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회복적 학교 만들기 - 한국평화교육훈련원(KOPI) 본문
회복적 학교 만들기
한국평화교육훈련원(KOPI)
1. 회복적 학교(Restorative School)란 무엇인가?
회복적 학교란 회복적 정의의 핵심 가치와 원칙들이 교육 공동체 전반의 맥락이 되어 학생생활교육이 이루어지는 학교를 말하며, 회복적 정의의 가치와 문화가 구성원들 간의 배려와 상호존중이라는 삶의 방식으로 나타나고 실천되는 학교를 말합니다. 다시 말해 회복적 정의의 세 가지 가치인 존중, 책임, 관계 요소가 학교공동체의 구체적인 삶의 가치로 공유되어 구성원들 각각의 삶의 자리와 방식 속에서 지켜나가야 할 회복적 사고의 틀, 프로그램으로 표현된 철학적 기반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가는 학교를 말합니다.
가. 학교 공동체의 구성원 전체가 갈등의 상황들과 문제해결을 위해 회복적 정의 에 기초한 평화적 삶의 방식을 선택하고, 구체적인 적용점을 가지며 건강한 평화적 에너지로 변환해 가는 과정을 갖습니다.
나. 학교의 구조와 운영 방식을 회복적 가치 실현과 평화적 에너지를 발현하도록 변환해 갑니다.
2. 회복적 학교의 특성
가. 회복적 생활교육을 기초로 한 학급 운영
나. 회복적 실천의 모델로서의 교사와 학생 관계 형성
다. 학급 내의 배려와 존중을 가능하게 하는 교실 환경마련
라. 회복적 방식으로서 운영되는 통합적 학교 시스템
마. 갈등해결교육(Conflict Resolution Education)의 체계적인 진행
바. 창의적 문제해결과 평화를 위한 커리큘럼
3. 회복적 생활교육(Restorative Discipline)의 가치
가. 회복적 생활교육은 어디서든 발생되는 갈등의 문제를 평화적으로 변환해 가는 과정입니다.
나. 회복적 생활교육은 상호존중과 자발적 책임의 문화를 만들어 가는 과정입니다.
다. 회복적 생활교육은 학교와 가정, 지역 공동체의 신뢰를 회복 증진시키는 과정 입니다.
4. 회복적 생활교육의 기본 모델
가. 회복적 생활교육으로서의 통합적 교육 시스템 구축
학급운영, 교실 환경, 학교의 운영 구조, 학교공동체회복위원회 등 회복적 정의 시스템 설계와 회복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통합적 교육 과정 진행
나. 실제적인 학생생활교육의 진행
1) 교사를 위한 학급 단위에서의 회복적대화(서클) 진행 훈련과 회복적 상담,
학생생활교육 운용 훈련 진행
2) 학생들의 평화감수성 훈련과 또래조정 훈련 프로그램
3) 학급 공동체의 갈등을 다루는 회복적(학급) 서클 진행
4) 학교폭력 발생 시, 회복적대화모임 실시
다.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의 회복적 네트워크 구축
1) 가정에서의 회복적생활교육 연계: 학부모 연수와 지속적 생활교육운동의 전개
2) 가정과 연계된 지역사회가 평화적 안전망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토대 마련
3) 회복적 정의의 방식에 관한 갈등 해결의 방식을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성 속에 서 진행해 나가고 문화적으로 확장되어 가도록 추진함
[실천 모델별 갈등에 대한 회복적 접근 단계]
| |||
↑ 갈 등 의 수 위 |
평화감수성훈련& 또래조정 | 학급 서클 회복적 상담 | 회복적 대화모임 (피해자-가해자)
|
| 학생 단계 | 학교 단계 교사(담임) 단계 | 학교 단계 |
통합적 접근 | 회복적 정의 이해 갈등해결능력 배양 비폭력 마인드 향상 또래조정 동아리 다양한 문화컨텐츠를 활용한 평화감수성 훈련 | 회복적 가치를 담은 교육관 평화적 분쟁조정자-교사 회복적 학급 공간 확보 자발적 동기와 책임 이해에 의한 교실 운영과 생활 교육 회복적 학급 문화, 또래문화 형성 | 회복적 대화모임 교사, 학부모 연수 지역공동체와 연대한 회복적 가치 실현 |
|
|
|
|
5. 실천 단계
가. 회복적 학교 구성원들의 공동체적 동의
1) 교사, 학부모, 학생, 지역공동체를 대표한 회복적생활교육 TF팀 구성
2) 교사/학부모 대상 회복적 학생생활교육 연수와 동의
3) 회복적학교 축제 개최: 학기 초 1주일 동안 학생, 교사, 학부모가 함께 회 복적 정의를 기초로 한 생활규칙들을 다양한 교육과 토론회, Activity를 통 해 익히고 제정 선포하며, 회복적 학교가 시작되는 토대를 놓습니다.
