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지학/발달론과 기질론 (23)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인간학에서 바라보는 청소년기의 신체발달 비네켄 선생님 : 퀼른에서 생물화학과 기초의학전공, 비텐 사범대학의 교수로 계시고 루마니아 사범대 설립. 독일과 루마니아 왕래하며 교수로 계시며 고학년 생물화학강의를 맡고 계심. (오늘은 인간학 관점에서 청소년기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존경하는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여러분은 독일어와 한국어가 왔다갔다 하는 혼란스런 강연회에 오셨습니다. 오늘의 강연은 단지 단어를 알아듣는 차원의 이해가 아니라 본질적인 느낌을 전달하고 전달받는 교류의 장이 되었으면 합니다. 과연 어떤 성과가 일어날지 궁금합니다. 저는 이론에 불과한 것은 다루고 싶지 않습니다. 실제의 삶속에서 일어나는 것을 나누고자 합니다. 저는 일곱 자녀를 두었습니다. 위로 다섯 명의 아들이 있고 한참 떨..
슈타이너의 관점에서 본 아동기 고유성 정윤경(전주교대, 교육학) 1. 에테르체의 탄생으로 내면세계의 발달이 두드러진다. 초등학령은 나라마다 차이가 있으나, 대개 만 6세부터 시작해서 6년간 이루어지는 것이 주류이다. 이것은 심리학적 측면에서 아동 발달을 고려할 때 6-12세까지의 아동이 초등교육에 적합하다는 것에서 근거를 찾는다(고재천, 2000: 308). 슈타이너 역시 7세에 초등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유치원 단계 유아기와 구분되는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7세 경에 시작해서 14세까지 아동기에 나타나는 발달 단계의 특징을 결정짓는 중요한 것은 '에테르체의 탄생'이다. 이 시기에 에테르체가 외피를 벗어버리고 새로 태어나므로, 비로소 에테르체에 교육의 힘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슈타이너는 인간의 네 ..
* 이 글은 베티 스탤리 선생님의 책 (하주현 옮김, 푸른씨앗)에 나오는 내용입니다. 기질에 대해 깊이 공부하고 싶은 분들께 꼭 추천하는 책입니다. 상담이나 서클을 진행할 때 기질에 따라 다르게 접근할 필요가 있지요. 발도르프교육/인지학에서는 봄(다혈질), 여름(담즙질), 가을(우울질), 겨울(점액질)의 네 가지 기질로 사람을 이해합니다. 어떻게 도와줄까? 가을(우울질)우울질을 돕는 방법 중 하나는 당신의 고민을 털어놓아 공감과 연민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 상대방도 자기 문제를 털어놓게 하라. 가족, 일, 개인에 대해 질문을 하라. 한 주제에 너무 오래 머물지 말고 계속 다양한 질문을 던져라. 도움을 요청할 때는 구체적이고 분명하게 하라. 도움이 필요하다는 암시를 그가 알아챌 거라 기대하지 마라. 설령 ..
사춘기 발달에서 에테르적인 심장의 탄생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했는데요, 여러분은 시간 때문에 이 힘든 이야기를 안 들어도 될 것 같은데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듣고 싶어요!) 슈타이너의 강의 중에서 어렵지만 굉장히 좋아해서 추천하고 싶은 강의가 있어요. 인간 심장에 관한 강의입니다. 사춘기가 되면 새로운 에테르적 심장이 태어납니다. 그 전까지 에테르적인 심장은 소멸합니다. 이것은 마치 일곱 살에 유치가 빠지고 새 이가 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에테르체에는 우주가 담겨 있습니다. 특별한 눈이 뜨인 사람은 이 속에 우주가, 별과 우주적인 힘들이 들어 있는 것을 봅니다. 이 새로운 에테르적 심장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영구치가 날 때부터 사춘기가 될 때까지 계속 준비됩니다. 새로운..
