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2025/03/25 (2)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윤리학의 삼위일체 실재론적 진리론 우리는 바스카가 자연주의의 한계를 탐구한 것이 그를 해석학으로 이끌었다는 것을 보았다. 반대로 하버마스는 해석학의 한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지배에 대한 비판으로 나아갔다. 실재론적 개념이 자연과학에서 사회과학으로 전치될 수 있다는 바스카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실재론적 장면(footage)에 비판 이론을 입힐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미, 가치, 표현의 존재론으로서 해석학을 도입할 수도 있다. 바스카(1993)와 함께, 우리는 하버마스의 신칸트주의적 세계 구성 이론을 인식적 관심(Erkenntnisinteresse)*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인식적 관심은 다양한 방식으로 세계를 드러내지만, 세계를 구성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자연, 인간, 사회 세계가 일정한 구조를 가지..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만 잘살겠다는 이기심이 낳는 불행 2025.03.22 인간은 언제나 이해하기 어려운 존재였고 사람들의 정치적인 행동 또한 그러해서 "도대체 왜?"라는 질문을 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전세계가 극우화, 정치적 견해 차이의 양극화 등의 현상들을 보이고 있고 미국의 경우 1월 6일 국회의사당을 점거한 폭도들을 전부 사면하는 등 그동안 한 사회가 중요시 여기던 ‘가치’라는 것들이 무너져 내리는 듯한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저소득층일수록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투표를 하는 경향 또한 이전부터 존재했으나 최근에는 정부 지출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급격하게 나타나면서 이런 현상 또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예를 들어 어느 작고 가난한 시골 마을에서는 70%의 사람들이 복지혜택, 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