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보편적이고 구조적인 신체는 2중적으로, 개별적이고 체질적인 신체는 3중적으로 표현됩니다. 왼쪽 폐의 상엽-하엽의 2중적 구조, 그리고 오른쪽 폐의 상엽–중엽-하엽의 3중적 구조를 통해서도 볼 수 있습니다. 입학 전 모의 수업 시 7세 아이들에게 집, 나무, 사람이 포함된 그림을 그리도록 합니다. 집 모양을 통해 원형적 기하학 형태인 삼각형, 사각형을 확인하면서 자아-아스트랄체//에테르체-신체라는 2중적 구조를 볼 수 있습니다. 사람 모습을 통해서도 많은 것들을 볼 수 있는데 무엇보다 머리, 몸통, 사지와 같이 3중적으로 잘 표현된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7세가 되면 몇 가지 변화가 일어납니다. 첫 번째는 영구치가 나오기 시작하고 좌뇌와 우뇌를 연결시켜 주는 다량의 신경다발인 뇌량이 연결됩니다. 7..
엑스트라 레슨에서 다루는 첫 번째는 인간생애의 첫 7년 중 명확하게 눈에 보이는 부분과 보이지 않는 부분, 이 두 가지가 동시에 성장한다는 것에 대한 이해입니다. 전자는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구조적 신체 부분이며(또한 가장 정신적이기도 합니다), 후자는 그 아이에게만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체질적 부분입니다. ☆ 보편적이고 구조적인 신체딱 잘라서 얘기할 순 없겠지만 뼈대, 근육, 신경과 같은 것들은 모든 사람에게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부분이다. 예를 들어 접골이나 외과 수술이 가능한 것은 보편적 구조가 있기 때문이다.★ 개별적이고 체질적인 신체장기와 기관의 발달, 질병, 장애, DNA, 지문 등과 같은 것들은 개별적, 체질적인 부분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간 이식 수술의 경우 체질이 맞아야 하기 때문에 상당히 ..
아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엑스트라 레슨, 치유교육을 중심으로 이동민 선생님 주된 내용 • 아이들의 생애 첫 7년 동안 어떤 일이 일어나는가?• 인지학이나 인지학적 의학에서 말하는 인간 신체의 삼지성이란 무엇인가?• 그렇다면 신체적 삼지성은 사고, 느낌, 의지라는 영혼적 삼지성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 이러한 인간의 신체적, 영혼적 삼지성을 바탕으로 어떻게 아이들을 바라볼 수 있을까?• 어떻게 접근하면서 적절한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까? 강연주제가 “아이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인데, 발도르프학교에서는 이러한 관점들을 이야기할 때 2중 구조, 3중 구조, 4중 구조, 4가지 기질, 7중 구조, 7단계 생명과정, 9중 구조, 12감각 등의 많은 숫자가 등장합니다. 그 가운데 제가 치유교육 과정과 엑..
색에 대한 이해 번역 변종인 1. 자연의 선물 색은 자연이 우리에게 준 훌륭한 선물입니다. 색은 자연의 일부이며 그것을 통해 우리는 자연으로 한 발짝 더 깊이 다가설 수 있습니다. 괴테는 “부분은 전체를 포괄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즉, 색깔과 빛깔은 전체 자연의 한 부분이며 이를 통해 자연 자체에 접근할 수 있는 것입니다. 2. 괴테의 『색채론』 사실 이러한 설명만으론 뭔가 부족합니다. 색이 주는 본질적 느낌들에 대해 사전 지식이 좀 더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 괴테의 깊이 있는 연구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우리들에게 괴테는 단지 훌륭한 문학가로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괴테는 선입견 없는 총체적인 관찰을 통해 자연의 본질에 곧바로 접근해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 자연과학자이기도 합니다. ..
다시 촛불을 밝혀요 Durch die Straßen auf und nieder Irish Blessing LANTERNS O LOVELY SPRING WINTER STARS
우리는 왜 발도르프교육에 주목해야 하는가? 김훈태(슈타이너사상연구소) 해님은 식물들에게빛을 줍니다.해님이 식물들을사랑하니까요.사랑을 할 때는,그렇게 한 사람이 다른 사람들에게영혼의 빛을 줍니다. - 루돌프 슈타이너(1919) 우리는 아이를 사랑한다고 말을 하면서도 정작 어떻게 해야 올바로 사랑하는 것인지 모를 때가 많다. 정원사가 꽃과 나무에 대해 잘 알지 못한다면, 또는 동물에 대한 지식이 없는 이가 수의사 노릇을 한다면 어떤 결과가 벌어질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부모와 교사로서 우리는 아이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일까? 나는 교대를 졸업하고 첫 번째 담임을 맡던 해를 잊지 못한다. 내가 처음 만난 아이들은 4학년이었다. 놀랍게도 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초등학교 4학년 아이들이 어떤 존재..
Dona nobis pacem 나무의 노래 마음 열고 노래해 숲 오월이 오면 음악은 영원히 이 몸이 새라면
발도르프 교육예술인간 본성이 중심인 교육 이 책은 런던에서 발도르프학교를 모델로 하는 초등학교 설립이 결정되었을 때 그곳 초대 교사진을 위해 이루어진 강연을 기록한 것이다. 슈타이너 박사가 생전에 제공한 마지막 교육학 강좌로 주목받는 이 자료를 통해 우리는 인간 본성을 중시한 발도르프 교육예술의 정수와 여러 교과목의 혁신적 교수방법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첫 번째 강연 1924년 8월 12일 오늘날 교육 상황의 특징. 사람에 관한 진정한 이해의 긴요성 _ 육화과정. 유전과 개별성에 대한 실제적 고찰. 이갈이 이전 영유아의 본성. 이갈이 시기의 급격한 변화. 다양한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의 과제들 두 번째 강연 1924년 8월 13일 몸 전체가 감각기관인 영아. 모방의 본질과 의미. 유아현장. 유아기놀이..
Working with Anxious, Nervous, and Depressed Children A Spiritual Perspective to Guide Parents by Henning Köhler 헤닝 쾰러 서문 필립 인카오Philip Incao(의학박사) 번역 김훈태(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이 책은 루돌프 슈타이너와 관련된 작업들의 범주 안에서도 주목할 만한 특별한 저작입니다. 오늘날 증가하고 있는 아이들의 일반적 어려움과 장애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룰 것인가라는 이 책의 주제는 대단히 실제적이며 시의적절합니다. 그러한 아이들과 함께 해온 치료자로서의 경험, 즉 풍부한 사유와 사랑, 그리고 열정이 담긴 경험에 전적으로 의존한다는 점에서 저자의 접근 방식은 무척이나 신선합니다. 이것은 오늘날 교육적 저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