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5. 카르마의 지평에서 우주-결정론적으로 이해되는 교육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 이해의 핵심 개념인 카르마는 초감각적 세계 안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의무와 존재 당위의 성격을 갖고 있다. 인지학적 이해에 따르면 인간은 피안 세계에 있는 특정한 힘들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인간의 정신적 개체성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슈타이너는 이 세계의 정신적 실체들 및 그것들의 우주적 장소, 옛 달, 옛 지구, 옛 태양 그리고 옛 토성에 관해 말하고 있다(EE, 149-161). 따라서 인간이 태어나기 전부터 인간에 작용하는 초감각적 힘들을 고려하고 장려하는 일이 발도르프 교육의 본질적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슈타이너에 의하면 이것은 "엄청난, 깊은 의미를 지닌, 실천적 결과"(EE, 154)를 낳는다. "이것은 인간..
4. 기질론의 지평 안에서 이해되는 교육 슈타이너는 발도르프학교 초기 교사들과의 세미나 논평에서 학급당 학생 수가 아무리 과밀할지라도 어린이들의 다양한 성격들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기질론을 교육의 시금석으로 제시하였다. 슈타이너는 학급을 4개의 다른 기질 그룹으로 분류할 것을 요구한다. 기질론 역시 오로지 인지학적 인식이론의 지평 안에서만 타당한 근거를 가지며 그 근거를 경험적으로 확인할 길은 없다. 발도르프 교사들은 인지학적 기질론에 기초하여 외적인 특징에 근거하여 어린이를 다양한 기질로 도식화하여 분류하고 교육한다. 이 경우에도 어린이는 유일성을 지닌 존재가 아니라 기질 일반의 결정체로만 간주된다. 기질론에 따라 분류된 전형이 교육자와 어린이의 만남의 중심에 자리잡기 때문에 이 역시 규범적 구..
3. 교육예술을 위한 요청으로서의 발달에 따른 교육단계 예술로 요청되는 교육에 있어서 핵심은 형성되어 가는 인간의 본질을 인식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술가로서의 교육자는 인간의 본질을 이루는 것과 인간 본질을 이루는 것의 발달 과정에 대한 지식을 익히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육예술가는 특정한 연령 단계에서 인간 본질의 어떤 부분에 영향을 주어야 하는지, 그런 영향이 어떻게 사실에 적합하게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하기(EG, 21) 때문이다. 슈타이너는 예술로서의 교육이라는 전제 아래서 형성 과정에 있논 인간의 본질로부터 교육을 위한 관점이 생겨나므로 인간 본질의 형성 과정을 인식하는 것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볼 때 인지학적 인간론에서 파생된 발달 단계에 따르는 교육은 발도르프 교육학의 핵심이라 할 수 있..
발도르프 교육의 철학적 이해 강상희(한국공학교육인증원) 2008 한국발도르프영유아교육학회 제2회 동계 학술세미나 한국에서의 발도르프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제II- 1. 여는 글 발도르프학교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발도르프 교육학 안내서로 가장 많이 읽히고 있는 책 중의 하나는 Carlgren F.가 쓴 "Erziehung Zur Freiheit"일 것이다. 이를 번역하면 "자유에 이르는 교육"이다. 이러한 책 제목에서 현재 인간은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 그리고 교육을 통해 자유에 이를 수 있는 길이 있다는 것이 미리 전제되어 있다는 것이 감지된다. 그런데 이 책에서 말하는 자유란 무엇일까? 발도르프 교육과 슈타이너(R. Steiner, 1861-1925)에 의해 수립된 인지학은 별개로..
하위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8) 강사: Susan Howard 부모와의 소통, 관계에 대한 헤닝 쾰러의 조언 1. 열린 귀를 갖는다. - 경청하고 관심을 기울인다. 부모의 관심이나 걱정에 대해 진심으로. 2. 조언을 요청할 때 그때 조언한다. 요청이 있을 때만 조언한다. 내가 알고 있는 멋진 것들을 알려주고 싶어서 안달이다. 하지만 이런 것들을 부모의 내적인 질문이나 요구 없이 들었을 때 부모는 그것이 너무 벅차 감당 못한다. 3. 내가 들은 얘기를 꼭 확인한다.(한 번 더) 열린 귀는 아직 작동 중이다. “제가 듣기로 이렇게 말씀하신 거 같은데, 이거 맞나요?”라고. 4. 부모의 얘기에 기초해서 얘기하라. 내 관심이 아니라. 부모가 정말로 하고자 하는 말을 내가 다 들을..
