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18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욕구 또는 전략, 차이점은 무엇인가? 벨린다 홉킨스김훈태 옮김 대체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욕구가 있다. 사랑 존중 관용인내 이해 공감친절 정직 연결인정 감사 배려긍정 지지 격려명료 협력 희망 적극성 사람들 사이에 문제가 생겼을 때는 이러한 욕구가 더욱 첨예해질 수 있다. 위의 욕구를 아래와 같은 문구와 혼동하지 말라. 나는 ...... 해 줄 네가 필요해.나는 ...... 해 줄 사람들이 필요해.나는 ...... 해 줄 존(John)이 필요해.존은 ......가 필요해. 이러한 문구들은 종종 사람들에게 “이 일은 해야 해. 안 하면 안 돼. 반드시 해야 한다고!” 하는 식으로 말하는 은밀한 방법이다. 우리가 ‘강요하는 전략’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회복적 참여의 갈등 전환 모델은 모두의 욕구가 무엇인지를..
‘나 말하기’를 사용한 ‘마음을 움직이는’ 대화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이어지는 내용은 ‘나 말하기’(‘I’ message) 방식으로써, 다양한 출처에서 나온 것을 수정하고 회복적 실천의 갈등 전환 모델에서 이야기하는 5가지 핵심 회복적 신념을 통합한 것이다. 핵심 신념 1 : 자신의 고유한 관점을 공유하라. “내가 보기에는 ...... (또는 내가 듣기에는 ......)” 핵심 신념 2 : 자신이 이해하고 느낀 것을 설명하라. “나는 나에게 ......라고 말한다. 그래서 ......라고 느낀다.” 핵심 신념 3 : 공감과 배려로 초대하라. “이렇게 나는 영향을 받는다. 여기 있는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핵심 신념 4 : 자신의 충족되지 않은 욕구를 설명하라. “지금 당장 나에게 필요한..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여러분에게 영향을 주는 ‘엉뚱한’ 행동에 대한 대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교실에서 다루기 가장 어려운 문제는 다른 사람들뿐 아니라 교사인 여러분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이다. 여기에는 여러분을 짜증나게 하는 사소한 소란이 빈발하는 것, 여러분이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질문에 대답하려고 할 때 여러 차례 일어나는 방해 행위, 전체 토론에서 다른 사람들이 참여하지 못하게 막는 방해 행위, 불안을 야기하고 여러분을 매우 화나게 하는 큰 소리의 비판적 발언 그리고 여러분이 존중의 태도로 시도한 초기의 질문들에 대한 부적절한 대답 등이 포함된다. 우선 스스로 내면의 작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분히 돌아보기’(20-22쪽)를 스스로와 하면서 여러분은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을 경험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엉뚱한’ 행동에 대한 대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이 집중하려 할 때 짝과 떠든다든지, 웃으면서 농담을 한다든지, 다른 아이들이 과제에 몰두하고 있거나 지시를 들으려고 할 때 부적절하게 소리친다든지 그리고 여러분이나 다른 사람들에게 또는 여러분이나 다른 사람들에 대해 다 들리도록 불친절하거나 무례하게 말하는 것을 포함한다. 언제나 20-22쪽에 서술된 ‘차분히 돌아보기’에서 시작하라. 침착하라! 앞쪽에 서술된 세 단계에 이어서 한다. “네 행동에 누가 영향을 받고 있다고 생각하니?” (핵심 신념 3) “다시 제대로 하려면 너한테 뭐가 필요할까?” (핵심 신념 4) “너한테 영향을 받은 친구들이 너에게 바라는 게 뭘까?” (핵심 신념 4) “상황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xi3n/btqI9pRkmXs/IcaUTNPPOxo4PmzCbSCOK1/img.jpg)
갈등 상황에서 바꾸어 말하기(paraphrasing)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우리 속담에 "아 다르고 어 다르다"가 있습니다. 아주 작은 뉘앙스의 차이 하나로 말의 의미가 달라질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실제로 "잘 지냈니?"와 "잘 지냈냐?", "잘 지냈어?"는 각각 전혀 다른 표현입니다. 말은 우리의 마음을 전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어떤 마음을 갖고 말하는지도 중요하지만 같은 마음이어도 어떻게 말하는지가 대단히 중요합니다. 기왕 속담 이야기를 했으니 말과 관련된 속담에 뭐가 있는지 볼까요? - 말 한 마디에 천 냥 빚도 갚는다-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낮 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입은 비뚤어졌어도 말은 바로 해라- 발 없는 말이 천리 간다- 웃느라 한 말에 초상난다- 말로는 못..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엉뚱한’ 행동에 대한 대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언제나 20-22쪽에 제시된 ‘차분히 돌아보기’에서 시작하라. 1단계 먼저 그 아이를 살펴보고, 여러분의 몸짓 언어로 호기심과 관심을 표하라. 못마땅해하지 말고. 2단계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호기심과 관심의 몸짓 언어를 유지한 채 그 아이를 향해 천천히 다가가라. 3단계 조용히 그리고 무심한 듯 말하라: “내가 보기에는 말야, 네가 ......” (아무런 판단 없이 정확하게 아이의 행동을 묘사하라) 또는 “무슨 일이 있는지 궁금한데?” (핵심 신념 1) 또는 “네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하네. 오늘 좀 어때?” (핵심 신념 2) 또는 “네가 이걸 시작하는 데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궁금해.” (핵심 ..
