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voFh9/btqFKClurDn/Rkh9zwbaLCbRwjn6qBICK1/img.png)
코로나 시대에 유아기 아이들을 돕는 법 2 정인선, 오지현 서울신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이번에는 몸도 튼튼! 마음도 튼튼!해질 수 있는 도전과제들을 준비하였어요. 튼튼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몸을 움직이는 일을 할 때에는 무엇보다도 안전이 중요하다는 것 잊지 마세요! 그리고 6살 어린이들은 줄넘기가 어려울 수 있어요. 너무 좌절하지 마세요! 당연한 일이에요. 그리고 차분하게 연습한다면 여러분도 할 수 있어요. 줄넘기가 어려울 때에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연습할 수 있어요. 1. 줄을 바닥에 놓고 걸어서 넘어 보세요. 2. 줄을 바닥에 놓고 뛰어서 넘어 보세요. 3. 줄을 바닥에 놓고 두발을 모아 뛰어서 넘어 보세요. 4. 줄을 나무에 묶거나 어른에게 부탁해서 발목 높이로 만든 뒤 걸어서 넘어 보세요 5. 줄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tXiGc/btqFroIG3uk/Bp8lNh2LlmohK75a2wrkwk/img.jpg)
그림으로 읽는 마음 빛 이야기 정인선, 오지현 서울신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순수함으로 많은 것을 수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 유아기는 상상력과 창의력, 이타심 등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특히 동화는 유아기에 필요한 능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을 주기에 널리 사랑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유아들은 스스로 읽는 게 부담스럽기 때문에 몇몇 친구들은 동화 읽기를 꺼려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슬, 풀잎반에서는 동화와 동시를 쉽게 접하고 흥미와 관심을 갖고 읽을 수 있도록 유아들이 가정에서 경험한 원격 수업을 토대로 그림으로 읽는 마음 빛 이야기를 제작하기로 하였습니다. 본 자료를 활용하여 이슬, 풀잎이들이 읽기를 즐겁게 여기고 이야기 구성능력을 향상시켰으면 합니다. 그래서 마음을 열고 넓은 세상을 아름답게 볼 수 있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t7L3/btqFaCGGym9/WKHOPmUMkuemRJT7NckFFk/img.jpg)
코로나 시대에 유아기 아이들을 돕는 법 정인선, 오지현 서울신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 아이에게 ‘지나친 허용’은 불안을 준다 요즘 아이를 사랑하는 만큼, 아이의 자립심과 자기주도능력 향상과 타고난 성격을 인정한다고 모든 것을 스스로 하도록 허용하는 부모님들이 계십니다. 아이들은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부모님들의 적절한 허용과 절제가 관여되어야 합니다. 아이는 어느 정도의 통제 받았을 때 자신을 절제하는 법도 배우게 되고, 나아가 자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됩니다. 허용은 아이에게 사랑으로 느껴질 수도 있지만 허용의 이면에는 자기조절능력을 익히지 못하여 불안감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아이는 자신을 조절할 수 있고, 환경의 적절한 통제가 주어질 때 비로소 안정감을 느낍니다. 예로 신호등에 의한 자동차 운행의 통제는..
