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발도르프 수학교육 (11)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독일어 원자료와 구글번역기로 번역한 자료를 함께 올립니다. 잘 활용하시길요.
수학을 배우는 진정한 이유 추천의 글 크리스 클라크Chris Clarke 영국 윈스톤 발도르프학교 교사 수학은 가르치기 쉽지 않은 과목이다. 자칫하면 아이들이 수학을 무시무시한 괴물로 여기면서 마음의 문을 굳게 닫아걸기 일쑤이기 때문이다. 수학은 우리에게 세상의 위대한 아름다움을 펼쳐 보여주는 학문이자, 퍼즐 같은 지적인 유희로 사고를 자극하는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간이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언어'이자 삶의 기술인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 1990년 영국 정부는 아이들이 암산에 필요한 기초실력이 부족하다는 사실에 다시 한번 깊은 우려를 표했다. 상황의 심각성을 몸 바쳐 입증하고 싶었는지 한 교육부 각료가 최근 텔레비전 인터뷰에서 '7×8 = 54'라고 답하는 웃지 못할 실수를 저지르기도 했다!..
발도르프 수학교육과정 정리 ◈ 1학년 a) 곧은 선(직선)과 굽은 선(곡선)을 경험. 몸의 자세로, 직선과 곡선을 따라 걸으면서, 칠판이나 큰 종이 위에 크레용으로 그리면서. 수채화나 조소로도 가능하다.b) 자연수 도입. 전체로부터 부분으로(예: 나무막대기를 부러뜨리기)각 숫자를 세상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기.c) 수세기: 먼저 10까지, 다음엔 20까지, 마지막엔 100까지. 처음엔 운율 있는 노래나 시에 맞추어, 나중엔 숫자만 연속해서. 콩주머니나 공을 던지고 받으면서, 특히 손가락(발가락도 가능)을 이용해서. 뜀뛰기, 줄넘기, 노래, 머리 어깨 등 신체를 짚으면서, 눈 감고 속삭이거나 혹은 큰소리로, 둥글게 서서 앞뒤로 움직이면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 변형.d) 조개껍데기나 돌멩이, ..
게오르그 글뢱클러 선생님의 수학 강연 (3) - 2012년 4월 25일 수요일 예, 오늘은 대수를 좀더 하고 시간이 남으면 천문학을 하겠습니다. 대수를 할 때 암산은 뭘하면 좋을까요? 예를 들어서, 제가 어떤 수를 생각합니다. 거기에 6을 더합니다. 그러면 10이 됩니다. 제가 무슨 수를 생각했을까요? (4!) 또 하나의 수를 생각했어요. 거기에 7을 더하고요, 전체를 5로 나누면 2가 됩니다. 처음 숫자가 뭐였을까요? (3!) 이제 더 어려워질 거예요. 하나의 숫자에 5를 더하고 곱하기 2를 한 다음 빼기 4을 하면 12가 됩니다. (3!) 다 그렇게 나오셨나요? 아니면 몇 분 틀리셨나요? (웃음) 또다른 숫자를 생각할게요. 5를 뺍니다. 곱하기 2를 해요. 더하기 9를 해요. 그러면 1이 됩니다. (..
게오르그 글뢱클러 선생님의 수학 강연 (2) - 2012년 4월 24일 화요일 오늘 다시 인사드리겠습니다. 어제 제가 마지막에 질문이 있으면 미리 주셔서 시작할 때 함께 했으면 좋겠다고 했는데요. 혹시 질문이 있으신가요? - 어제 수업 내용이 아니라, 혹시 시간이 되시면 6,7학년에서 교사가 천문학 수업을 할 때 어떤 상을 갖고 준비하면 좋을지 말씀해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1-3학년4-5학년6-7-8학년 어제 말씀 드린 세 가지의 구조는 상당히 중요합니다. 4-5학년 과정에서는 어제 분수 연산에 대해 했지요. 지금은 조금 결정적인 순간이 왔습니다. 어제 한 것은 절대적으로 아이들이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만약 그걸 하지 못한다면 앞으로도 계속 어려움을 갖게 될 것입니다. 저는 상급 학생들에게 보충수..
게오르그 글뢱클러 선생님의 수학 강연 (1) - 2012년 4월 23일 월요일 1-34-56-7-8 자, 진심으로 인사드립니다. 제가 요청 받은 테마는 천문학과 6~8학년의 기하학에 관한 것이었는데요, 지금 또 다시 받은 주제는 1~8학년 수학수업에 관한 것입니다. 그래서 여러분과 확인하고 싶습니다. 여러분이 기대하시는 게 다르다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확인하려고 하는 것입니다. (좋아요!) 좋습니다! 그러면 수학에 대해 1학년부터 8학년 과정까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비록 통역을 통해서지만 우리가 함께 이러한 것들을 나눌 수 있다는 것입니다. 슈타이너는 스스로 표현하기를, 1~3학년은 ‘형성하는 교육(구성하는 교육)’이라고 하였습니다. 이것에서 일반적인 공교육에서 하는 교육적 방식..
우리 삶에서의 수학과 천문학의 의미2012년 4월 25일 수요일 친애하는 여러분, 좋은 저녁이시길 바랍니다. 제가 지금 실내화가 맞지 않아서 걷다가 벗겨질 수도 있습니다. 제게는 좀 작아서 잘 걷는 연습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우리 삶에서의 수학과 천문학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어디에서 그걸 찾아야 할까요? 수학과 천문학을 전공하려면 각각 12학기가 필요합니다. 엄청난 지식이 축적되어 있지요. 두 과목은 발도르프학교의 과목이기도 합니다. 천문학은 본래 6학년부터 시작합니다. 수학은 1학년부터 시작하지요. 하지만 우리가 천문학자나 수학자를 만들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우리가 원하는 것은 당연히 삶에 도움이 되길 바라는 것입니다. 요리를 아주 잘할 수 있는 주부에게 학교의 수학수업은 어떤 의미일까요? 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