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2015. 7. 25 토요일 장소: 청계학교 강당 주제: "발도르프학교에서 부모의 역할" 강사: 발렌틴 벰버 안녕하세요, 사랑하는 부모님 여러분. 어제 저녁 강연에서 저는 미래를 준비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그리고 도입부에서는 발도르프 학교운동에 관한 여러분의 질문에 답을 했습니다. 오늘 강연을 시작하기에 앞서 어제 저의 답변을 조금 수정하겠습니다. '입시준비를 해주는 것이 교사들의 몫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제가 '그렇다‘고 대답했던 것을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 대답이 보편적인 것으로 들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는 특정국가의 특정한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발도르프 학교는 공교육 환경 속에 살고 있다고 이야기하면서 1919년 슈타이너가 했던 충격적인 발언을 인용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공교육..
2015. 7. 24 금요일 장소: 청계학교 강당 주제: "발도르프학교에서 부모의 역할" 강사: 발렌틴 벰버 안녕하세요, 사랑하는 부모님 여러분. 어제 주신 질문으로 시작을 하겠습니다. 질문 한국은 독일과 달리. 국가 교육과정이 강력한 가이드라인이 되고 있습니다. 근본적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책을 바꾸려는 노력을 해야 하는데, 실제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쳐야, 실제 교육 생태계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인 교육시스템이 있어야한다고 생각하는데요. 독일에는 교육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발도르프 사회의 활동의 역사가 있는지, 그것을 한국에 적용하기 위한 팁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었어요. 아주 핵심적 질문입니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그 답은 ‘아닙니다.’ 입니다...
2015. 7. 23 목요일 장소: 청계학교 강당 주제: "발도르프학교에서 부모의 역할" 강사: 발렌틴 벰버 안녕하세요. 사랑하는 부모님 여러분. 발도르프 교육이 과연 무엇인가에 대해 여러분께 말씀드릴 기회를 갖게 된 것에 감사드립니다. 저는 독일에서 1919년 첫 번째 발도르프 학교가 설립된 그 도시에서 발도르프 교사로 일했었습니다. 30년 동안 아주 큰 열정을 가지고 교사로 일을 했고 그 열정은 계속해서 더욱 커져갔습니다. 솔직히 말씀드리건대 미국, 독일, 유럽의 발도르프 교육에 대해서는 아주 잘 알지만 한국의 발도르프 교육 현실은 별로 아는 바가 없습니다. 그래서 어떤 조언을 드리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제가 조건을 잘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여러분께 발도르프 교육이 원래 무엇인지에 대해..
수공예 교사 발도르프 학교의 수공예 선생님들은 학교내의 다른 모든 교사들과 마찬가지로 인지학에 대한 똑같은 기본적인 공부를 해야 한다. 수공예 선생님들은 아동발달과 커리큘럼에 대한 확실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또한 수공예 선생님은 페인팅, 형태 그리기 그리고 오이리트미 등을 색깔에 대한 감각을 살아 있게 하고 형태와 공간에 대한 감정을 강화하기 위해서 경험을 쌓아야 한다. 수공예 선생님들은 아동에 대해서 잘 집중을 하고 진정한 흥미를 가져야만 하며 유머감각이 있어야 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 교사가 스스로를 완성하는 영적인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 슈타이너의 가르침에 따라서 읽고 일해야 한다. 교사가 느끼는 것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와 교실에서 아이들 앞에 섰을때 아이들이 어떻게 반응하느냐에 따라서 자신..
아이들을 온전하게 사랑한다는 것- 발도르프교육의 인간 이해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안녕하세요? 따뜻한 봄날 이렇게 뵙게 되어 기분이 좋습니다. 오늘 제가 이 자리에서 여러분들께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사실 한 가지 주제입니다. ‘우리는 아이들을 어떻게 사랑해야 하는가?’입니다. 우리는 아이들을 키우고 가르치며 살아갑니다. 우리 자신의 삶도 있지만 어느 날 아이들이 우리에게 찾아왔고 우리는 아이들의 삶 역시 책임져야 합니다. 우리 모두는 이 사랑스러운 아이들을 잘 키우고자 하는 마음과 그에 따른 부담을 안고 살아갑니다. 아이가 생긴 뒤로 삶이 급격하게 달라지는 것을 느끼셨을 것입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진정으로 사랑한다는 것이 무엇이냐는 것입니다. 사랑이란 행위는 무엇이어야 할까요? 많은 신규교사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