그리고 사춘기 아이들은 주변 어른들, 특히 교사들을 봅니다. 이들을 통해 이상(ideal)에 이르는 길을 보는 것입니다. 의미 있는 세상, 즉 다른 사람들이 이미 추구했고 진정으로 의미 있는 세상을 경험하고 싶어 합니다. 살면서 정신적인 의미에서의 진실을 추구하는 것입니다. 사춘기 아이들은 많은 의심과 질문을 갖습니다. 이러한 것들을 통해 의식이 깨어나도록 키워야 합니다. 그러지 못한다면 아이들은 무의식 속에서 헤매게 될 것입니다. 그래서 아이들은 이렇게 신체적인 성숙과 함께 다양한 욕구가 일어나는데요, 저 높은 이상과 밑에 있는 본능적 욕구 사이에서 긴장을 느끼면서 아이들의 성이 깨어나기 시작합니다. 이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슈타이너가 이야기한 좋은 그림을 말씀 드리겠습니다. 아스트랄체에서 이상은 신체..
그리고 요즘 사회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서도 짚어보겠습니다. 요즘은 사춘기가 과거보다 훨씬 빨리 시작합니다. 의 저자인 베티 스텔리(Batty Staley) 선생님이 쓰신 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 분은 상급교사로 오래 재직하셨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그 책을 쓰셨습니다. 여기에서는 오늘날 아이들이 여덟 살부터 열두 살까지 천천히 발달하는 게 아니라 압축된 발달을 하는 것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아동기가 이 시기에 너무 빨리 중단된다는 겁니다. 게다가 우리는 소비중심의 사회, 물질주의 사회에 살고 있습니다. 장사꾼들은 이 시기를 트윈스라고 이야기합니다. 아동기와 사춘기의 중간시기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아주 영리하게 이 나이대 아이들을 공략합니다. 비디오, 텔레비전, 광고 뭐든 이 나이대의 아이들을 공략합니..
인지학에서 바라본 사춘기 리타 테일러 사춘기는 인간의 생에서 가장 귀중한 시간 중 하나입니다. 아주 많은 것이 변하고 아주 많은 것이 위험하고 약한 시기로 또 많은 것이 태어납니다. 부모와 교사들에게 사춘기 아이들은 두 가지 중요한 것을 가르쳐줍니다. 하나는 놓는 연습을 하게 해주는 것입니다. 아이를 손에 쥐고 놓고 싶어 하지 않는 것이 부모들의 마음이기 때문에 그 소중한 아이를 내려놓고, 그들과의 관계를 좀 더 유연하고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들의 사춘기는 우리가 정말 사랑하는 것을 내려놓는 연습을 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그 아이들이 가르치는 것은 조건 없이 사랑하는 것입니다. 아기들은 아무런 조건 없이도 사랑하기가 쉽습니다. 사춘기 아이들은 그렇..
* 출처 : 리타 테일러, 전기작업,행동하는 정신 제11호, 2005, 19쪽 ___________, '삶-읽기'란 무엇인가?, 거듭나기 창간호, 2009, 47쪽 (김훈태, 교사를 위한 인간학 - 발도르프교육의 인간 이해, 2016, 169쪽) * 출처 : Dr. Simon Bednarek,
전기작업에 대하여 2011년 9월24일 리타 테일러 선생님 (통역 이은화 선생님)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일단 여러분이 이 학교에 오실 때 오늘 날씨도 그렇고 전체 기운을 어떻게 느끼셨는지 궁금합니다. 어제가 바로 추분이었죠? 그 말이 무엇이냐면 밤낮의 균형을 이루던 시기를 지나 좀 더 평화롭고 깊은 곳으로, 겨울로 들어가는 시점에 놓여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본다면 우리의 깊은 내면에 대한 작업, 즉 전기작업을 하기에 좋은 시기라 볼 수 있습니다. 희망컨대 저와 함께 천천히 움직여보는 그런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습니다. 그래서 여러분에게 두 개의 짧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것으로 시작하겠습니다. 하나는 불교 쪽에서 전해오는 이야기이고, 하나는 기독교에서 전해오는 이야기입니다. 이이야기들을 통해 어떻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