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18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PYhG/btqDlO3JwRS/DdDSwtEmuy9HKKKxxSKdIK/img.jpg)
자기 파트너 옆에 앉아서 큰 원을 만들어 주세요. 지금 우리들 상황을 가지고 하기는 했지만, 이 5가지 기본 원칙이 어느 조직이든 간에 회복적 실천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칙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말씀드린 원칙을 기본으로, 다른 측면에서 이것을 어떻게 소통해나갈 것인가에 관한 5가지 방식이 있습니다. 아마 회복적 정의에 대해 공부하신 분들은 이 5가지를 이해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는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그것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입니다. 여러분이 방금 하신 활동이 그렇습니다. 이 여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 그리고 그것을 가지고 감정적으로 어떻게 더 깊이 들어갈 수 있을 것인가. 여러분이 금방 활동을 하신 것처럼, 이 상황이 나의 내면에 실제로 어떤 변화들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My5I/btqDaU9It4D/Eb7f7NmY9sy8qcag5ZauIK/img.jpg)
영국 회복적 정의 연수 후기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그리운 P 선생님에게 영국에 다녀오면 한번 뵙겠다는 약속을 지키지 못했네요.요즘 인사법이 바뀌어서 “코로나 좀 잠잠해지면 한번 보자”가 인사말이라면서요?정말 간절하게 기도하는 마음입니다.거짓말처럼 이 사태가 지나가고 소소한 일상의 기쁨과 지루함을 다시 맛볼 수 있기를요.제가 사는 서산은 다행히 별 탈이 없습니다.선생님 사시는 그곳도 확진자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고 진정 국면으로 들어가길 빌어요. ‘흐린 하늘 아래온종일 가랑비가 내리고,습하고 차가운 공기가옷깃을 파고드는 잿빛 거리에서조심스레 길을 물어보면사람들은 무표정한 얼굴로딱딱한 악센트의 영국식 영어를 구사하겠지.’ 선생님이 시처럼 써주신 저 구절 덕분에 제가 상상한 영국의 겨울은 무채색이었어요.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G61D/btqCrlflxvz/h3m5aP2vf6aIKexxkG8Td0/img.jpg)
영국 연수 여행 - 2020년 1월 UK Learning Tour – January 2020 제임스 사이먼 James Simon 번역 :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https://restorativejustice.org.uk/blog/uk-learning-tour 한국의 회복적 정의 활동가들과 함께 영국 연수 여행을 진행하게 되어서 저는 매우 기뻤습니다. 한국평화교육훈련원과 긴밀히 협력하여 1월 중순 영국에서 우리는 회복적 정의 활동가, 연구자 및 대학교수 분들을 맞이했습니다. 이 여행의 목적은 다양한 영역에서 펼쳐지는 회복적 실천을 어떻게 발전시킬 것인가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형사사법, 교육 및 보건 분야 등을 포함해 영국 전역의 다양한 기관을 방문했습니다. 여기에는 ..
조직적 문화를 만드는 데에 5가지 중요한 원칙이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설명하지 않고 여러분이 경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도와드리겠습니다. 1과 2의 번호를 해주세요. 1, 2. 1, 2. 1, 2... 1번 손들어주세요. 1번들은 의자를 갖고 안으로 들어오셔서 원 밖을 바라봐주십시오. 둥그렇게 앉아주세요. 2번들은 마주 보게 앉으세요. 아까 말씀드린 5개의 핵심원칙입니다. 회복적 정의를 실천하는 첫 번째 원칙은 ‘모든 사람이 자기 목소리를 내야 한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누구든 자기 스스로 갖고 있는 독창적이고 독특한 의견과 생각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원으로 둘러앉아 모두의 얘기를 듣는 이유는 모든 사람에게 그러한 독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이 경험으로 알지만 경청한다는 건 상당히 많은 것을..