유아에게 필요한 ‘나의 감정’ 알고 조절하기 정인선 서울신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는 자연, 사물, 인간 관계 등 다양한 곳에서 감정을 느낀다. 감정은 시각, 촉각, 미각, 후각, 청각, 상상 등 접촉이 이루어지는 순간에 시작된다. 접촉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요소와 내부의 요소를 분리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유치원 시기의 아이는 ‘나(자아)’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감정을 외부의 접촉과 구분하여 인식하고, 이를 표현하며,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 유아는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을 느끼지만 아직 이 감정을 섬세하게 다루는 것은 서툴다. 지금 어떤 기분이 드는지 분명히 알지 못하거나, 혹은 생애 처음으로 느끼는 감정일 수도 있다. 때로는 감정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0n9J/btsISeIHLDV/BQ8fVdyCUjG3FiIhuNLysK/img.webp)
띄어쓰기에 관하여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책을 읽고 또 쓰는 것이 직업이다 보니 맞춤법과 띄어쓰기에 관해 늘 관심을 갖게 됩니다. 실제로 제 책을 쓸 때뿐 아니라 다른 책들을 구입해 읽을 때 항상 맞춤법과 띄어쓰기를 교정하는 게 일종의 직업병처럼 되었습니다. 그래서 책 내용을 파악하는 일에 방해를 받기도 하지만 꼼꼼히 교정을 해서 재쇄에 반영이 되면 보람을 느끼기도 합니다. 최근에 책들을 교정하며 생각했던 것들을 띄어쓰기를 중심으로 간단히 올려 보겠습니다. * 띄어쓰기의 원칙 1. 일관성 - 주로 보조동사, 보조형용사와 관련이 되는데, 이 경우에는 띄어쓰기가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도 허용이 됩니다. 다만 일관되게 띄어 쓰거나 붙여 쓸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먹어 보다'와 '먹어보다' 또는 '..
유치원 원격수업,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은 사라지는 것인가? 정인선 서울신천초등학교병설유치원 유아 발달에 적합한 교육은 TV, 컴퓨터, 핸드폰 등 미디어와 접하는 기회를 줄이고, 직접적인 신체 활동, 자연물을 이용한 놀이, 판타지가 가득한 이야기, 발달단계에 맞는 노래와 아름다운 움직임 등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코로나 사태 이후 우리는 그와 반대로 가고 있다. TV와 컴퓨터, 핸드폰 등 전자기기의 화면 자체가 유아에게 해롭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모니터를 통해서 방출되는 전자기파는 유아들의 시각에만 해로운 게 아니라 신체 전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친다. 또한 자극적인 동영상은 유아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고유 능력, 즉 자신의 의지를 가지고 창의적으로 활동하려는 힘을 약하게 한다. 동영상은 재미있지만 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rddQ/btqEmv3kIk4/G3hQjflHOrpasIBfHgJNAK/img.jpg)
발도르프 학교의 저학년 아이들 25가지 게임 활동 1. 둘이 함께 찾아요 두 명의 아이가 눈을 가리고 손을 잡은 채 약 10m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목표물에 도착하게 한다. (목표물에 있는 사람은 박수를 치거나 작은 종을 쳐서 소리를 내준다.) 둘 중 한 명은 한 방향으로 가고 싶어하고 다른 한 명은 다른 방향으로 가고 싶어한다. 2. 불이야! 두 명이 약 10m간격으로 선다. 각자는 상대의 위치를 기억해둔다. 그리고는 눈을 가린다. 둘은 서로를 향해 걷고 악수를 한다. 만일 둘이 서로 지나친다면 목격자는 "불이야!" 하고 소리친다. 성공한 쌍은 상을 받는다. (선택할 수 있음) 3. 마법에 걸린 성 3m 넓이의 문이 있는 성 앞에 두 명의 문지기가 서 있다. 잡히지 않고 통과한 사람은 성의 주인이 될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W5xY/btqD8iVE6aa/S9g3KuJB7jqzxrj0KOjek1/img.jpg)
The Waldorf World List contains current addresses of all Waldorf- and Steiner Schools (1.092 in 64 countries), Waldorfkindergartens (1.857 in more than 70 countries), Waldorf associations and Teacher-Training Centres for Waldorf educators and Waldorf teachers around the world, updated at least once a year. https://www.freunde-waldorf.de/en/waldorf-worldwide/waldorf-education/waldorf-world-list/
* 한국슈타이너인지학센터에서 번역한 발도르프 100주년 특별영상입니다. http://steinercenter.org/xe/index.php?mid=board_cGYD60&document_srl=398941 발도르프 100년 - 21세기를 위한 유아 교육 https://youtu.be/9yf8C4GfvlM 발도르프 100년 - 미래교육의 나침반 2부 https://youtu.be/YNtN-rHSgIc 발도르프 100년 - 미래교육의 나침반 1부 https://youtu.be/z8rkJwxUxF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