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우리말 자음 시 ㄱ가만가만 강가에 가보았더니고물고물 고사리가 고개 내밀고,간질간질 강바람이 간지럽히니기럭기럭 기러기가 기지개켜네. ㅋ콩콩콩콩 콩돌이가 노크를 하니 킁킁킁킁 코끼리가 코를 내밀고,콜록콜록 카나리아 기침을 하니컹컹컹컹 캄캄한 밤 멍멍이 짖네. ㄴ나폴나폴 노랑나비 날아가보니너울너울 여름바다 넘실거리고,누나따라 너도 나도 냇가로 가니넙죽넙죽 너구리가 눈인사하네. ㄷ도란도란 다람쥐들 모두 모이니다각다각 당나귀들 다가오구요,두런두런 도깨비들 달구지 타고두근두근 달밤에 달구경가요. ㅌ터벅터벅 낙타가 턱을 비비니투닥투닥 도토리 땅에 떨어져토실토실 토끼머리 혹이 났어요.투덜투덜 탱자나무 틱틱거려요. ㅁ문을 열고 마당에 나가봤더니뭉게구름 사이로 무지개 뜨고,미끌미끌 미꾸라지 냇물 속에서매앰매앰 매미를 바라..
발도르프학교의 체육수업 처음 두 학년 동안 리듬 있는 놀이나 윤무(輪舞)에 열중하고 난 뒤 3학년에서 본래의 체육수업이 시작된다. 인간학적인 필요에 따라 이 수업은 처음 3년 동안 기구를 이용한 자유롭고 즐거운 놀이, 체조윤무 그리고 숙련을 위한 연습으로 이루어진다. 체육교사는 아이가 정서와 상상력을 연습과 연결할 수 있도록 고무하기 위해 애를 쓰며, 그렇게 해서 연습이 단순한 신체활동이나 경쟁 그리고 기록 향상을 위한 스포츠가 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수공 작업의 동작이나 동물의 움직임이 양식화되어 표현된다. 기구들 위로 기어오르고 이를 뛰어넘는 데 놓인 장애들은 모험을 할 수 있고 구조 활동을 펼 수 있는 장으로 변한다. 움직임이 주는 경쾌함이 혈액 순환과 근육 활동을 자극함으로써 아이는 활발하고 ..
보트머 체조 - 5학년 아이들을 위한 원무 함께 둘러 보자, 한발 한발모두 함께 가자, 걸음 걸음 서로의 손을 잡고서다함께 원을 돌리자 이제는 다시 돌아와여행의 기쁨 얘기해 함께 둘러 보자, 한발 한발모두 함께 가자, 걸음 걸음 나의 길은 이쪽에너의 길은 저쪽에우리의 길을 갑니다.
보트머 체조 - 4학년 아이들을 위한 원무 나는 바르게 섭니다. 나는 걸어갑니다. 걸어, 걸어, 걸어, …… 다, 다, 다, 다, …… 그리고 달립니다.달리다가 뛰다가, 달리다가 뛰다가이제 걷습니다.걷다가, 한 발― 또 한 발― 훌쩍 훌쩍 후울쩍― 한 발― 또 한 발― 훌쩍 훌쩍 후울쩍― 이 제 섭니다―. 나는 벽을 뛰어넘고탑 꼭대기에 올라 종을 칩니다.뎅- 뎅- 뎅- 종소리가 울려퍼집니다. 지평선 멀리까지, 하늘 높이까지 이제는 내려옵니다.
보트머 체조 - 3학년 아이들을 위한 원무 1.우리는 아주 먼 데서이곳으로 왔어요.아주 높이 뛰어서,따각 따각 탁 탁 탁따각 따각 탁 탁 탁이제 여기 왔어요. 2.여기 우리 집 짓고모두 함께 살아요. 3.커다란 원, 만들어요.누구도 혼자가 아니에요. 4. 아주 높은 기둥아주 넓은 창문이제 모두 들어와둘이 마주 보세요. 5. 창문을 열어요, 멀리멀리, 하늘 높이날개를 펴듯이, 날개를 접듯이창문을 닫아요, 조용히. 6. 닫았다 열고, 열었다 닫고다시 열고, 다시 닫고나와 너! 7.너와 나, 나와 너찾아서, 만나서찾아서, 만나서너와 나, 나와 너바라, 보죠. 8. 우린 우리의 집을높고 넓게 지었죠.
