사람의 자유의사에 전적으로 맡겨야 한다. 예컨대, 제도교육에 불만을 품고 있는 한 부모가 설득력이 약해서 아니면 다른 이유로 자신의 의견을 충분히 알리지 못하..
국가의 간섭과 감독을 받는 정신, 문화, 교육 영역 프랑스혁명이 일어난 지 몇 년도 채 되지 않아 나폴레옹이 정신, 문화, 교육 영역을 국가가 정하는 테두리 속에 가두어 버린 것은 안타까운 인류역사의 운명이었다. 그 이후 오늘날까지 대부분 국가들은 나폴레옹의 전철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니 말이다. 이렇게 정부가 정해 주는 방침대로 정신, 문화, 교육이 끌려가면 제도에 충성하는, 틀에 박힌 국민을 육성할 수는 있으나 자기의 행동을 스스로 책임지며 살아가는 자유로운 인간을 기대하기란 어렵다. 물론 이런 자유인이 많아지면 현 제도도 자연히 바뀌어야 하겠지만 말이다. 그러나 정권을 쥐고 있는 사람들 머릿속에는 정부가 교육내용까지 정해주는 것이 당연할 걸로 박혀 있다. 물론 다수결로 선출된 대표들..
* 사회 삼지성에 관한 중요한 저작으로 우도 헤르만스토르퍼 선생님의 글을 연속으로 올립니다. 이 글은 본래 행동하는 정신 제10호에 수록된 글로서 변종인 선생님이 번역하셨습니다. 원문과 비교하며 용어와 문장을 일부 수정하였습니다. 원문은 아래의 사이트에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http://www.sozialimpuls.info/Assets/PDF_Dateien/Herrmannstorfer-Individualitaet-1990.pdf 개인과 국가Individualität und Staat- 현 시대가 요구하는 사회 유기체의 삼지성Dreigliederung des sozialen Organismus eine aktuelle Zeitforderung 우도 헤르만스토르퍼(Udo Herrmannstorfer)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