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인지학 (419)
슈타이너사상연구소 : 평화의 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3L4C/btsfpdDQ6qA/P4wKc9TltP8SIFOvQxUYx1/img.png)
인지학, 정신과학, 과학의 의미 김훈태 슈타이너사상연구소 (이 글은 발도르프교육문화예술연구회에서 '처음 만나는 인지학의 세계'라는 이름으로 강의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한 것입니다. 일부 추가된 내용도 있습니다.) 저는 초등교사를 하다가 발도르프학교에서 다시 교사를 하게 된 케이스입니다. 발도르프 교사양성과정은 발도르프교육협회와 발도르프학교교사연합연수를 통해 이수했습니다. 유학은 다녀오지 못했고, 아시아발도르프교사컨퍼런스나 괴테아눔방문연수 등 기회가 있을 때마다 외국에 나가곤 했습니다. 지금은 슈타이너사상연구소를 운영하며 인지학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제가 공립학교에 있을 때 가장 컸던 갈증은 아이들에 대한 이해와 살아 있는 수업방식이었습니다. 당시 전교조에서 참교육실천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수업활동 연수가 ..
이 글은 3강에서 땅이 식물에서 비롯되었다는 이야기를 상세히 다룬 슈타이너의 강연으로, 공부하시는 분들을 위해 급하게나마 거칠게 번역한 초역 상태로 올립니다. * 인간의 질문과 우주적 답변 GA 2134. 주변 세계에 대한 인간의 관계. 식물 및 동물과 관련된 편마암(점판암) 및 석회. 탄소, 질소, 산소1922년 7월 2일, 도르나흐 루돌프 슈타이너 저는 최근에 우리가 지구에서 별이 빛나는 세계, 특히 행성의 세계로 관심을 돌릴 때 나타나는 주변 세계에 대한 인간의 관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오늘 저는 인간과 그의 직접적인 지상 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정신적 시각으로 얻은 관찰과 경험을 격언적으로 덧붙이고 싶습니다. 평범한 방식으로 인간은 자신의 환경에서 사물을 구분 없이 바라보고 존재와 현실에 대한 그..
아이의 이상한 행동(돌보기 어려운 행동) 이해하기 (2) 강사: 바그너 교수(독일 코르작 특수교육 연구소 전임 연구원- 발도르프 특수교육 전문가) 일시: 2006년 10월 30일 ~31일 장소: 한국루돌프슈타이너 인지학 센터 둘째날 강의 - A.D.D , A.D.H.D 에 대하여 연구소를 방문하는 80%가 남자아이다. 그 아이들의 대부분은 A.D.D(Attention Deficit Disorder-주의력결핍증)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주의력결핍과잉행동증)) 이것은 맥도날드만큼이나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증세의 아이들은 불안, 주의력 산만, 나댄다! 정도로만 알고 있다. 학교나 유치원에서 기대하는 행동을 하지 못하고 정상치에서 벗어나 있다. ..
아이의 이상한 행동(돌보기 어려운 행동) 이해하기 (1) 강사: 바그너 교수(독일 코르작 특수교육 연구소 전임 연구원- 발도르프 특수교육 전문가) 일시: 2006년 10월 30일 ~31일 장소: 한국루돌프슈타이너 인지학 센터 첫날 강의: 도입부로서 무서움의 증상에 대해, 내일은 불안, 안정감이 없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의사로서, 치료사로서 먼저 3가지 주제에 대해 먼저 말하자면, 1) 유아는 공백, 백지상태가 아니다. 단지 유전이 산물, 그 총합이 아이의 존재다라고 할 수 없다. 아이는 개별적인 존재다. 2) 아이는 ‘악의’를 가지고 태어나지 않는다. 성선설이라고 할 수 있다. ‘애초 나쁜 아이다’ - 이렇게 태어나는 것은 아니다. 특히 학령기 경우 - 그 아이의 단점도 허용될 수 있어야 한다. ..