《녹색평론》제60호 2001년 9-10월호 아이들의 심장과 두뇌발달 조셉 칠턴 피어스와의 대화 크리스 머코글리아노 거의 반세기 동안 조셉 칠턴 피어스(Joseph Chilton Pearce)는 인간 마음의 신비를 탐구해왔다.《우주 달걀 속의 균열》《마법의 아이》《진화의 끝》등 여러권의 책의 저자로서, 그가 늘 정열을 기울여온 핵심적인 관심사는 아이들의 성장과정에서 지성이 어떻게 발달되는가 하는 문제였다. 그 자신의 말로 그는 우상 파괴자이며, 오늘의 미국식 문화가 아이들의 지적, 정서적, 영성적 욕구를 기르지 못하는 데 대해서 두려움 없이 말하여왔다. 학자이자 과학자로서, 또 신비체험가이자 떠돌이 교사로서, 그는 자신의 관심사에 유관한 분야에서 활동해온 가장 뛰어난 사람들과 긴밀한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
TV에 관한 자료 1. 시각 활동에서의 안구근육의 움직임 눈의 망막에서 사물이 날카롭게 보이는 중심점은 전체 망막의 0.02%에 불과하다. 그래서 사물의 전체형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눈의 근육이 무의식적으로 사물의 표면을 빠르게 옮겨 다니고, 이렇게 부분적으로 얻은 시각내용을 ‘자아조직’이 함께 구성해서 사물의 형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손으로 사물을 만지듯이, 눈으로 사물을 더듬는다고 여길 수 있다. 눈으로 더듬는 이 활동을 Saccade라고 하며, 일반적인 시각 활동에서 초당 2~5회 정도 발생한다. 시각 활동은 결코 수동적이지 않으며, 무의식적이지만 매우 능동적인 활동인 것이다. 2. TV 화면은 실재인가? TV화면이 움직이는 그림들을 보여주기 때문에 흔히 그것이 ‘실재’라고 믿는다. 그러..
세계 각국의 휴대폰 전자파와 청소년의 건강에 대한 견해 1) 영국 정부- 아래의 내용은 2000년 4월에 William Stuart경이 이끄는 그룹에 의해 영국 정부에 제출한 보고서에 근거함. 여기서 청소년은 16세 미만을 지칭함.- 청소년의 휴대폰 사용이 뇌 활동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청소년의 신경 조직은 계속 성장하고 있고, 뇌조직의 전자파 흡수가 성인에 비해 더 높으며, 또한 평생 동안의 전자파 노출이 더 많기 때문에, 만일 휴대폰 전자파가 유해하다고 밝혀질 경우, 어린이와 청소년이 성인에 비해 더 취약하다.- 그리하여 전문가 그룹은 사전주의 원칙(precautionary principle)에 입각하여 16세 미만의 아이들의 무절제하고 필수적이 아닌 휴대폰 사용을 자제하여야 한다고 ..
아이와 TV, 컴퓨터 게임, 그리고 만화 by Michaela Glockler (현 괴테아눔 Medical Section의 Leader) TV는 어떻게 아이들의 신경계와 감각기관에 지속적인 손상을 입히고 있는가? TV를 보고 있을 때 두 눈은 경직된 상태로 그림들이 움직이는 화면을 응시하게 됩니다. 아이는 근육이 경직된 상태로 화면 앞에 앉아있고, 밀려드는 깜박이는 시각 인상들(visual impressions)에 매료됩니다. 두 눈의 부동성(immobility)은 신체 모든 근육들로 전달됩니다. 이는 사물을 보는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우리가 무엇을 볼 때 눈 근육들은 끓임 없이 움직이면서 눈에 들어온 사물을 세밀히 관찰하게 됩니다. 또한 TV 화면속의 색상이나 사물에 대한 비율들은 실제와 맞..
초등학생 스마트폰 사용 실태와 아이의 온전한 발달 돕기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어느 날 놀러온 친구의 아기와 그림책을 보았다. 아기는 마음에 드는 그림을 발견하고는 특이한 행동을 했다. 검지와 중지 손가락을 벌리며 줌을 당기려고 하는 것이다. 놀라서 친구를 보니 피식 웃는다. “요즘 스마트폰으로 그림책 보여 주거든.” #2유치원 영아반 아이들의 체험학습에 보조교사로 따라갔다. 아쿠아리움의 거대한 수족관 앞에서 줄을 서고 있는데 한 아이가 휘둥그레 수족관을 바라보다가 손가락으로 유리를 꾹꾹 누르기 시작했다. 금붕어를 옮기고 싶고 돌멩이를 실행시키고 싶어서. 그 아이는 현실계의 수족관을 처음 본 것이다. 스마트폰이라는 신세계 우리는 새로운 인류의 탄생을 목격하고 있다. 실제의 세계보다 스마트폰을 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