회복적 언어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아래의 표에는 주요 회복적 주제와 관련된 일련의 질문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회복적 조사(Enquiry)’라고 부르는 상호작용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갈등이 생겼을 때 얼굴을 마주하는 본모임 전, 각 당사자와 함께 할 사전모임의 준비에 전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조정모임뿐 아니라 모임 자체를 위한 틀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임은 수업 중에는 있지 않을 것 같다. 간단한 형태의 언쟁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러나 다음 장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모든 질문을 동시에 사용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다른 질문이 필요할 수 있고, 사람에 따라 어떤 질문이 다른 것보다 더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여러분의 판단과 상식을 잘 이용하라. 누군가의 ..
차분히 돌아보기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첫 번째 차분히 돌아보기 : 반응을 하거나 입을 열기 전에 생각하라 - 당신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연구에 따르면, 어떤 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어른이 훨씬 더 성공적으로 사건에 대응한다고 한다. 가능한 한 감정적 객관성을 유지할수록 상황을 더욱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당신의 생각, 감정, 욕구를 나누는 게 적당한 시점이 올 것이다. 그건 25-28쪽에 나와 있다. 피해, 혼란 또는 갈등이 발생하는 어떤 경우든 회복적 대처에는 먼저 5가지 핵심 신념 중 첫 번째 3가지를 바탕으로 일련의 ‘차분한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지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 내 머릿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나 자신에게 무슨..
피드백으로서의 실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나는 오늘 내 실수로부터 너무 많은 걸 배웠어. 내 생각에는 내일 다른 실수를 하나 만들 것 같아.’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교과 학습의 측면에서 잘못했을 때 교사의 반응과, 행동 측면에서 잘못했을 때 교사의 반응 사이에서 일관성이 필요하다. 교실은 아이들이 다른 많은 것을 배우는 공간이다. 실수를 ‘충족되지 않은 정서적-사회적 또는 인지적 욕구에 대한 피드백’으로 간주할 때 어른들은 기존과 다르게 반응하며, 따라서 그것을 반성과 회복의 기회로 간주한다. 다시 말해 교실은 우리 모두가 필연적으로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공간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그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지를 배우고, 그 다음에 그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것은 일부 아이들이..
행동 상의 실수에 대해 생각하기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교육자(또는 부모)들이 아이의 행동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훈육이나 행동 교정으로) 이 문제를 프레임화할 때마다 그들은 무의식적으로 거대 담론을 갖고 접근하게 된다. 대부분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아이의 생각과 감정, 욕구와 시각, 동기와 가치 등 특정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들이다. 행동은 표면적인 현상일 뿐이고, 정작 중요한 것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이유이다. (콘, 1996 : 69쪽) 다음 내용은 ‘갈등 전환’의 대표인 벨린다 홉킨스의 (옵티머스 출판사, 2011)에서 발췌한 것이다. 많은 아이가 학교에 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친구들을 사귀고 어울리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그들에게는 관계가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