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인지학에 따른 발도르프 한글교육을 위하여 (5)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자음은 항상 외적인 사물의 모방으로 귀착시킬 수 있으며, 모음은 그와 반대로 사물에 대해서 인간이 지니는 감정의 미세한 차이가 아주 근원적으로 표현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A : 50) "자음은 항상 외계의 사물로 환원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에 반해 모음은 사물에 대한 인간 감정의 뉘앙스의 가장 기본적인 표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B :45) 우리 속담 “아 다르고 어 다르다”만큼 뉘앙스(nuance)를 잘 설명하는 말도 없을 것입니다. ‘어떤 말에서 느껴지는 느낌이나 인상’을 뜻하는 뉘앙스는 우리가 세계 또는 존재들을 어떻게 느끼고 바라보는지 보여줍니다. 영혼의 꿈꾸는 듯한 상태인 느낌, 감정은 세상의 모든 것..
교육철학 제13호
지리학 지리학은 아이들을 땅으로 내려오게(down to earth) 하는 그래서 이 땅에서의 성숙을 준비하게 하는 과목이다. 1-3학년; 환경학(인간과 주변환경의 관계 알아가기) 4학년; 동네학(환경학에 포함되는 과목, 아이가 살고 있는 공간과 시간에 대해 알아가기) 5-12학년; 슈타이너는 지리학이 다른 많은 과목들과 연결되어 있고(생물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수학, 역사 등) ‘전체성’이란 감각을 제공한다며 지리학을 특히 강조했다. 그는 또한 지리학의 윤리적 요소도 강조했다.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을 배우는 것은 아이들이 동료 인간을 사랑하는 데 도움을 준다. 지리학은 반드시 아이들에게 세상에 대한 흥미와 삶의 용기를 주어야 한다. 아이들은 지구를 하나의 자연 공간, 구체적 삶의 리듬이 있는 곳으..
동물학, 식물학 살아있는 세계(식물, 동물, 환경)에 대한 정확한 세부사실의 관찰과 묘사는 6,7,8학년으로 가는 다리가 된다. 가령, 4학년 때 배우는 소의 특징화는 동물의 질적 특성이 신체 형태, 움직임, 식성 그리고 삶의 전 과정 등의 세부묘사를 통해 나타나게 한다. 소의 눈길, 움직임, 씹는 모습, 이빨, 4개의 위, 우유의 풍부함을 만드는 소화력, 탄생 그리고 송아지의 발달 - 이런 모든 특징들은 소를 단지 ‘초식 포유류’로 정의내리는 것 이상이다. 소와 감정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연결은 지나치게 감성적이거나 환상적인 것이 아닌 예술, 감정, 정확한 관찰의 건강한 연대이다. 생명체의 행동은 그들의 내면적 특성(탐욕스런, 충성심이 강한, 자만한, 간교한, 단호한)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인다. 4-8..
수학 수업 일반적인 관점과 목표 “발도르프 학교에서 수학은 세 단계로 나눠진다. 첫 번째 단계는 1학년부터 5학년에 해당한다. 이 단계에서 수학은 아이의 삶의 과정과 밀접하게 연관된 활동으로서 발전한다. 또한 이때 수학은 내부에서 외부로의 진보이다. 두 번째 단계는 6학년부터 8학년에 해당하는데, 이 단계의 가장 강조점은 실용성에 있다. 9학년 시기는 ‘이성적 관점으로의 이행’으로 특징화된다.” 첫 번째 단계 다음 두 가지 질문은 대답이 필요하다 1. 어떻게 첫 번째 수학적 개념이 다뤄져야 하는가? 2. 수학적 개념을 세우기 위한 심리학적 토대는 무엇인가? 질문 1에 대한 대답: 수학(산수)적 그리고 기학학적 개념은 아이의 의식과 사지체계의 활동에 관련되어 있다. 수를 세는 것은 내면의 활동이다. 이 내..
주요 수업 소개 주요 수업(에포크 수업)은 발도르프학교의 중심적인 특징이다. 주요 수업은 매일(주5일) 진행되며, 수업 시간은 대략 100분 정도이다. 과목들은 보통 4주 단위로 가르쳐진다. 모든 학년(1학년부터 12학년)은 주요 수업 프로그램을 따른다. 주요 수업은 수학, 국어, 과학, 인문학, 예술학 등에서의 다양하고 점진적인 범위의 기술과 능력을 포함하고 다룬다. 매일의 주요 수업은 통합적이고 유기적인 전체로 제시된다. 과목들 간에 그리고 주요 수업의 주제들 사이에 의미는 연관되어 있다. 담임교사는 내용, 설명, 활동을 교육과정과 특정 학년의 필요에 맞게 선택한다. 따라서 상당한 관심이 수업 준비에 필요하다. 매일 복습(리뷰) 과정 다음에는 담임교사가 수업 계획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담임..
한국 공립초등학교에서의 실천과 독일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