Belinda Hopkins 박사 - 갈등전환 : 학교, 사법, 지역사회 통역 : 이재영 원장 서기 : 김훈태 훌륭하게 오후 세션을 시작하게 됐습니다. 오늘 오후에 저를 포함해 세 분에게 학교에서 실천되는 이야기를 들을 것입니다. 저는 중등학교에서 교사였습니다. 25년 전에 회복적 정의에 대해 처음 듣게 되었습니다. 오늘 아침 케리 박사님의 이야기에 나오는 경찰 한 분에게 처음 들었습니다. 그당시 저는 교실 문화를 어떻게 바꿀지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갈등해결이나 조정 같은 방식의 접근으로 실천하고 있었지요. ‘회복적 정의’라는 철학적 배경을 만나고 나서 이것이 학교 문화를 바꿀 수 있겠다는 깊은 신념을 갖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들려드릴 이야기는 25년 전에 처음으로 회복적 정의라는 아이디어를 접하고 제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P59c/btqBTLMis4s/L7bkv2KkoAHsa1pgqofIW0/img.jpg)
Greater Shankill Alternatives에 가다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이번 연수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곳으로 나는 샨킬 지역을 꼽고 싶다. 북아일랜드의 역사가 남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16세기부터 잉글랜드의 식민지배를 겪은 아일랜드는 20세기에 들어서야 독립할 수 있었다. 그러나 1949년 북부 6개 주가 UK에 남으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비극의 씨앗은 생각보다 끔찍한 열매를 맺었다. 오늘날 북아일랜드의 분쟁은 표면에 나타나는 것처럼 신교도와 구교도의 종교적인 불화 때문만은 아니다. 잉글랜드에서 이주해 간 신교도들이 땅을 빼앗고 기득권을 장악하며 원주민인 구교도들을 탄압했던 역사를 돌아봐야 한다. 신교도들이 정치적, 경제적 이권을 철저히 독점해 왔기 때문에 구교도들의 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eyph/btqBRw3ow8J/kDsHIXvcKIDCyIw1hXKaH0/img.jpg)
벨린다 홉킨스 박사의 ‘갈등 전환 : 학교, 사법, 지역사회에서 진행되고 있는 회복적 정의 실천’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오랫 동안 특정 직업에 종사한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그 직업적 성격을 자기 몸에 새기게 된다. 그래서 처음 본 사람임에도 대략 어떤 일을 해왔는지 알아맞출 수 있다. 운동선수, 경찰, 교사, 간호사, 선원, 영업사원 등 직업마다 어떤 전형성을 갖고 있는 게 틀림없다. 벨린다 박사님을 처음 뵈었을 때 이 분은 평생 아이들을 가르치셨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무언가 밝고 희망찬 기운이 온몸에서 뿜어져 나오는 게 느껴졌다. 강의 내용도 내용이지만 이 분의 표정과 몸짓, 발성의 톤과 빠르기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가르치는 일과 함께 아이들을 진심으로 사랑해온 사람의 모습이었다. 벨린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LG3Z/btqBQ0QEDkL/Jbs2kIW3fv4K9gsiG3swgk/img.jpg)
회복적 사고 무슨 일이 있었나요? 그때 어떤 생각이 들었나요? 그 동안 어떤 생각을 했나요? 그때 어떤 감정이 들었나요? 그 일에 대해 지금 어떤 기분인가요? 그 일로 인해 누가 영향을 받았을까요?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받았을까요? 피해를 바로잡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출처 : http://www.restorativethinking.co.uk/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NTYm/btqBjUqyHtU/mUBwLPFTa9SBGSbKKvVYA1/img.jpg)
제5회 회복적정의 해외연수 안내 한국평화교육훈련원(KOPI)에서는 2020년 제5회 회복적정의 해외연수를 실시합니다. 이번 해외연수는 회복적 정의의 패러다임으로 변화와 성숙을 추구하는 영국의 도시들을 방문하여 다양한 회복적 도시 실천사례와 철학을 보고 듣는 것에 목적을 두고 계획했습니다. 회복적 도시 운동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시작한 브리스톨(Bristol)을 시작으로 최초의 회복적 도시 프로젝트로 잘 알려진 헐(Hull)을 비롯해 런던, 리버풀, 맨체스터 등을 둘러보게 됩니다. 특히 평화운동으로 잘 알려진 북아일랜드 벨파스트, 코번트리 등 전세계적으로 영향을 미친 평화운동의 흐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번 해외연수는 한국회복적정의협회와 같은 영국회복적정의협의회( Restorative Just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