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회복적 정의+비폭력 대화/회복적 교실 만들기 (18)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다른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는 ‘엉뚱한’ 행동에 대한 대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언제나 20-22쪽에 제시된 ‘차분히 돌아보기’에서 시작하라. 1단계 먼저 그 아이를 살펴보고, 여러분의 몸짓 언어로 호기심과 관심을 표하라. 못마땅해하지 말고. 2단계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호기심과 관심의 몸짓 언어를 유지한 채 그 아이를 향해 천천히 다가가라. 3단계 조용히 그리고 무심한 듯 말하라: “내가 보기에는 말야, 네가 ......” (아무런 판단 없이 정확하게 아이의 행동을 묘사하라) 또는 “무슨 일이 있는지 궁금한데?” (핵심 신념 1) 또는 “네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지 궁금하네. 오늘 좀 어때?” (핵심 신념 2) 또는 “네가 이걸 시작하는 데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궁금해.” (핵심 ..
회복적 언어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아래의 표에는 주요 회복적 주제와 관련된 일련의 질문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회복적 조사(Enquiry)’라고 부르는 상호작용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갈등이 생겼을 때 얼굴을 마주하는 본모임 전, 각 당사자와 함께 할 사전모임의 준비에 전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 이러한 조정모임뿐 아니라 모임 자체를 위한 틀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모임은 수업 중에는 있지 않을 것 같다. 간단한 형태의 언쟁이 있을 경우를 제외하고는. 그러나 다음 장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모든 질문을 동시에 사용할 필요는 없다. 상황에 따라 다른 질문이 필요할 수 있고, 사람에 따라 어떤 질문이 다른 것보다 더 좋은 반응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여러분의 판단과 상식을 잘 이용하라. 누군가의 ..
차분히 돌아보기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첫 번째 차분히 돌아보기 : 반응을 하거나 입을 열기 전에 생각하라 - 당신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연구에 따르면, 어떤 행위에 대한 반응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어른이 훨씬 더 성공적으로 사건에 대응한다고 한다. 가능한 한 감정적 객관성을 유지할수록 상황을 더욱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당신의 생각, 감정, 욕구를 나누는 게 적당한 시점이 올 것이다. 그건 25-28쪽에 나와 있다. 피해, 혼란 또는 갈등이 발생하는 어떤 경우든 회복적 대처에는 먼저 5가지 핵심 신념 중 첫 번째 3가지를 바탕으로 일련의 ‘차분한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지는 것을 포함한다. “지금 내 머릿속에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 나 자신에게 무슨..
피드백으로서의 실수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나는 오늘 내 실수로부터 너무 많은 걸 배웠어. 내 생각에는 내일 다른 실수를 하나 만들 것 같아.’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교과 학습의 측면에서 잘못했을 때 교사의 반응과, 행동 측면에서 잘못했을 때 교사의 반응 사이에서 일관성이 필요하다. 교실은 아이들이 다른 많은 것을 배우는 공간이다. 실수를 ‘충족되지 않은 정서적-사회적 또는 인지적 욕구에 대한 피드백’으로 간주할 때 어른들은 기존과 다르게 반응하며, 따라서 그것을 반성과 회복의 기회로 간주한다. 다시 말해 교실은 우리 모두가 필연적으로 잘못을 저지를 수밖에 없는 공간이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그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는지를 배우고, 그 다음에 그것들을 바로잡을 수 있도록 노력한다. 이것은 일부 아이들이..
행동 상의 실수에 대해 생각하기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교육자(또는 부모)들이 아이의 행동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관점에서 (훈육이나 행동 교정으로) 이 문제를 프레임화할 때마다 그들은 무의식적으로 거대 담론을 갖고 접근하게 된다. 대부분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아이의 생각과 감정, 욕구와 시각, 동기와 가치 등 특정한 행동으로 이어지는 것들이다. 행동은 표면적인 현상일 뿐이고, 정작 중요한 것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에 대한 이유이다. (콘, 1996 : 69쪽) 다음 내용은 ‘갈등 전환’의 대표인 벨린다 홉킨스의 (옵티머스 출판사, 2011)에서 발췌한 것이다. 많은 아이가 학교에 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친구들을 사귀고 어울리기 위해서이다. 다시 말해, 그들에게는 관계가 동기..
회복적 신념을 수업에 통합하기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교사나 그룹의 리더는 수업 중에 질문을 하는 방식으로 회복적 신념을 모형화하고 가르친다. 학생들에게는 짝 및 모둠 활동을 통해 이것을 활용하도록 권장한다. 핵심 신념 1 모든 사람은 고유한 관점과 의견을 갖는다. - 너는 어떻게 생각하니? - 너는 이 일을 어떻게 보고 있어? - 이것에 대해 네가 알고 있는 게 있니? - 네가 겪은 일에 대해 말해 줄래? 핵심 신념 2 생각은 감정에 영향을 미치고, 생각과 감정은 우리의 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가르침과 배움에서 정서적 측면을 강조하라). - 이걸 볼 때/들을 때/읽을 때 너에게 어떤 일이 벌어지니? - 이걸 볼 때/들을 때/읽을 때 너는 어떤 감정이 떠오르니? - OO가 ......라고 말하는 ..
회복과 관계의 교육학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여러분이 현재 행동하는 법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자신의 과목을 가르친다면 여러분의 수업은 어떠할까요? 여러분이 자신의 과목을 가르치는 방식으로 행동하는 법을 가르친다면 여러분의 수업은 어떠할까요? 아이들이 여러분의 과목에 참여하려면 어떤 기술이 필요한가요? 이것을 어떻게 가르치나요? 아이들이 여러분의 수업에서 최선을 다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행동은 무엇일까요? 이것을 어떻게 가르치나요? 과제를 하면서 실수 행동이 있을 때, 과제 목록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그리고 아이들에게 필요한 지식, 이해, 기술이 있는지의 여부를 자문하는 것으로 시작하나요? 아이의 엉뚱한 행동은 종종 그렇지 못하다는 피드백을 줍니다. 다음 장에서는 여러분이 질문하는 것과 학생들이..
여러분의 교실은 어떻습니까? 벨린다 홉킨스 김훈태 옮김 학급의 지침을 아이들과 함께 개발하여 아이들에게 주인의식을 갖게 하나요? 이 지침은 정기적으로 검토되어, 구성원 모두가 다른 사람들에 대한 책임을 지게 하나요? 교실 구성원 모두가 정기적으로 서로의 이름을 알게 하나요? 구성원 모두가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정기적으로 주고 있나요? 뒤섞기 활동에 이어 짝 활동과 작은 모둠 활동을 함께 하면서요. 배려와 연민의 행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가르치며 모범을 보이고 있나요? 구성원 모두가 피해 주는 행동을 ‘충족되지 못한 욕구의 표현’으로 인식하고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나요? 모둠 세우기 활동과 토론을 위해 교실 전체가 서클로 함께할 수 있는 기회를 정기적으로 만들고 있나요? 협동 학습의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