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발도르프 교육과정 (41)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9)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7-8학년 교육과정 어린이들은 지금 그들의 발달에서 결정적 시기에 이르렀는데 아마 위기로서 부정적으로 경험될 수 있다. 그리고 흔히 많은 출판물에서 그것은 사춘기로 묘사된다. 그렇지만 교육자로서는 위기라기보다 더 많은 기회로서 이 도전을 다루는 것이 중요하다. 12살과 14살 사이에 학생들은 정말로 세상과의 전혀 새로운 관계 속으로 들어선다. 신체적으로 그들은 두 번째 형태의 변화를 겪는데, 흔히 더 급격히 자라며, 그들의 내면 또한 눈에 띄게 변화한다. 지금까지는 기질과 아..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8)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7, 8학년 7학년(13세) 발달 개요 7학년 학생들은 13세이고 10대들이다. 두 가지 기본적인 몸짓은 이 단계의 삶을 특징짓는다. 외적이고 활동적인 법칙과 역동적인 내적, 심리적 상태의 뒤섞임이다. 세계 현상에 대해 알고 싶은 욕구는 이제 싹트기 시작한 숙고의 능력과 자기 반성(self reflection)에 대한 최초의 자극이 뒤섞인다. 나타나는 힘들의 이러한 그림 안에서, 성적 정체성과 능력이 확립되어 가는 신체적 변화는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기 시작한다. 신체적 변화가..
위의 도표는 슈타이너 학교의 아이들이 경험하는 학습 분야의 연결성 또는 "흐름"을 강조한다. 이것은 일반적인 도표이며, 슈타이너 학교는 이 "가지들(branches)"을 따르지만 각 학교는 수용 가능한 연령대와 시설에 따라 이를 조정할 수 있다. - Julie Rose, Jo Kernour, Michael Hall의 디자인 https://www.greenwichsteinerschool.org.uk/curriculum-chart ▶ 청계자유발도르프학교 교육과정 안내 http://www.cgfreeschool.kr/xe/page_edusystem1 교과 과정 1~8학년 담임과정 / 9~12학년 상급과정 1~3학년 시기 첫 3년간의 학교생활은 자연과 언어와 음악의 내적인 측면을 경험하려는 아동의 요구를 고려하..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7)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4-6학년 교육과정 4, 5학년 때 학생들은 10, 11세가 되며, 이 시기는 아동기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아이들은 이미 아동기를 뒤로 하고 떠나지만 아직은 사춘기에 들어서지 못하고 있다. 9세(3학년)에 시작되었던 자아 의식의 확장은 4학년에 들어서도 계속되는데, 교사는 차츰 교실에서 나타나는 어린 개별성들의 집단적 힘을 느낄 수 있다. 개개의 아동은 뚜렷한 재능, 능력, 도전의식을 가진 강한 인격체로서 나타나지만 이런 현상은 본질적으로 표현면에서 아직 어린이답다. 아..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6)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4학년부터 6학년까지 4학년(10세) 발달 개요 아이들이 10-11세 때인 4-5학년의 담임교사 기간은 중간 지점에 도달한다. 유년기로부터의 전환은 완성되지만, 사춘기를 향한 전환은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담임교사 기간의 중간은 생의 두번째 7년 주기의 중간과 일치하는데, 발도르프 교육이론에서는 '아동기의 중심'이라고 칭한다. 이때 어린이의 자아활동은 맥박과 호흡의 관계에 조화로움을 가져온다. 이러한 새로운 상태에 대한 신뢰는 세계를 바라보고 세계에 대해 배우고자 하는 열정과..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5)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3학년 교육과정 ▶ 형태그리기 - 발도르프 학교의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다른 학교에는 알려지지 않은 과목인 형태그리기로 시작된다. 아이들은 기본적인 직선과 곡선, 그리고 다양한 형태를 그린다. 가급적이면 아이들이 그 형태를 시작할 때 온몸을 사용하여 표현해 보는 것이 좋다(걷거나 뛰고, 팔과 손으로 표현하는 동작). 나중에야 크레용과 연필을 사용해서 종이 위에 그린다. 이러한 형태와 리듬은 동작으로 이미 경험한 것이므로, 그것을 종이 위에 그려서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 ..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4)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학년부터 3학년까지 1학년 (7세) 발달적 측면 발도르프 교육 방식에서는, 7세가 되는 해에 '정식' 학교교육을 시작한다. 첫 번째 7년 주기 동안, 어린아이는 공간과의 조화, 정직함, 말하기와 사고에 대한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발전 능력을 습득하면서 물질체 안에 거주하는 법을 배운다. 아이를 둘러싼 전체 환경이 곧 배움의 바탕이다. 왜냐하면 아이는 자신의 환경에 속한 사람들과 매체들을 '모방'하기 때문이다. 이 모방하는 행동은 습득한 것의 내용과 특성을 아이의 의지에 각인시..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3)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개인고유성(Individuation) 교육이 매우 중요하고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개별화 과정은 '자아'의 활동이 앞서 언급한 다른 구성체들과 통합되는 점진적인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태어날 때, '자아'는 우선 물질체 안에서 활동한다. 7세경, 에테르체의 힘들은 점차 유기체적인 작용에서 남아돌게 되고 스스로 물질체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이것은 독특한 내적 활동의 출현을 돕고, 특히 표상과정과 기억형성(지적 학습에서 중요한)의 두가지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풀..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2)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인지학적 인간학 발도르프 교육의 기초가 되는 인지학적 인간학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본질적 측면은 간략히 설명될 필요가 있다. 발도르프 교육은 인간이 신체(body), 영혼(soul), 정신(spirit)으로 구성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인간의 발달과 개별화의 과정은 본질적으로, 자아(나, I)와 관련된 고유한 정신이 거주할 수 있고 물질세계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신체적인 그릇(bodily vessel..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1)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발도르프 교육을 위한 기초로서의 인지학 발도르프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의 아동 발달 이론에 기초한다. 그것은 슈타이너의 심리적이고(psychological) 정신적인 통찰에 의해 고양된 경험적이고 학문적인 연구에 기반한다. 이러한 지식 체계는 지난 한 세기 동안 발도르프 운동 안에서 행해졌던 상당한 조사 연구에 의해 보충되고 지지되었으며 광범위하게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된 2차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슈타이너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는 그가 인지학이라고 불렀던 철학과 우주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