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회복적 사법: 전체상 - 토니 마샬 (5) 본문
피해자-공동체
피해자에 대한 공동체 지원은 대부분 피해자의 지인이나 친척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가장 자연스러운 지원의 원천이며 보통 가장 소중하게 여겨진다. 그러나 이러한 지원은 어떤 이들에게는 다른 이들보다 덜 유용할 수 있다. 자원봉사 조직인 ‘피해자 지원(Victim Support)’은 이러한 격차를 메우기 위해 존재하며, 훈련된 일반 자원봉사자들이 도움을 청하는 피해자를 직접 찾아가 실질적인 도움과 지원, 위로를 제공함으로써 지역 단위로 피해자를 지원한다. 공동체의 관심을 보여줌으로써 ‘피해자 지원’은 많은 범죄 피해자를 괴롭히는 사회적 불신과 소외감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피해자 지원’은 피해자의 물질적, 심리적, 사회적 회복을 돕는다. 게다가 범죄에 대한 심리적 반응을 다루는 자원봉사자의 전문 지식은, 어떤 경우에는 피해자의 실제적 필요를 이해하지 못하는(또는 일어난 일을 받아들이는 데 문제가 있는) 친구나 친척보다 더 나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공동체 단체도 특정 유형의 피해자를 돕는 데 참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정폭력 여성 피해자(예: Women's Aid) 또는 학대당한 어린이 피해자(Childline)가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살인에 의해 부모를 잃은 아동, 음주 운전자에 의한 피해자 등을 위한 자조 지원 단체도 존재한다. 이러한 자원봉사 조직은 피해자의 회복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공동체가 제대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 외에도 폭력에 대처하고 폭력이 확대되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과 관련된 교육을 제공하는 수지 람플러그 트러스트(Suzy Lamplugh Trust)와 같이 피해 예방을 돕는 단체도 있다.

가해자-공동체
여러 공동체에서 다양한 종류의 가해자를 돕기 위한 수많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일자리 찾기, 재교육, 문해 교육, 관계 상담, 약물 또는 알코올 상담, 멘토링, 노숙자 숙소, 고립자 지원, 에너지 발산이나 사회적 통합을 장려하는 활동 제공 등이 있다. 그 밖의 서비스로 가족들의 양육 기술 향상 지원이 있다. 이러한 제공은 체계적이지 않고 다양하지만, 공동체가 일탈한 구성원을 재통합하고 그들의 경험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사람들을 지원해야 한다는 책임감의 발로이다. 청소년 클럽이나 모험 놀이터와 같은 많은 조직은 그 존재 자체로 예방 기능을 수행한다. NACRO(가해자 돌봄 및 재정착을 위한 전국 연합)는 범죄가 잦은 지역에서 많은 혁신적 프로젝트를 제공하는 국가 조직이며, 공동체 서비스 자원봉사자(Community Service Volunteers)는 많은 기타 프로그램 중에서도 멘토링 제도를 운영하는 곳인데, 이런 종류의 사회복귀 또는 지원 활동에 참여하는 다른 많은 기관이 있다. 일일이 열거하기는 불가능하지만, 자원봉사협회(The Society of Voluntary Associates)는 공동체나 교도소에서 가해자를 돕고자 하는 시민들을 위한 다양한 자원봉사 기회를 조직한다. (청소년 가해자와 관련된 예는 Utting, 1996 참조)
특별한 프로그램 단체는 개인이나 그룹을 돕는 것보다, 공동체 전체가 범죄에 덜 취약해지도록 돕는 데 관심이 있다. NACRO의 안전한 이웃 활동은 범죄에 취약한 이웃의 물리적, 사회적 구조를 개선하려는 시도의 한 예이다. 이는 공동의 행동과 책임을 장려하고 이를 위한 자원(기술 포함)을 제공함으로써 공동체가 범죄를 예방하고 억제할 뿐 아니라, 전반적인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경제 및 공동체 개발 프로그램의 특별한 예이다.
또 다른 프로그램 단체는 학교에 참여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주로 초기 문제 행동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괴롭힘, 무단결석, 불량 행동 또는 학교 배제(school exclusions)에 관한 프로그램이다. 이는 종종 학교가 내부 문제를 스스로 처리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분쟁으로 인해 문제가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동료 학생을 위한 자체 조정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분쟁 해결 교육을 제공한다(Marshall, 1987). 학교 조정 프로그램은 영국 여러 학교에 존재하며 미국과 노르웨이 같은 다른 나라에는 훨씬 더 많은 프로그램이 있다. 일부 학교에서는 가족, 학생, 다른 학부모, 교사 및 공동체 구성원이 참여하는 그룹 대화모임을 통해, 배제될 수 있는 문제 학생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다른 프로그램에서는 부모 교육, 마약 및 성교육, 시민권 교육 등 아이들이 앞으로 성인과 시민으로서의 책임을 인식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후자의 예로, 범죄에 더 구체적으로 초점을 맞춘 하워드 리그(Howard League)의 ‘시민의식과 범죄 프로젝트(Citizenship and Crime Project)’가 있는데, 이 프로젝트에서는 다양한 기관의 자원봉사자들이 주도하여 중등학교에서 컨퍼런스를 열고 청소년들 간의 토론을 촉진한다. ‘손 내미는 학교(School Outreach)’는 학교에 학생 지원과 홈스쿨링 연계를 개선하기 위해 상담사를 교육하고 배치하는 자원봉사 조직이다.

그 외에 다른 프로그램으로 수감된 가해자가 출소 전이나 출소 후에 사회적 네트워크를 그대로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수감자 가족과 협력하여 돕는 것도 있다. 어떤 프로그램은 폭력 가해자가 자신의 폭력을 통제하고 공격성을 긍정적인 방식으로 표출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돕는다(예: 미국에서 시작되어 영국에 도입된 Alternatives to Violence Project, AVP). 어떤 프로젝트는 특별히 아내 학대자를 대상으로 한다. 다른 프로그램은 수감자가 고립과 사회적 거부라는 극심한 사회적 압력이나 압도적인 부적절한 감정에 직면하지 않도록 좀 더 일반적인 방식으로 출소를 준비하는 데 도움을 준다(예: Inside Out).

교도소에 수감될 위험이 있는 상습범을 대상으로 공동체에서 광범위한 개입을 제공하는 유사한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참여는 법원에서 공동체형의 일부로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중간 치료 프로그램은 수년 동안 공동체 조직(예: Save the Children 또는 Barnardos)이나 여러 기관이 함께 운영하는 팀[예: 켄트 집중 지원 및 감독 프로그램(Kent Intensive Support and Supervision Programme) 또는 공동체 대화모임도 제공하는 반복 가해자 프로젝트(Repeat Offender Project) ― 아래 참조]에서 많이 운영되어 왔다.
관계가 일방적일 필요는 없다. 일부 프로그램의 가해자들은 자신이 속한 공동체를 위해 일함으로써, 사회적 책임감과 사회적 수용 및 인정에 대한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감자는 공동체를 대신하여 일하거나 판매를 위해 농산물을 만들어 그 수익을 피해자 지원에 제공할 수 있다(일종의 간접적 배상).
(이어서)
'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 회복적 사법: 전체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적 사법: 전체상 - 토니 마샬 (4) (0) | 2025.02.21 |
---|---|
회복적 사법: 전체상 - 토니 마샬 (3) (0) | 2025.02.10 |
회복적 사법: 전체상 - 토니 마샬 (2) (0) | 2025.02.04 |
회복적 사법: 전체상 - 토니 마샬 (1)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