하위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7) 강사: Susan Howard 운동감각 균형감각 덧붙임 / 부모와의 대화 / 아이 관찰 운동감각과 균형감각에 문제가 있는 아이들은 움직이지 못하니까 세상이 너무 빠르다는 이유도 있다. 외부의 움직임을 내부에서 모방을 할 수가 없다. 도대체 아이가 내면에서 움직임을 모방하려면 무엇이 필요할까? - 주변 어른들이 느리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의미 있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 우리 자신을 예술적으로 고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말하기와 움직임이 얼마나 그 아이를 도와주는지, 예술적인 말하기와 예술적인 움직임이 아이 주변에서 일어나야 한다. 이런 아이들은 자기 안에 갇혀 있다. 외부의 움직임을 가져오지 못하기 때문에. 그래서 이 아이들은 직접 말..
하위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6) 강사: Susan Howard 슬픈 아이/우울한 아이: 운동감각과 균형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어제 민속촌에 다녀왔다. 공간이 완벽한 유치원이었다. 의미 있는 행동들이 이루어질 수 있는 곳이다. 그 환경 속에서 매일매일 조상대대로 봄 여름 가을 겨울, 오늘과 내일이 똑같이... TV나 과학기술 없이 행위들로 가득 찬 세상이었다. 어린아이들은 조용한 시골에서 손으로 일하는 그곳에서 발도르프 교육이 시작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급으로 갈수록 아이들은 시골에서 미칠 것 같은 마음이 든다. 교육자로서 우리의 과제는 아이들이 과거에 머물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기술을 창조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왜냐하면 아이들이 살 미래는 더 많은 기..
형태그리기... 손은 생각한다. 왜 형태그리기를 할까? 올가 쉬퍼(Olga Schiefer), 슈투트가르트 자유대학 미술과 교수 번역 이소윤 발도르프 교육학은 인간의 개별성에 호소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간의 능력이 펼쳐지기를 원한다. 그 열쇠는 예술이다. 형태그리기는 예술 수업의 한 분야로 1학년부터 학교를 마칠 때까지 이어진다. 한편으로는 회화(painting)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기(drawing)로 이것은 예술 과목에 포함되는 요소다. 형태그리기는 그리기의 시작이고 1학년에서 6학년에 걸쳐 이루어진다. 아이들은 이미 첫 수업 시간에 곧은 것과 굽은 것의 양극성을 배운다. 이 두 형성력은 세상의 토대를 이룬다. 요하네스 케플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손의 세계는 사물의 창조 이전에 있었으며 동시..
발도르프 유아교육 건양대학교 아동보육학과 윤선영 발도르프 유아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의 인지학에 근거를 두고 일상적인 생활에서 교사와 어린이들의 진정한 만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 설립되어 있는 발도르프학교와 유아교육기관들은 인간의 본질적인 성장 및 발달을 교육의 근본으로 삼고 아동기를 보호하는 데 책임감을 지닌 사람들이 그 뜻을 함께 하고 있다. 슈타이너는 인간의 건강한 성장 발달을 7년 주기로 설명하고 있는데, 그 첫 7년 주기의 영․유아기 어린이들에게는 세계의 어느 곳에서나 보편적으로 걷고, 말하기를 시작하며, 사고하기, 상상력과 의지력의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교사의 과제는 바로 이러한 어린이들의 발달단계를 동반하면서 어린이들의 성장 발달의 힘과 앞으로 전개되는 전 생애를 위한 능..
하위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들을 어떻게 도와줄 것인가? (5) 강사: Susan Howard 5/2 부산한 아이 / 계속 움직이는 아이: 생명감각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아침 강의에서 교사의 내면이 어떻게 아이에게 영향을 주는지 얘기했다. 오늘 주제와 관련이 깊다. 연구 1) 수업 들어가기 전 교사의 내면 상태, 수업 준비 상태에 따라서 아이들의 수업 태도가 달랐다. 아이들은 보이지 않는 이면을 느낀다. 연구 2) 지능이 같은 아이에 대해 교사가 천재 또는 멍청이의 이미지를 갖고 수업을 했을 때 아이의 모습이 달랐다. 유치원 시기의 아이들은 더 강한 영향을 받는다. 영유아 아이들은 신체 영혼 정신이 하나로 뭉쳐져 있어서 무의식 차원에서 그걸 느끼고 알고 만난다. 슈타이너는 어린아이들의 종교에 대한 태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