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발도르프교육학 (455)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5)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3학년 교육과정 ▶ 형태그리기 - 발도르프 학교의 교육과정은 일반적으로, 다른 학교에는 알려지지 않은 과목인 형태그리기로 시작된다. 아이들은 기본적인 직선과 곡선, 그리고 다양한 형태를 그린다. 가급적이면 아이들이 그 형태를 시작할 때 온몸을 사용하여 표현해 보는 것이 좋다(걷거나 뛰고, 팔과 손으로 표현하는 동작). 나중에야 크레용과 연필을 사용해서 종이 위에 그린다. 이러한 형태와 리듬은 동작으로 이미 경험한 것이므로, 그것을 종이 위에 그려서 마무리하는 것이다. 이 ..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4)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1학년부터 3학년까지 1학년 (7세) 발달적 측면 발도르프 교육 방식에서는, 7세가 되는 해에 '정식' 학교교육을 시작한다. 첫 번째 7년 주기 동안, 어린아이는 공간과의 조화, 정직함, 말하기와 사고에 대한 기초적이고 근본적인 발전 능력을 습득하면서 물질체 안에 거주하는 법을 배운다. 아이를 둘러싼 전체 환경이 곧 배움의 바탕이다. 왜냐하면 아이는 자신의 환경에 속한 사람들과 매체들을 '모방'하기 때문이다. 이 모방하는 행동은 습득한 것의 내용과 특성을 아이의 의지에 각인시..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3)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개인고유성(Individuation) 교육이 매우 중요하고 중추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개별화 과정은 '자아'의 활동이 앞서 언급한 다른 구성체들과 통합되는 점진적인 변화와 관련되어 있다. 태어날 때, '자아'는 우선 물질체 안에서 활동한다. 7세경, 에테르체의 힘들은 점차 유기체적인 작용에서 남아돌게 되고 스스로 물질체로부터 벗어난다. 그러므로 이것은 독특한 내적 활동의 출현을 돕고, 특히 표상과정과 기억형성(지적 학습에서 중요한)의 두가지 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풀..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2)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인지학적 인간학 발도르프 교육의 기초가 되는 인지학적 인간학을 상세히 설명하는 것은 이 책의 범위를 벗어난다 하더라도, 본질적 측면은 간략히 설명될 필요가 있다. 발도르프 교육은 인간이 신체(body), 영혼(soul), 정신(spirit)으로 구성된다는 전제로부터 시작한다. 인간의 발달과 개별화의 과정은 본질적으로, 자아(나, I)와 관련된 고유한 정신이 거주할 수 있고 물질세계를 경험할 수 있으며 이것을 통해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신체적인 그릇(bodily vessel..
발도르프 교육과정의 내용과 과제 (1) The Tasks and Content of the Steiner-Waldorf Curriculum Edited by Kevin Avison, Martyn Rawson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발도르프 교육을 위한 기초로서의 인지학 발도르프 교육은 루돌프 슈타이너의 아동 발달 이론에 기초한다. 그것은 슈타이너의 심리적이고(psychological) 정신적인 통찰에 의해 고양된 경험적이고 학문적인 연구에 기반한다. 이러한 지식 체계는 지난 한 세기 동안 발도르프 운동 안에서 행해졌던 상당한 조사 연구에 의해 보충되고 지지되었으며 광범위하게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된 2차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슈타이너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는 그가 인지학이라고 불렀던 철학과 우주론..
영미권 발도르프 유아기관에서 많이 부르는 노래들입니다. 꼭 음반을 구입하지 않으시더라도 로레인 넬슨 울프 선생님의 유튜브 채널에서 아름다운 노래를 많이 들으실 수 있습니다. * https://www.youtube.com/watch?v=4edvKCHmFP4&list=OLAK5uy_lu2-_jgPGMXimrTV4L_WslspbYr62MeA8&index=13 http://comefollowme.org/index.html Come Follow Me Pause/Play "Early One Morning CFM V2" Artwork by Martina Muller Winner of Two Parents' Choice Awards Lorraine Nelson Wolf continues her approach of p..
발도르프 음악교육 학년별 방법론 1. 음악적으로 울리는 악기로서의 영혼을 위한 인간 육체 살아있는 인간학으로서의 음악수업 2. 1,2학년 ·밀려드는 멜로디 ·열려있는 분위기 가락 ·자유로운 리듬 3. 3,4학년 ․일어서는 멜로디 4. 조화를 만드는 요소로서 아이 발달 안에서의 음악적인 행위 ․스스로를 이완하고 날숨하기 ․스스로를 연결하고 들숨하기 5. 5,6학년 ․다성/중음 ․옥타브/8도음정 ․당김음 ․악기학 6. 7,8학년 ․작곡가와 그들의 생애 ․작곡하기 ․노래의 확장 ․합창과 오케스트라의 구성 7. 음악 수업 구성을 위한 교수법 및 방법론적인 관점 음악으로부터 음악치료를 위한 치유적인 영향과 작용에 대한 근본적인 관점 학년 인간학 관점의 발달과정 음악교육 방법론 1 - 자기 안으로 들어오지 않음, ..
말하기와 폭력성 미하엘라 글뢰클러 김훈태 옮김 말하기는 또한 우리를 보호해줍니다. 우리가 서로 대화를 하는 동안에는 물리적인 폭력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화는 우리를 보호하고 우리의 공격성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억제합니다. 사람들 사이에 다툼이 시작되는 것은 그들의 말에서 드러납니다. 이야기를 시작하고는 곧 상대를 약간 화나게 하는 어조로 한 마디가 나옵니다. 상대는 공격을 당했다고 느낍니다. 그때부터 사람들은 언어 폭력의 수준에 이를 수 있습니다. 이제 다툼은 폭력과 공격으로 바뀔 수 있습니다. 만일 한쪽이 문제를 이런 언어적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면, 행여 다툼이 폭력적이고 공격적이 된다 해도 물리적 수준까지 가지 않고 영혼의 수준에서 머물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겐 뭘 더 말해야 할지 모르..
형태그리기의 시작 “태초에 신은 확실한 결정을 하는 데서 세계를 창조한 신성의 흔적인 직선과 곡선을 선택했다. 이리하여 전지한 신은 완전한 본성이 직선과 곡선의 양극 안에 포함된 물리적인 세계를 고안해냈다“ ‘우주의 조화’, 요한 케플러(천문학자, 1571-1630) 종종 1학년 학교 수업에 처음 도입되는 것은 똑바로 긋기, 그런 다음 곡선 긋기를 포함한다. 그러한 연습은 아이들이 만나게 될 쓰기 분야에서 특별히 많은 미래의 도전적 작업들의 기초가 된다. 우리는 직선을 세상에 서서 직립한 인간과 관련지을 수 있다. 곡선은 위아래, 좌우, 앞뒤 같은 방향, 즉 우리의 머리 위 하늘과 우리의 발 아래 세상, 우리를 둘러싼 자연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두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아이들의 상상력과 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