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조합적 경제: 노동과 사회적 조각 - Nigel Hoffmann (2) 본문
사회적 조각(彫刻)
이상주의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우리 모두는 정의롭고 선한 사회를 향한 길을 찾고 있다. 어떤 의미에서 그것은 아름다운 일이다. 오토 샤머(Otto Scharmer)는 슈타이너의 삼지적 그림을 바탕으로 문화와 문명을 초월하여 사람들의 머리와 가슴 안에 살아 있는 세 가지 근본적인 질문에 대해 이야기한다.
∙ 오늘날의 무산자와 미래 세대를 포함한 모든 사람의 필요를 충족하는, 더욱 공평한 세계 경제를 우리는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 모든 사람이 자신의 상황과 미래를 만들어가는 의사 결정 과정에 점점 더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어떻게 민주주의를 심화하고 정치 제도를 발전시킬 수 있을까?
∙ 모든 사람이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는 여정’이라는 신성한 프로젝트의 수행자가 되도록 하기 위해 우리는 문화를 어떻게 새롭게 할 수 있을까?*
* Otto Scharmer, Theory U, Society for Organisational Learning, Cambridge, 2007, p.95. 샤머는 슈타이너의 사상이 자신의 작업에 미친 강력한 영향력을 인정한다. 예를 들어, 그는 세계 경제에 관한 슈타이너의 강의, Rethinking Economics, SteinerBooks, Great Barrington, 2013의 새 판 서문을 썼다.
이는 모두 한 개인(an individual)이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한 것이다. 집단주의적 국가 지시나 비인격적 "시장"의 흥망성쇠에 의해서가 아니라, 개별 인간의 의지에 의한 배려 관계를 통해 형성되는 조합적 경제의 개념을 고려할 때, 또 자신의 노동에 책임을 질 수 있는 개별 인간의 "노동 주권"을 고려할 때, 우리는 정치적 "주인(masters)"에 대한 의존이 아니라 개별 행동 또는 함께 일하기로 선택한 개인들에 의해 세상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그림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삼지적 사회 질서의 문화-정신 영역이 그토록 중요한 이유이다. 젊은이들이 국가의 하인이 아닌 자유인이 되도록 교육받을 수 있는 곳이 바로 여기이다. 개인들이 진정한 자신이 되는 "신성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곳이 바로 여기이다. 슈타이너의 사회사상을 오랫동안 연구한 개념 예술가 요제프 보이스(Joseph Beuys)는 "사회적 조각"(또는 "사회적 건축"이라고도 함)이라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그의 유명한 말은 "모든 사람은 예술가이다"였다. 보이스는 사회 변혁을 위해 인간의 창조성을 해방시키는 일에 관심을 가졌다. 이와 비슷한 내용을 유명한 TED 강연에서 켄 로빈슨 경(Sir Ken Robinson)도 표현했는데, 그는 우리가 나이가 들수록 창조성이 발휘하지 못하도록 교육받는 현실을 한탄했다.
나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약간 긴 인용문을 통해 진정한 조합적 경제 생활이 어떻게 해방된 문화-정신 영역을 통해서만 존재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면서 마무리하고자 한다. 그는 사회 예술가의 영감과 과제를 지적하고 있다.*
* Rudolf Steiner, The Renewal of the Social Organism, op. cit,, p.82.
"삼지적 사회 질서의 목표는 자유롭고 자립적인 정신 생활 안에, 자신이 일해야 하는 인간 사회가 무엇인지를 살아 있는 방식으로 이해하는 법을 배우는 영역, 전체 사회 질서의 구조 속에서 개별 노동의 중요성을 이해하는 법을 배우는 영역, 그런 관점에서 전체를 위한 가치로 인해 이 개별 노동을 사랑하는 법을 배우는 영역을 확립하는 것이다. 이는 이윤에 대한 사적 욕망에서 비롯되는 동인을 대신할 수 있는 자유로운 정신 생활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술가가 작품 창조에 사랑을 쏟는 것처럼 오로지 자유로운 정신 생활에서만 인간 사회 질서에 대한 사랑이 솟아날 수 있다."*
* "The threefold social order aims at establishing within an independent, self-sustaining cultural life a realm where one learns in a living way to understand this human society for which one is called upon to work; a realm where one learns to see what each single piece of work means for the combined fabric of the social order, to see it in such a light that one will learn to love it because of its value for the whole. It aims at creating in this free life of spirit the profounder principles that can replace the motive of personal gain. Only in a free spiritual life can a love for the human social order spring up that is comparable to the love an artist has for the creation of his works."
독일어 원문: "Sie will in dem freien, auf sich selbst gestellten Geistesleben ein Gebiet schaffen, in dem der Mensch lebensvoll verstehen lernt, was die menschliche Gesellschaft ist, für die er arbeiten soll; ein Gebiet, in dem er die Bedeutung einer Einzelarbeit im Gefüge der ganzen gesellschaftlichen Ordnung so durchschauen lernt, daß er diese Einzelarbeit wegen ihres Wertes für das Ganze lieben lernt. Sie will in dem freien Geistesleben die Grundlagen schaffen, die ein Ersatz sein können für den Antrieb, der aus der persönlichen Gewinnsucht kommt. Nur in einem freien Geistesleben kann eine solche Liebe zur menschlichen gesellschaftlichen Ordnung entstehen, wie sie etwa der Künstler zu dem Entstehen seiner Werke hat." (Aufsätze Über die Dreigliederung des sozialen organismus und zur Zeitlage 1915–1921)
나이젤 호프만 박사
나이젤은 지난 18년 동안 호주와 스위스에서 루돌프 슈타이너 고등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다. 그는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회삼원론에 대한 이해와 발전을 지원하는 “Education for Social Renewal Foundation”의 이사이다. 그는 2007년에 출판된 『Goethe’s Science of Living Form: The Artistic Stages』의 저자이기도 하다.
https://www.neweconomy.org.au/journal/issues/vol1/iss4/the-associative-economy/
The Associative Economy: Work and Social Sculpture - New Economy Network Australia
In my previous article I presented a picture of the threefold social organism, focussing on the meaning and creative function of capital. An associative economy, as Rudolf Steiner describes it, can come about when the three spheres – the economic, the cu
www.neweconomy.org.au
'인지학 > 사회삼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합적 경제: 노동과 사회적 조각 - Nigel Hoffmann (1) (0) | 2025.01.24 |
---|---|
세계 경제와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회삼원론 - Nigel Hoffmann (4) (0) | 2024.12.27 |
세계 경제와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회삼원론 - Nigel Hoffmann (3) (0) | 2024.12.25 |
세계 경제와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회삼원론 - Nigel Hoffmann (2) (0) | 2024.12.24 |
세계 경제와 루돌프 슈타이너의 사회삼원론 - Nigel Hoffmann (1) (0) | 2024.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