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이 글은 2022년 6월 18일에 있었던 발도르프 학교연합 학부모공동체 특강 내용의 일부입니다. * 발도르프학교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우리의 근대적인 교육체계는 아이들에게 관심이 별로 없습니다. 다만 이 사회에서 무엇이 필요한가, 무엇을 가르쳐야 하나, 아이들 머리에 집어넣을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더 많이 더 일찍 더 잘 집어넣을 수 있을까에 대한 관심뿐입니다. 근본적으로 인간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인간에 대한 이해가 정말 필요하구나', 이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저는 발도르프 교육을 알게 되었습니다. 발도르프 교육을 받고 자란 아이들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요? 우리는 아이들이 잘 자랄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음 그림은 발도..
"교육은 치료다"- 발도르프 특수교육학의 관점 (3)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치유교육은 소아정신의학과 직접 연계되어 있고, 그 밖에 소아의학과 신경학, 그리고 심리학의 지원으로 발전되었고, 발전되고 있는 과학이다. 동시에 치유교육은 지속적으로 만개하고 있는 실용예술이다. 치유교육은 교육분야와 특수교육 분야뿐 아니라 언어치료, 신체치료, 오이리트미와 치유오이리트미, 수채화, 회화, 음악과 음악치료, 직조(weaving)와 도자기, 그리고 목공예와 같은 수공예, 직업치료와 같은 분야에도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치유교육을 광의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치유교육이란 과학이자 실용예술인 동시에 인간의 태도이다. 이 치유교육은 파괴되고 있다는 위협 아래 있는 인간에게 치료약처럼 사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치유교육..
"교육은 치료다" - 발도르프 특수교육학의 관점 (2)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인지학의 관점에서 인간의 비정상성이란 불완전한 발달을 의미한다. 온전한 발달이 이루어진다면 대부분의 어려움은 극복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벽한 발달이란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람들에게도 어느 정도의 비정상적인 것은 있기 마련이다. 여기에서의 비정상성이란 평균에서 벗어난 정도를 뜻한다. 사실상 우리는 누군가를 함부로 정상이라거나 비정상이라고 단정지을 권리가 없다. 우리가 할 일은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이해하는 것뿐이다. 발달 장애에 의해 신체기관에 병이 들면 영혼 생활로도 그것이 표출된다. 이때 증상으로 드러나는 것이 곧 병의 본질적 내용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병의 본질을 주시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현..
"교육은 치료다" - 발도르프 특수교육학의 관점 (1)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발도르프 특수교육학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일반적인 발도르프 교육학을 충실히 이수한 뒤에야 비로소 본격적으로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턴 과정을 마친 후에 밟는 레지던트(전공의) 과정과 유사하다고 해야 할까. 문제는 이라는 인턴 과정도 상당히 높은 수준이라는 데에 있다. 학문에는 지름길이 없다는 말이 맞다. 인지학의 기초를 탄탄히 다져가면서 도전하는 수밖에 없다. 발도르프 교육학을 비롯한 인지학의 여러 분야가 어렵게 다가오는 것은 먼저 그것의 세계관이 독특하기 때문이다. 인지학은 우리의 상식과 다른 세계관을 제시한다. 그리고 루돌프 슈타이너가 사용하는 개념 역시 난해하기 이를 데 없다. 이에 대한 엄밀한 분석 없이 이런 ..
발도르프 교육에서 바라보는 유아기 헤닝 한스만 홍미영 옮김 인간의 아이는 세상에 대한 강한 원초적 신뢰를 갖고 현세에 온다. 부모의 사랑과 보살핌에 의존적이며 무기력한 상태이다. 아이의 감각은 세상에서 마주치는 모든 것에 진정으로 열려진 상태이다. 아기는 '말초의식(peripheral consciousness)'을 지니고 있다. 자신의 신체를 외부의 관점에서 보게 되는데, 특히 엄마의 눈을 통하여 보게 된다. 첫 미소의 놀라움은 아이가 자신의 집인 그의 몸에 거처를 정하려는 특성의 천상의 전조이다. 아이가 지니고 있는 광범위한 인식을 집중된 자아의식과 세상을 탐구하기 유리한 위치로 들여놓는 과정에서, 유아는 자기 주위의 자연 환경 및 인적 환경과 관계를 형성한다. 이것은 성인과 신성 정신(Divine S..
[동영상] 발도르프학교의 보트머체조 - 나무봉 활동 Bothmer Israel - Stick work lesson (1) https://www.youtube.com/watch?v=vxmdN81O5r4 Bothmer Israel - Stick work in pairs (1) https://www.youtube.com/watch?v=65Aw7sriRvg Bothmer Israel - Groupwork in circle & sticks (1) https://www.youtube.com/watch?v=SJN476eAZow Bothmer Israel - Groupwork in circle & sticks (2) https://www.youtube.com/watch?v=m_59kGHuTis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21)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수채화와 조소 모두에서, 예술수업들은 또한 개인을 가장 명확하게 표현하는 인간 신체의 부분, 즉 머리에 작용하는 기회를 준다. 수채화, 조소 또는 석공예를 통해 학생들은 그들의 머리에 명확한 모양과 얼굴표정을 준다. 그런 작업은 다음과 같은 질문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인간의 신체는 영혼과 정신의 표현인가?" 비슷한 경향이 오이리트미에서도 뒤따른다. 여기에서 과제는 한 편의 음악 또는 시 안에서 기본 동작을 위한 알맞은 형태를 찾는 것이다. 그리하여, 전체로서의 묘사는 예술..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20)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2학년의 교육과정 18/19세 청소년들의 내적 의문은 17세 청소년들과는 다르다. 그들은 '한 인간으로서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혹은 정치적인 사건들에 어떻게 부딪혀야 하는가? 또 세상 속에서 나의 위치는 무엇인가?'를 알기를 원한다. 12학년을 위한 교육과정은 12년간 학교생활에서 개발된 것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이는 발도르프 교육의 가장 중요한 면으로, 인간의 진화하는 본질과 세상에서 인간성의 위상을 전체적인 그림 안에서 통합하려는 것이다. 생물학에서 수 년간 배운 ..
인지기능 강화 트레이닝(COGET) 아이들의 지원에는 사회면, 학습면, 신체면 등 여러 각도로부터의 접근이 있습니다. 사회면에서는 대인 스킬과 감정통제력, 문제해결력 향상 등이고, 학습면에서는 인지기능 강화, 신체면에서는 신체적 서투름 개선 등입니다. 인지기능의 강화가 학습면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인지기능 자체가 학습의 토대가 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인지기능에는 기억, 지각, 주의, 언어 이해, 판단·추론 등의 요소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이들 중 하나라도 빠지면 학습은 말할 필요도 없이 일상생활조차 만족스럽게 보낼 수 없을 것입니다. COGET은 각각의 인지기능의 요소를 강화할 수 있도록, 종이와 연필을 사용한 트레이닝입니다. COGET의 필요성을 느낀 것은 소년원에 재원하는 비행 소년들 중에 ..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19)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1학년의 교육과정 11학년의 교육과정이 제안하는 과목들을 전반적으로 개관해보면, 주제들은 인지 가능한 지각을 넘어서는 것, 즉 '과정(processes)'과 '갱신(renewal)'이라는 양극단 사이의 내적 균형을 찾는 것과 같은 일들이 여러 과목에서 제시된 내용 모두에 공통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9학년이 지평을 확대하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면, 10학년은 사물의 기원을 이해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고, 11학년은 통찰력 획득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주제들이 분석 기하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