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회복적 정의의 전환적 실천을 향하여 (3) - 데이비드 다이크 본문
평화 세우기와 사회 변화를 위한 더 확장된 틀
마지막으로 중요한 개념적 틀은 아담 컬(Adam Curle)의 연구에서 찾을 수 있다(레더락, 1995). 컬의 모델은 의식 개선 교육, 지지(advocacy), 협상/화해/조정(대화)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 모든 것은 사회경제적, 관계적-영적 변화를 위한 장기적 평화 세우기라는 큰 목표 안에서 이루어진다(아래 도표의 굵은 화살표는 갈등과 변화의 진행을 나타낸다). 또한 이 모델은 진정한 전환(변혁)의 전제 조건으로 힘이 약한 집단이 목소리를 내도록 지지하는 떳떳한(unembarrassed) 가치 지향을 가정한다. 여러 면에서 그의 연구는 필자가 이미 검토한 저자들이 탐구한 주제의 초기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컬은 듀건과 마찬가지로 평화 세우기 과정 전반에 걸쳐 다양한 시기에 활용되는 다양한 역할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미카와 마찬가지로 그는 은밀한 단계에서 공개적 단계로 나아가도록 도와야 하는 상황에서 조기에 대화를 촉진함으로써 갈등을 “냉각”시키거나 진정시키는 것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의 모델은 힘이 없는 쪽과 힘이 있는 쪽 모두 문제의 구조적 본질을 인식하지 못하는 한, 대화를 촉진하는 것은 오히려 평화를 세우는 데 역효과를 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컬의 연구는 회복적 정의에 대한 우리의 이해에 명확하고 극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것은 권력 분석, 인식, 잠재적이고 명시적인 갈등의 중요한 차원을 추가한다. 따라서 범죄는 종종 좌절감에서 비롯된다는 추가적인 통찰을 반영한다. 이러한 좌절감은 사회의 일부 개인과 집단이 다른 개인과 집단보다 더 많은 권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불의의 상황이 대부분 인식되지 않고 인정받지 못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범죄를 저질러도 체포, 기소, 수감되는 사람들의 대다수가 우리 사회의 사회경제적 하위 계층에 속한다는 단순한 사실도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회복적 정의 활동가들은 컬의 모델을 학습함으로써 이러한 현실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피해자-가해자 조정이나 대화모임 등 촉진된 대화가 권력의 불균형과 구조적 갈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함의(균형이 깨져 있거나 잘 모르는 관계인 상황에서 첫 단계부터 성급하게 대화를 도입하는 경우)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최종 분석에 따르면, 범죄의 원인은 대체로 구조적일 수 있지만 그 영향은 주로 개인적이다. 따라서 컬의 모델은 피해자-가해자 대화를 ‘화해의 아편’으로 규정하면서 부적절하다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회복적 정의 활동가들에게 다음과 같은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명확히 제시한다. 1) 우리의 작업 방식이 구조적 불의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라. 2) 교육과 직면의 길을 추구하는 사회운동가, 지지자, 그 밖의 지역사회 파트너들과 협력하고 존중하며 작업하라. 3) 구조적 원인에 대한 교육과 직면이라는 목적을 촉진하는 동시에 대인관계적 치유라는 목표에 더 기여할 수 있는 회복적 정의 개입(intervention) 모델을 설계하라.
참고문헌
Dugan, Maire. 1996. “A nested theory of conflict.” Women in Leadership, Summer.
Lederach, John Paul. 1998. Building Peace: Sustainable Reconciliation in Divided Societies. Washington, DC: United States Institute of Peace Press.
Lederach, John Paul. 1995. Preparing for Peace: Conflict Transformation Across Cultures. Syracuse, NY: Syracuse University Press.
Mika, Harry. 1989. “Cooling the Mark Out? Mediating Disputes in a Structural Context,” unpublished text from the North American Conference on Peacemaking and Conflict Resolution, Montreal, Quebec, Canada.
© Contemporary Justice Review 2000, 이 글의 긴 버전은 Contemporary Justice Review, 3권 3호에 실렸음. 허가를 받아 사용됨.
'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 > 갈등전환매뉴얼 : 회복적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해자로부터 배우는 회복적 정의의 교훈 (1) - 바브 토우즈 (0) | 2024.02.04 |
---|---|
피해자와 회복적 정의 - 캐시 버클리 (0) | 2023.12.18 |
회복적 정의의 전환적 실천을 향하여 (2) - 데이비드 다이크 (0) | 2023.12.01 |
회복적 정의의 전환적 실천을 향하여 (1) - 데이비드 다이크 (0) | 2023.11.24 |
정의로 가는 길: 응보인가, 회복인가? - 하워드 제어 (0) | 2023.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