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7)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Q) 시간을 바꾸어서 수업 준비하는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조언을 해 주면 좋겠습니다.-> 부모님들과 함께 작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업을 하기 몇 달 전에 반모임 속에서 부모들의 허락과 지원, 합의가 필요합니다. 부모가 함께 오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부모들이 함께 오는 것에 대해서 흥미를 느낍니다. 오늘날 슬픈 현실은 많은 사람들이 별자리를 모른다는 것입니다. 시간적인 부분은, 예를 들어서 교사가 판단해서 유연하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일찍 오면 일찍 하교할 수도 있고, 중간에 쉬었다 할 수도 있습니다. 일주일 전체를 할 수도 있지만 교사가 알아서 조절을 해야 할 것입니다. 일기에 따라서 일정이 변할 수도 있기 때문에 교사는 늘 유연하게 진행이 됩니다. 3주 동안 수업 중에 2번 야간 수..
천문학 강의 - 2010년 3월 1일 늦은 2시 30분 감사합니다. 2008년 12월에 방문했을 때 마지막 방문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또 만나게 되어서 반갑습니다. 이번에 한국에 온 이유는 장구지 선생님께서 초청하셔서, 역동 농업에 관한 천문학 강의를 하러 왔습니다. 일주일 정도 파주에 있었는데, 그때 날씨가 매우 좋아서 별도 볼 수 있었고, 매우 평화로운 마을이었습니다. 오늘 강의는 천문학 6, 7, 11, 12학년이 대상입니다. 6,7,11,12학년에서 무엇을 가르칠 것에 대한 내용을 이야기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러한 것은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교사들이 직접 만들어야 할 것입니다. 오늘 이야기 할 것은, 수업 방법적인 것이 아니라 우주를 대하는 시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할 것입니다. 오늘 이야기 할 내..
예술활동을 통한 감각 발달 인간은 감각기관에 의지하여 외부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 이것을 보면 감각기관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알 수 있다. 어린아이의 경우는 아직 무의식적으로 감각경험을 하지만, 성인의 경우는 의식적으로 감각경험을 한다. 성인은 어린아이처럼 환경과 더 이상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 않다. 의식적으로 감각경험을 하기 위하여 인류는 발달 기간 중 점점 더 스스로를 격리시켜야 했고, 세상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했으며, 세상을 인식하면서 마주 서 있어야 했다. 그러면서 세상에 대한 거리가 종종 놀랄 정도로 멀어지는 현상도 발생했다. 동시에 우리의 분석적-과학적 사고가 생성되었는데, 이러한 객관성이 모든 개인적-주관적인 것(감각이입도 마찬가지로)을 쫓아 내버리게 되었다. 우리는 감각(느낌) 생활을 구해내..
* 이 내용은 프레야 야프케 선생님이 쓰고 김정임 선생님이 옮긴 의 일부입니다. 유아기관에서 아이들과 어떻게 습식수채화를 하면 좋을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출처 : 무등자유발도르프학교 홈페이지 http://cafe.daum.net/waldorfschule/iVRZ/132]
[출처 : 무등자유발도르프학교 홈페이지 http://cafe.daum.net/waldorfschule/iVRZ/130]
[출처 : 무등자유발도르프학교 홈페이지 http://cafe.daum.net/waldorfschule/iVRZ/131]
뻐꾹 뻐꾹 봄이 오네뻐꾸기 소리 반갑단 인사복사꽃이 피어나네
수수께끼 – 세라피스 사원(Serapis Temple) 학생들에게 돌멩이를 먹이지 않는 강력하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는 수수께끼로서 구체적인 예를 통해서 과학적 현상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수수께끼는 생각을 사로잡고 질문을 자극합니다. 수수께끼는 감정을 움직이며 궁금증과 흥미를 불러 일으킵니다. 수수께끼는 해결책을 찾고자 하는 의지를 불태웁니다. 수수께끼는 정말로 훌륭합니다. 제가 수업을 준비할 때 가장 시간을 많이 들이는 부분은 과학수업 과정의 도입에 사용할 만한 좋은 수수께끼를 찾는 것입니다. 9학년의 지질학 주요수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암석은 모든 사람이 자연스럽게 흥미를 갖게 되는 분야가 아니라서 처음 수업할 때 저는 저 혼자 신이 나서 오히려 학생들을 무척 지루하게 만들 수도 있다는 점 때문..
발도르프 수학교육과정 정리 ◈ 1학년 a) 곧은 선(직선)과 굽은 선(곡선)을 경험. 몸의 자세로, 직선과 곡선을 따라 걸으면서, 칠판이나 큰 종이 위에 크레용으로 그리면서. 수채화나 조소로도 가능하다.b) 자연수 도입. 전체로부터 부분으로(예: 나무막대기를 부러뜨리기)각 숫자를 세상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지 생각해보기.c) 수세기: 먼저 10까지, 다음엔 20까지, 마지막엔 100까지. 처음엔 운율 있는 노래나 시에 맞추어, 나중엔 숫자만 연속해서. 콩주머니나 공을 던지고 받으면서, 특히 손가락(발가락도 가능)을 이용해서. 뜀뛰기, 줄넘기, 노래, 머리 어깨 등 신체를 짚으면서, 눈 감고 속삭이거나 혹은 큰소리로, 둥글게 서서 앞뒤로 움직이면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계속 변형.d) 조개껍데기나 돌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