나. 회복적 학교 시스템 구축 및 진행
1) 회복적생활교육을 기초로 한 학급운영
- 상호신뢰와 존중을 향한 교육관, 교사와 학생 상호 이해
- 평화적 조정자로서의 교사 인식: 회복적 대화와 상담
- 징계하는 강제력 강화에서가 아닌 평화적 소통 능력 강화
- 배움과 가르침의 방식 전환: 경청과 수용, 자발적 동기와 책임
2) 회복적 학급 만들기
- 학생 간의 회복적 관계망 형성을 위한 서클 프로세스 진행
- 학급에서 진행되는 평화규칙 만들기, 의사소통 배우기, 갈등해결방법, 평화 감 수성 훈련 등을 통한 평화적인 교실문화 형성
- 학생 상호간의 안전한 공간으로서의 물리적, 정서적 교실 환경 만들기
- 학급단위의 또래조정 교육
- 또래조정 동아리 형성(지속 교육): 학급단위 또래조정자 선정과 진행
- 회복적 학급을 위한 통합적 교과과정 운용
- 지역, 가정을 포괄한 학부모 그룹과의 회복적 생활교육 네트워크
- 기타 마을공동체와 연계한 멘토링 체계 마련
3) 회복적 또래생태계의 설계
가) 회복적정의에 기초한 또래조정 시스템 구축
- 전학년 평화감수성 훈련, 또래조정 훈련 실시
- 또래조정반 동아리 운영
나) 교실 생태계 측정
- 학생과 가정, 학교 사이의 역동 살펴보기: 따돌림, 왕따 문제의 역학구조
- 방과 후 학교 밖 학생 생활에 관한 가정, 지역사회와의 연대 구축
다) 회복적 가치 창조를 위한 문화 네트워크
- 창의적 문제 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문화적 시도들
- 서사구조를 통한 접근: 비블리오드라마, action method...사회심리극 공연
- 평화를 위한 캠프 활동: 가족캠프, 피스캠프 등
4) 회복적 학교를 위한 학부모들의 참여: 회복을 위한 돌봄과 연결
가) 가정에서부터 시작되는 회복적 생활교육
- 학부모 연구모임과 워크숍의 정기적 개최로 생활교육 가치 공유
-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생활교육 체계 마련: 담임교사와 학부모 간
나) 회복을 위한 돌봄 과정 참여
- 회복적 가치를 통한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운영위원회 등의 참여
- 훈련된 학부모들의 자원활동 방안 마련
- 분쟁 상황시 피·가해자들을 위한 돌봄 과정 운영
- 학부모 간의 회복적 정의 가치 공유를 위한 캠페인 실시
- 회복적 생활교육을 토대로 한 지역 학부모그룹 간 연대와 문화 형성
5) 회복적 학교 교육 일정(별지 참조)
6. 실천 사례: 영국의 헐시티 콜링우드초등학교
회복적 도시, 즉 회복적 정의 패러다임에 기반하여 운영되는 도시의 실험은 영국의 헐 시티(Hull City)가 가장 대표적이다. 헐 시티는 한 때 영국의 대표적 수산업 도시로 번영을 누렸지만 점점 경제적 쇠락을 맞게 되었고, 결국 25만 명의 도시는 많은 실직과 범죄, 청소년 탈선 등의 문제로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2004년 헐 시티의 한 초등학교인 콜링우드(Collingwood) 초등학교에 새롭게 부임한 에스텔 맥도날드(Estelle Macdonald) 교장은 회복적 정의의 가치에 입각하여 서클타임 등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학생들의 행동의 문제를 지적하고 처벌하던 방식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바뀌기를 원하는지 긍정적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교직원의 문화를 바꿔나가기 시작하였다. 또한 학급이 공동체로써 갈등해결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과정과 결과를 생산하도록 유도하였다. 2년에 걸쳐 전 교직원이 지속적인 회복적 정의 워크샵을 통한 훈련을 받았고 일주일에 두 번씩 모든 학급은 학급서클을 진행하도록 의무화 되었다. 그 노력의 결과로 영국 교육부로부터 수업환경 최하위 등급을 받았던 학교가 최상위 등급을 받는 학교로 탈바꿈하게 되었고, 매우 긍정적인 학교문화와 공동체성이 특별한 학교로 인정을 받게 되었다.
헐 시티에서 두 번째로 회복적 정의를 학생생활지도의 기조로 도입한 학교는 엔디보올(Endeavour) 중고등학교이다. 이 학교에서는 ‘존중’과 ‘안전’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이루기 위해 교직원 외에도 15세의 학생들을 중심으로 회복적 정의 훈련을 시켜 스스로 학교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분쟁을 푸는 과정과 원리를 배우고 실천하게 하였다. 학교에서 벌어지는 학생 간, 학생과 교사 간, 학부모와 학교 간의 크고 작은 문제들을 다양한 형태의 서클을 통해 풀어가는 경험을 한 이 학교는 현재 회복적 접근이 일상화 된 곳으로 변모하였다. 더 이상 학교에 왕따 문제가 이슈가 되지 않는 것은 물론 스스로 문제해결을 하는 문화가 정착되면서 교사들이 생활지도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모하는 일이 줄어들어 결과적으로 교사들이 교육에 전념하는 시간과 공간을 더 많이 확보하게 되었다.