첫 번째 주, 4월 5일 - 4월 11일 부활절 분위기 봄1 세계 드넓은 곳에서 태양이 인간의 감각에 말을 건넬 때, 영혼 깊은 곳에서 샘솟는 기쁨은 그 빛과 하나되고자 한다. 그때 자신의 껍질에서 빠져나온 생각은 공간 저 먼 곳으로 인간의 본질을 정신 존재에 어렴풋이 묶어 맨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xvhBG/btr3IZZmGfK/OMIumeP08VzRyzYVZ37KZk/img.jpg)
예술 교육은 학교 교육의 중요한 부분이었습니다. 우리는 동네에 있는 발도르프 학교에서 크리스마스 연극을 보러 갔어요. 에르나 스탈 선생님은 문학과 예술을 통해 우리에게 영감을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우리는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를 읽었습니다. 우리는 에센에서 열린 소위 "타락한 예술" 전시회에 참석했고, 프란츠 마르크, 바실리 칸딘스키, 에밀 놀데의 그림을 보았습니다. 또 베를린으로 여행을 갔고, 파우스트 공연을 보았습니다... 정말 놀랐어요. 왜 그 모든 예술과 그 모든 책들이 금지되어야 할까요? 당국에 위협이 되는 무언가가 그 안에 있었을 거예요! 에르나 스탈 선생님은 자신의 가르침에서 예술을 사용하여 세상의 예상치 못한 측면을 드러냈습니다. 예를 들어, 그분은 동물의 본성, 말, 사자에 대한 토론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HFDbM/btr3vNJzzGQ/MB0VBP8VOPmRFvt5fm7qj1/img.jpg)
트라우테 페이지와 백장미 2019. 2. 15 미국인지학협회, John H. Beck 슈타이너사상연구소 김훈태 옮김 이 글에는 서평, 저항단체 '백장미'에 대한 회고, 100세 생일을 맞은 트라우테 라프렌츠 페이지 박사에 대한 감사가 포함되어 있다. 페이지 박사는 1990년대에 미국인지학협회 사무총장을 역임했다. , 피터 노만 와게 지음, 디마리 베일리 옮김(Cuidano Press, Brooklyn, NY, 2018) 니카노르 펄라스의 신간 은 인간의 가치와 존재에 대한 엄청난 도전을 세심하게 묘사하고 있다. '인간'은 정말 중요한 것일까? 앞으로 몇 년 동안 어떻게 결판이 날까? 펄라스는 일찍이 (2000)에서 사회적 리더십은 아이디어, 가치, 양심, 신념 등 문화의 영역에서 비롯되며, 이는 개인들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9Xo6/btr0ftPk3y2/18PNKevhNJ0UP0JsZQCk61/img.jpg)
여러분들 이런 개념 혹시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비폭력 대화, 폭력 없는 의사소통. 들어보셨죠. 이런 공간이 생기면 그때 우리는 우리 안에서 저런 신중함, 그 안에서 상대방과 나를 돌이켜 보잖아요. 그러고 나면 우리는 이렇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내가 저 사람이 무엇을 얘기하려고 하는지에 대해선 잘 모르지만, 나 자신 안에서 무엇이 일어나는지를 확인했잖아요. 그럼 우리가 이렇게 얘기할 수 있는 거죠. 분노하는 게 아니라, 그냥 여기에서 "말도 안 되는 소리야, 하지 마세요"라고 분노를 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악순환에 빠지고요.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고 저 여유 공간 안에서 우리 안에 비추어둔 그 빛을 따라서 이제 심사 숙고합니다. 그러고 나면 우리는 질문이 생기죠. 상대방한테 할 얘기들이 생겨요. "있..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2lho/btrZIKEh4Xo/2IwMdjXOjKGxisV3JXwxdK/img.jpg)
크라코브 선생님의 II 안드레아스 크라코브 교수 여상훈 선생님 통역 2023년 1월 7일 토, 인지학센터 김훈태 정리 갈등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욕구이다. 생리적 욕구, 사회적 욕구, 자아의 욕구. 태어나서 청년이 될 때까지 이 세 가지 욕구가 다 충족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인간은 대단한 적응력이 있다. 어떤 아이가 사회적 욕구(부모로부터의 보살핌, 주변 사람들의 관심, 기대는 마음 등)가 충족되지 않으면 어디선가 채워줄 사람들을 찾는다. 그만큼 적응력이 크다. 그런데 방법이 틀릴 수 있다. 새로운 욕구 수준으로 채우는 게 아니라 자기 욕구를 낮춤으로 회피할 수 있다. 그런 아이가 성년이 되면 다른 것에서 보상하려 든다. 직업 안에서 다른 사람이 자신을 굉장히 높게 보기를 기대한다. 자..
감각혼, 지성혼 그리고 의식혼 (2) 젠녹 선생님 강연 김훈태 정리 어제 질문을 던졌지요. 우리는 어린이들의 삶의 동력을 찾아 줘야 하는데 이것은 곧 미래를 살아가기 위한 것입니다. 우리 삶의 동력은 우리를 위한 것이고, 아이들의 삶의 동력은 우리를 뛰어넘어서 다른 곳으로 가야 합니다. 그렇다면 옛날 세대인 우리가 아이들의 그러한 작업을 돕는 데에 과연 적합할까요? 이것에 대해 정말로 이해할 수 있는지, 사실 이해하기 힘든 상황에 있는데요. 여기에 간단한 조언이 있습니다. 슈타이너는 그것이 아주 창조적이고 생동감 있는 활동에 의해서 가능하다고 했습니다. 어린이들에게 이해하는 것 자체를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어린이가 스스로 자기의 상태나 모든 것을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학령기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스..