이 두 학교의 성공사례를 계기로 2007년 헐 시티의 7개 구(區)중에 하나인 리버사이드 지역에서 ‘리버사이드 프로젝트’란 이름으로 회복적 정의를 전체 구의 가능한 많은 학교에 도입 적용하기 위한 계획이 시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관내의 12개 초등학교와 2개의 중고등학교의 교사와 교직원, 어린이 보호시설, 학부모운동단체, 가족치료 및 상담시설, 복지관, 보건시설, 청소년 상담관련 기관, 경찰, 보호관찰소 등의 직원 총 3500여 명이 회복적 정의 관련 훈련을 받았다. 이런 노력의 결과 총 9개의 학교에서 매우 긍정적인 변화들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회복적 정의 가치에 입각한 다양한 지역 프로그램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문제학생의 가족들이 함께 모여 지역 전문기관의 스텝들과 해결책을 찾아가는 가족 협의회 프로젝트(The Families Project)가 있다.
또 다시 리버사이드 프로젝트의 성공을 계기로 2008년부터 헐 시티의 경찰은 경범죄부터 회복적 정의에 기초한 접근을 시도하기 시작하였다. 관내 모든 경찰이 하루짜리 회복적 정의 소개 워크숍에 참가하였고, 그 중 65명은 피해자-가해자 대화모임을 이끄는 진행훈련까지 이수하였다. 이 후 경찰은 입건 이후 어떤 형사사법 절차를 진행하기 이전에 당사자 간 회복적 대화모임을 우선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현재까지 경찰이 회복적 정의에 기초해 다루고 있는 대부분의 사건은 이웃들 간의 분쟁이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점차 다양한 사건으로 확대하고 있다.
헐 시티의 시(市) 아동 및 청소년 복지과에서도 회복적 정의 실천 프로그램들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모든 시의 복지과 직원들이 회복적 정의 관련 워크샵을 이수하였고, 문제 청소년을 다룰 때 회복적 대화모임이나 회복적 서클을 활용하고 있으며 이 모임에는 경찰과 지역사회 일원들도 참가하여 해결과정에 동참하고 있다. 이런 접근으로 헐 시티의 소년범죄를 예방하고 경찰개입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처럼 처음 몇 개의 학교에서 시작되었던 헐 시티의 회복적 정의 실천운동은 지난 수년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고 그 실험의 결과로 매우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헐 시티 경찰에 따르면 비록 259,000파운드(약4억5천만원)의 예산이 새로운 회복적 정의 실천을 위해 사용이 되었지만 그 결과로 최소한 350만파운드(약 60억)의 절약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많은 사건이 소년사법으로 들어오지 않아도 되면서 생겨난 결과이고, 다른 많은 변화요소 가운데 특히 약 23% 정도의 보호시설 수감명령이 줄어들면서 절약된 예산이다. 그 외에도 소년범죄자의 경우 재범률은 13% 정도(영국평균은 27%)로 줄어들었다.
학교에서 나타나는 변화는 더욱 큰 진전을 나타내고 있다. 문제학생이나 가족에 대한 학교당국의 적극적 대응은 회복적 정의 접근 이전의 0~40%에서 이후 95% 넘는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수업방해의 경우 90% 가까이 줄어들어서 중고등학교의 경우 학교 당 한 한기에 약 6,000파운드(약 1억원) 정도의 교육지원비가 절약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통계처럼 구체적으로 잡힐 수는 없지만 관계가 개선되고, 이웃 간에 치유가 되고, 직원사이의 갈등이 해결되고, 가족 내의 오래된 갈등이 성공적으로 풀어져가는 것과 같은 보이지 않는 긍정적 변화가 더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사회문화적 변화는 비단 사법이나 교육의 영역에만 머물지 않고 이제는 회복적 정의가 추구하는 가치인 상호책임과 존중, 그리고 공동체적 참여를 통한 안전한 갈등해결이 비즈니스 영역에까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세계 최초의 회복적 도시를 만들어가고 있는 영국의 헐 시티의 성공적 변화는 바로 그 옆 도시인 리즈 시티(Leeds City)에 영향을 주어 리즈 시티도 회복적 도시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 회복적 정의 실천모델인 가족간 협의회(Famiy Group Conference)로 잘 알려진 뉴질랜드에서도 작은 도시 왕가누이(Wanganui)가 헐 시티를 벤치마케팅하여 회복적 도시를 위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 처럼 회복적 도시라는 회복적 정의의 가치와 방식에 기반을 둔 도시운영의 실험들이 아직 시작단계이지만 의미 있게 진행되고 있고, 실제 많은 가시적 변화들을 생산하고 있다.
'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폭력대화의 인간학적 이해 (0) | 2016.05.16 |
---|---|
회복적 대화모임 (0) | 2016.05.01 |
회복적 학생생활교육 - 한국평화교육훈련원(KOPI) (0) | 2016.05.01 |
세월호 참사와 회복적 정의 (0) | 2016.04.10 |
인지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회복적 정의 (2) | 2016.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